[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1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1
 2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2
 3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3
 4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4
 5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5
 6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6
 7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7
 8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8
 9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9
 10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10
 11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11
 12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12
 13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13
 14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14
 15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15
 16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16
 17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17
 18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18
 19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19
 20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건설 산업 외부 환경 및 top global players 분석
제 1절. 분석의 목적 및 의의
제 2절. 거시 환경 분석
1. 정책 요인
2. 시장 요인
3. 업계 간 경쟁
4. 시사점
제 3절. 건설 산업의 value chain 분석 및 CSF 도출
1. 건설 산업의 value chain
2. 건설 산업의 CSF 도출

Ⅲ. 한국 건설 산업의 내부 역량 분석 - CSF에 비추어 분석
제 1절. 분석의 목적
제 2절. 한국 건설 산업의 역량 분석 - CSF에 기반한 한국 건설 산업 평가
1. CSF 측정 지표의 선정
2. CSF를 통한 한국 건설 산업의 부문별 평가·
3. 시사점·

Ⅵ. 한국 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 - 전략적 대안 도출
제 1절. 분석의 방향
제 2절. 단기 전략 목표
1. CM/PM 역량
2. 기술 역량
3. ERP 시스템 구축
4. 투명하고 효율적인 SRM구축 (Supplier Relationship Management)
제 3절. 장기 전략 목표
1. 설계 역량 확보
2. 인력·자재의 조달 능력 강화
3. value chain 후방 역량 강화
제 4절. 역량 제고와 차별적인 가치 발굴의 필요성

Ⅴ. 결론

본문내용
(1) 기술력
술한 대로 한국 건설 산업의 기술력을 간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global market에서의 수주액을 척도로 비교해보면, 2006년 225대 기업으로 한정한 한국 건설 산업의 해외시장매출액은 약 65억 달러로 조사 대상국 중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었다. 또한, 한국의 건설 기술 수준을 주요 국가들의 기술 수준과 비교·평가한 을 보면, 한국의 건설 기술 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아직 기술력 측면에서는 한 수 아래라고 간주되는 중국과의 기술 격차도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전반적인 기술 열위는 에서 보는 것처럼 세부 공정별로 살펴봐도 마찬가지였다.

(2) 설계 및 엔지니어링 역량
한국 건설 업체들의 global design market에서의 점유율을 척도로 설계 부문 역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해 본 결과 같았다. 6개의 한국 기업은 200대 design firm 목록에 이름을 올려놓고 있었지만, 모두 150위권 밖이었고 시장점유율은 불과 0.6%에 불과했다. 또한, 한국 건설업체들은 외국 선진 업체들에 비해 설계 역량이 크게 뒤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설업체들의 EC화하면서 전통적인 시공 프로세스는 물론 설계 분야까지 가치사슬의 일부로 편입하는 경향에 한국 업체들이 발 빠르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방증한다.

(3) CM/PM 역량
먼저 CM/PM 관련 법령·제도를 검토해 보면, 한국 건축 시장은 각종 보호와 규제가 다소 지나치다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제도적 경직성은 비용 절감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직발주 도입을 금지하고, 공기 단축을 위한 fast track의 적용을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CM at risk 등 다양한 계약 방식의 적용이 어렵게 되어 있어 결과적으로 CM의 유효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발주자 측면에서 보면, 일부 정부기관의 경우 CM/PM이 도입될 경우 발주자 권한 이양에 따른 기득권 상실 및 역할 축소에 대한 우려로 CM/PM 도입 자체를 반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설사 공공 CM/PM 프로젝트가 도입된 경우에도 기존의 역할과 권한을 유지하려는 발주자의 태도로 발주자와 CM/PM사 간의 업무 중복 및 중복 투자가 발생하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 운용되고 있는 CM/PM 서비스는 사실상 감리 서비스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을 뿐이며, 실제로 본 논문의 분석 대상인 한국 건설 업체 중에서 CM/PM 역량으로 인정받고 있는 기업은 단 한 개사도 없었다. 세계적인 건축 업체들이 CM/PM을 통해 발주자의 전문성 부족을 보완하고 신속하고 저렴한 프로젝트 완성을 꾀하면서 차별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한국 건설 산업의 CM/PM 역량은 외국 선진업체들에 비해 상당히 뒤처진다고 평가할 수 있다.

(4) 한국 건설 산업의 독자적 역량 - 시공 역량과 문화적 유사성
한국 건설 산업의 특징적인 역량 내지 측면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다. 첫째, 한국 건설 산업은 시공 분야에서 제한적이나마 뛰어난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다. 세계적인 해수 담수화 플랜트 시공 기술력으로 시장 점유율 1위를 확보하고 있었고, 초장대 교량 건설 부문에서도 뛰어난 기술을 확보하고 있었으며, 초고층 빌딩을 단기간에 건설할 수 있는 핵심적인 시공 기술을 확보하고 있었다. 한국 건설업의 시공 기술력은 비록 일부 분야에 한해서만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었으나, 공기 단축 능력 및 가격 경쟁력과 맞물려 한국 업체들이 개도국 시장에서 선전하는 핵심 역량으로 작용했다.
둘째, 한국 건설 산업은 짧은 공기·저렴한 가격 등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었다. 다만 이러한 가격 경쟁력의 우위가 타 매니지먼트 요소를 희생시키지 않으면서 원가 절감을 달성하는 소위 ‘창조적인 원가 절감’의 결과가 아니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가격 경쟁력을 지속적인 비교 우위의 원천으로 승화시키기 위해서는 가격 경쟁력 그 자체에 신경을 쓰기 보다는, 조달 능력·CM/PM 능력 제고를 통해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중장기적 성과로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 건설업계는 특히 중동 시장을 중심으로 한 개도국 시장에서 발주자 측과 친밀한 유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EPC 형태로 플랜트 계약이 수주된 경우에도 한국 업체들은 발주자와의 유대 관계를 잘 이용하여 EPC 계약에서 시공 분야는 별도로 계약하도록 로비를 하여 플랜트 시공권을 따냈던 사례가 있을 정도이다. 이러한 발주자와의 우호적인 관계는 업계 자체의 노력, 국가 차원의 건설 외교의 결과로 볼 수 있으나, 이것을 한국 건설 산업의 경쟁력으로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한국 건설업체들이 선진 외국 업체와 비슷한 수준의 경쟁력을 가지고 있을 때 우호 관계가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는 있겠지만, 우호 관계가 전적인 비교 우위 요소로 작용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넷째, 건설 시장을 주택 시장으로만 한정해서 보면 한국 건설업체들이 설계·시공한 주택이 개도국 시장—특히, 중국 시장 및 베트남을 중심으로 한 동남아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데, 그 인기의 이면에는 한국과 현지 국가 간 문화적 유사성이 작용한 측면이 크다고 한다. 예컨대, 한국식 주택의 난방 시스템이나 방의 구조, built-in 가구의 사이즈 등 세세한 측면이 현지인의 정서에도 잘 부합한다고 한다. 이러한 문화적 유사성은 본 논문의 분석 대상인 일부 국가의 주택 시장에서만 한정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 건설업체들의 보편적인 역량으로 분류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하지만 한국 건설업체들이 문화적 유사성을 중국 주택 시장 확보의 무기로 훌륭하게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 건설 산업의 CSF 중 하나로 꼽는 데에는 무리가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해외건설시장 경쟁 패러다임의 변화와 시사점
한국건설산업연구원 ㆍ 이복남

건설산업의 당면과제
국토연구원 ㆍ 최윤호

한국과 미국 건설산업의 과거 10년 진단과 향후 경쟁력 제고 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ㆍ 이복남

해외건설 활성화와 글로벌 건설 전문가 양성
한국건설산업연구원 ㆍ 이지연

세계 플랜트 건설시장 전망과 시사점
한국건설산업연구원 ㆍ 장현승

현행 건설 입찰제도 무엇이 문제인가
LG경제연구원 ㆍ 김성식

유비쿼터스 세상이 열린다
LG경제연구원 ㆍ 배수한

위기의 건설업 활로 모색 시급
LG경제연구원 ㆍ 배재성

일본 건설업체의 해외시장 진입 전략
건설교통부 ㆍ 김민형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