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의 다양성과 그 요인

 1  아리랑의 다양성과 그 요인-1
 2  아리랑의 다양성과 그 요인-2
 3  아리랑의 다양성과 그 요인-3
 4  아리랑의 다양성과 그 요인-4
 5  아리랑의 다양성과 그 요인-5
 6  아리랑의 다양성과 그 요인-6
 7  아리랑의 다양성과 그 요인-7
 8  아리랑의 다양성과 그 요인-8
 9  아리랑의 다양성과 그 요인-9
 10  아리랑의 다양성과 그 요인-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아리랑의 다양성과 그 요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글
2. 아리랑의 다양성을 결정하는 요인
3. 아리랑의 지역별 다양성
4. 나가는 글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들어가는 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민요 중 하나인 아리랑은 ‘아리랑……’ 또는 ‘아라리……’와 이들의 변이를 여음(후렴 또는 앞소리)으로 지니고 있는 일군의 민요로, ‘아리랑’이라는 명칭은 이들 여음에서 비롯되고 있다. 강평원(2004).『아리랑 시원지를 찾아서』. (서울:청어). p117
‘아리랑’은 한민족의 소리이다. 한국 사람이라면 언제, 어디서 배웠는지 자신도 모르게 아리랑을 알고 있다. 옛날부터 아리랑은 농부에게는 권농가로, 시집온 며느리에게는 시집살이의 고단함을 달래주는 노래로, 고향을 떠나 타향살이를 하는 사람에게는 고향을 그리워하는 노래로, 사랑하는 연인들에게는 사랑가로 우리의 삶을 대변해주는 노래로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내려왔다. 이렇게 개개인의 아픔과 가난, 기쁨, 사랑 등 인생의 희노애락(喜怒哀樂)을 토로하는 아리랑은 그 자체가 우리 민족의 감정 복합체인 동시에 다양성이기도 하다.
이러한 아리랑은 지방에 따라 형식과 느낌이 다르다. 그러나 아리랑의 기본적인 성격과 의미 등은 주로 남녀 간의 상사, 애정관계를 중심으로 한다. 언뜻 보면, 아리랑은 단순한 사랑 노래 같지만 그 속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개개인의 삶과 사회로 인한 고통을 노래한다. 특히, 아리랑은 일제강점기 때의 고통과 설움, 탐관오리에 대한 원한 등 저항성 또한 들어가 있어, 우리 민족의 공통의 한을 노래하기도 했다.
우리나라 행정 구역상 특징을 보면 각 도별로 그 지방색이 눈에 띄게 구분이 되곤 한다. 각 지방의 자연적인 환경이 각각 다르고, 이에 따라 사람들의 삶의 형태 즉, 인문적인 환경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민요에 있어서도 지방별 분류는 많은 학자들에 의해 논의되어 왔다.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인 아리랑도 마찬가지이다. 아리랑의 선율은 각 지방마다 특유의 토리로 구성되어 있고, 그 장단도 서로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여기서는 지방을 중심으로 분류 기준을 정하고자 한다. 또한 모든 아리랑의 종류를 논하기 어려우므로 경기도와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로 지역을 한정할 것이다. 또한 각 도를 대표할 수 있는 강원도의 정선 아리랑, 경상도의 밀양 아리랑, 전라도의 진도 아리랑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앞으로 이어지는 2장에서는 경기도,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그리고 해외에 퍼져있는 아리랑을 통해 각 지방별 아리랑의 특징과 다양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해외 사례로는 중국 조선족의 아리랑, 러시아 사할린 주의 아리랑, 일본의 아리랑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그 다양성과 원인을 조사했다. 3장에서는 아리랑이 각 지방마다 달라진 된 원인을 짚어 보고자 한다. 크게 구비문학의 특성, 환경적인 요인, 경제적 요인, 개방성과 폐쇄성에 따른 접근성에 의한 요인, 그리고 음악적 특성인 토리 이렇게 네 가지로 분류해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 장인 4장에서는 본문 내용을 간단히 정리․요약하면서 지리적 연구로서 아리랑이 지니는 가치를 생각해보며 마무리하려 한다.


2. 아리랑의 다양성을 결정하는 요인

1)환경적인 요인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서 그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모습과 행태, 생각 등이 달라진다. 여기서 환경적인 요인이란 기후, 지형과 같은 자연적인 요인을 의미한다. 아리랑은 이렇게 환
참고문헌

1. 저서
이정면, 2007, 『한 지리학자의 아리랑 기행』, 이지출판.
강평원, 2004, 『아리랑 시원지를 찾아서』, 청어.

2. 논문
유명희, 2005, 「아라리 연구」, 한림대학교대학원.
박상훈, 2001, 「각 지방 아리랑의 음악적 특징 및 비교, 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이창식, 2001, 「아리랑의 정체성과 현장성」, 정선아리랑심포지움 발제논문.

3. 사이트
정선아리랑 전수회 (http://www.jsarirang.or.kr)
정선아리랑 연구소 (http://www.arirang.re.kr)
사이버 국악교실 (http://www.koreandb.net/Kmusic)
아리랑 (http://www.pungmuak.com/framesori/arirang.htm)
밀양시청 (http://www.miryang.go.kr/main)
정선군청 (http://www.jeongseon.go.kr)

4. 신문
전원경, (2002.06.13) ‘일본으로 간 아리랑’, 동아일보.
(http://www.donga.com/docs/magazine/weekly/2004/10/12/200410120500037/200410120500037_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