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 6.4 천안문사태로 인해 야기된 중국의 문화적 상황변화 연구

 1  [사회학] 6.4 천안문사태로 인해 야기된 중국의 문화적 상황변화 연구-1
 2  [사회학] 6.4 천안문사태로 인해 야기된 중국의 문화적 상황변화 연구-2
 3  [사회학] 6.4 천안문사태로 인해 야기된 중국의 문화적 상황변화 연구-3
 4  [사회학] 6.4 천안문사태로 인해 야기된 중국의 문화적 상황변화 연구-4
 5  [사회학] 6.4 천안문사태로 인해 야기된 중국의 문화적 상황변화 연구-5
 6  [사회학] 6.4 천안문사태로 인해 야기된 중국의 문화적 상황변화 연구-6
 7  [사회학] 6.4 천안문사태로 인해 야기된 중국의 문화적 상황변화 연구-7
 8  [사회학] 6.4 천안문사태로 인해 야기된 중국의 문화적 상황변화 연구-8
 9  [사회학] 6.4 천안문사태로 인해 야기된 중국의 문화적 상황변화 연구-9
 10  [사회학] 6.4 천안문사태로 인해 야기된 중국의 문화적 상황변화 연구-10
 11  [사회학] 6.4 천안문사태로 인해 야기된 중국의 문화적 상황변화 연구-11
 12  [사회학] 6.4 천안문사태로 인해 야기된 중국의 문화적 상황변화 연구-12
 13  [사회학] 6.4 천안문사태로 인해 야기된 중국의 문화적 상황변화 연구-13
 14  [사회학] 6.4 천안문사태로 인해 야기된 중국의 문화적 상황변화 연구-14
 15  [사회학] 6.4 천안문사태로 인해 야기된 중국의 문화적 상황변화 연구-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사회계열
  • 2008.12.27
  • 15페이지 / hwp
  • 2,500원
  • 75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학] 6.4 천안문사태로 인해 야기된 중국의 문화적 상황변화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6.4 천안문 사태를 포함한 중국 현대사
2. 연구의 필요성 및 방법

Ⅱ 본론
1. 6.4천안문 사태의 개황
1.1 천안문 사태의 발생원인
1.1.1 발생배경
1) 경제적 상황
2) 정치적 상황
1.1.2 전개과정
2. 천안문 사태 이후의 중국의 문화적 상황변화
2.1 천안문 사태의 결과 및 영향
2.1.1 정치적 차원
2.1.2 경제적 차원
2.1.3 국제관계
2.2 사태 이후의 중국의 문화적 변화
2.2.1 1989년 직후
2.2.2 1992년 등소평의 개혁개방정책 천명 이후
2.2.3 강택민 집권 이후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989년 6월 4일 미명에 민주화를 요구하며 베이징의 톈안먼 광장에서 연좌시위를 벌이던 학생 ·노동자 ·시민들을 계엄군을 동원하여 탱크와 장갑차로 해산시키면서 발포, 많은 사상자를 낸 사건이다. 당시 베이징에서는, 그해 4월 15일 후야오방[胡耀邦]이 사망한 후, 팡리즈[方勵之] 등 지식인을 중심으로 후야오방의 명예회복과 민주화를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었다. 특히, 학생들은 노동자 ·지식인을 포함한 광범위한 시민 층을 대표하여 5월 13일 이래, 베이징대학과 베이징사범대학을 중심으로 전국에서 모인 학생대표들과 함께 톈안먼 광장에서 단식연좌시위를 계속했다. 5월 15일 소련의 고르바초프가 베이징에 도착했으나, 17일 발생한 100만 명이 넘는 대규모시위로 일정을 변경해야만 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에 당국은 학생들의 시위를 난동으로 규정, 베이징 시에 계엄을 선포했다. 한편, 학생들의 요구에 유연한 대응을 보이던 공산당 총서기 자오쯔양[趙紫陽]의 행방이 묘연해지고 그의 해임설이 떠도는 가운데, 덩샤오핑의 후계자로 알려진 양상쿤[楊尙昆] 국가주석과 리펑[李鵬] 국무원 부총리 등 강경파가 주도권을 잡았다. 이들은 6월 3일 밤 인민해방군 27군을 동원, 무차별 발포로 톈안먼 광장의 시위 군중을 살상 끝에 해산시켰으며, 시내 곳곳에서도 수천 명의 시민 ·학생 ·군인들이 시위 진압과정에서 죽거나 부상했다. 이 사건은 당시 중 ·소 수뇌회담 취재차 입국했던 외국 기자들에 의해 즉각 전 세계로 보도되었으며, 미국을 비롯한 유럽 여러 나라는 이와 같은 비인도적 처사에 항의, 강력한 비난성명을 냈다.
이 사건 이후 민주화운동의 상징적 인물이 된 천체물리학자 팡리즈는 미국 대사관으로 피신하였다. 이른바 ‘피의 일요일’로 불리는 이 사건 이후 중국 지도부는 반혁명분자에 대한 숙청, 개인숭배 조장, 인민들에 대한 각종 학습 등 체제굳히기와 함께 개방정책 고수를 천명하고, 마르크스 레닌주의의 확립을 내세우는 등 이율배반적 태도를 보여 왔으며, 특히 동유럽의 민주화 물결을 극복하는 데 안간힘을 쏟고 있다.
참고문헌
이대우 현대중국의 정치, 부산대학교출판부, 2003년
文興鎬 13억인의 미래. 당대, 1996년
文興鎬 中蘇硏究. “國有企業改革和體制安定”, 제23권 4호, 2002년 2월
金樂熙 國際問題. “江澤民과 中國의 政治體制”, 1997년 12월
김하룡․ 장현표 新중국정치론. 나무와 숲, 2002년
제임스 왕 현대 중국 정치론. 도서출판 그린, 1997년
김영화 강택민과 중국정치. 문원, 1997년
김영화 등소평 리더십과 중국의 미래. 문원, 1995년
서진영 鄧小平死後 中國政治體制와 權力構造의 變動展望. 고려대학교
편집부역, 강택민과 이붕, 도서출판 인의, 1990년
양중메이, New china Leader 후진타오 , 한국경제신문사 2004년
류동회, 그들이 중국을 움직인다. 2004년 도서출한 한울
하고 싶은 말
성심껏 작성하였습니다...많은 관심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