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지역의 실태와 발전 방안

 1  농촌 지역의 실태와 발전 방안-1
 2  농촌 지역의 실태와 발전 방안-2
 3  농촌 지역의 실태와 발전 방안-3
 4  농촌 지역의 실태와 발전 방안-4
 5  농촌 지역의 실태와 발전 방안-5
 6  농촌 지역의 실태와 발전 방안-6
 7  농촌 지역의 실태와 발전 방안-7
 8  농촌 지역의 실태와 발전 방안-8
 9  농촌 지역의 실태와 발전 방안-9
 10  농촌 지역의 실태와 발전 방안-10
 11  농촌 지역의 실태와 발전 방안-11
 12  농촌 지역의 실태와 발전 방안-12
 13  농촌 지역의 실태와 발전 방안-13
 14  농촌 지역의 실태와 발전 방안-14
 15  농촌 지역의 실태와 발전 방안-15
 16  농촌 지역의 실태와 발전 방안-16
 17  농촌 지역의 실태와 발전 방안-17
 18  농촌 지역의 실태와 발전 방안-18
 19  농촌 지역의 실태와 발전 방안-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농촌 지역의 실태와 발전 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고흥군 소개
3. 고흥군 인구 현황
4. 고흥군 재정자립도
5. 고흥군의 지역내총생산(GRDP)
6. 농업현황
7. 국토이용현황
8.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는 1960년대 산업화를 시작으로 경제발전이 이루어지면서 도서성장과 함께 도시화가 이루어졌다. 1963년에는 도시인구율이 42.6%에 이르렀으며 1971년 박정희 대통령의 중화학공업 선언으로 인해 중화학 공업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와 대기업 집중육성 등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경제의 고도성장을 이루어내면서 도시성장과 도시화의 진전속도는 더욱 빨라지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1970년 도시인구율은 50%를 상회하는 등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급격히 도시화가 진행되었고, 효율성과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개발 및 이용이 이루어지면서 점점 도시가 성장하여 1975년에는 도시인구율이 59.4%에 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접근성이 뛰어난 도심지역에는 엄청난 지대를 부담하는 사무․업무시설과 유통․서비스 시설들이 들어섰으며 수도권과 지방에 공업도시 등이 육성되면서 도시인구는 급증하게 된다.

인구의 이동 요인에는 경제적인 요인, 삶의 질에 관한 요인, 그리고 지방재정요인을 들 수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경제발전 초기의 단계에서는 많은 수의 농촌인구가 경제적인 혜택을 위해 도시로 이동하였으며, 이후 여러 복합적인 요인들에 인해 인구의 도시집중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급격한 도시화는 자본의 집중화를 불러왔고 도시를 중심으로 고도의 경제발전을 가능케 해주었다. 하지만 이런 급격한 성장은 도시와 농촌 간의 지역격차를 심화시키고 농촌에서의 생활을 어렵게 하여 이촌향도 현상을 가속화 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들로 인해 국토의 불균형은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국토 불균형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발전 정도가 아주 낙후된 농촌 지역을 선정해 분석하는 것이 유효할 것이다. 우리는 그래서 한나라당 권오을 의원이 발표한 ‘활력지역순위’에서 조사대상 234개 지역 중 209위에 선정된 고흥군을 선정했다. 다음부터는 고흥군의 실태와 발전 방안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2. 고흥군 소개(출처 : 고흥넷 http://egh.co.kr)

제1절 위치와 군 경계

고흥군은 한반도의 서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라남도의 동남단에 돌출한 고흥반도와 172개의 도서들로 구성되어 있다. 북쪽 보성군과의 경계를 제외한 나머지가 모두 남해에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이나 교통면에 있어서 해양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참고문헌
김성태,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재정자립도 결정요인분석」, 한국동서경제학회, 2004.
정세욱, 「지방재정자립도-그 의의와 문제점」, 고시계사, 1982.
김정호, 이병훈, 강소영. {(1990·1995·2000년 농업총조사로 본) 시·군농업통계표}.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4.
김정호, 김태곤, 김배성, 이병훈. {(1990·1995·2000) 농업총조사에 의한 농업구조 변화 분석}. 서울: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3.
우종현. [산업화이후 한국의 농업과 농가 경제의 변화], {地理學論究}. 제22호. 서울:慶北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地理學科, 2002.
손정훈, [식품과 위생Ⅰ] 중

웹사이트

국가통계포털 http://www.kosis.kr/
통계청 http://www.nso.go.kr/
한국농촌경제연구원 http://www.krei.re.kr/
고흥군청 http://www.goheung.go.kr/main.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