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과학과 수행평가

 1  [교육과정] 과학과 수행평가-1
 2  [교육과정] 과학과 수행평가-2
 3  [교육과정] 과학과 수행평가-3
 4  [교육과정] 과학과 수행평가-4
 5  [교육과정] 과학과 수행평가-5
 6  [교육과정] 과학과 수행평가-6
 7  [교육과정] 과학과 수행평가-7
 8  [교육과정] 과학과 수행평가-8
 9  [교육과정] 과학과 수행평가-9
 10  [교육과정] 과학과 수행평가-10
 11  [교육과정] 과학과 수행평가-11
 12  [교육과정] 과학과 수행평가-12
 13  [교육과정] 과학과 수행평가-13
 14  [교육과정] 과학과 수행평가-14
 15  [교육과정] 과학과 수행평가-15
 16  [교육과정] 과학과 수행평가-16
 17  [교육과정] 과학과 수행평가-17
 18  [교육과정] 과학과 수행평가-18
 19  [교육과정] 과학과 수행평가-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과정] 과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과학과 수행평가의 의미
1. 수행 평가의 정의
2. 수행 평가의 배경
3. 수행평가의 특징
4. 수행평가의 체제

Ⅱ. 수행평가의 유형과 방법
1. 수행평가의 주체
2. 수행평가의 방법

Ⅲ. 각 수행평가 유형별 문항 작성 및 검토
1. 개념도
2. 브이다이어그램
3. 마인드 맵
4. 조사연구
5.면담법
6. 보고서법
7. 포트폴리오

Ⅳ. 과학과 수행평가 과제 개발과 문항 제작 및 유의점
1. 수행평가의 과제
2. 수행평가의 과제 개발
3. 과학과 수행평가 문항 제작

Ⅳ. 과학과 수행평가 평가의 채점과 기록
1. 수행평가의 준거와 기준
2. 과학과 수행평가 채점 방법
3. 과학과 수행평가 자료의 기록
본문내용
< 과학과 수행평가 >


Ⅰ.과학과 수행평가의 의미

1.수행평가의 정의
수행평가에 대한 외국 학자들의 정의는 선택형 검사 이외의 대안적인 방식을 포괄적으로 규정하려는 입장과 평가자의 관찰과 전문적인 판단을 강조하는 입장으로 크게 나누어 정리할 수 있다.
①대안평가로서의 수행평가: 수행평가는 80년대 말에서 90년대 초에 이르러 시작되었으며 이는 그때까지 평가방법의 총화로 여겨왔던 선다형 표준화 검사문상의 한계(과학에서 우리가 진정으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즉, 탐구사고력 등의 고차적 사고력이나 문제해결력과 같은 것들을 제대로 평가해 내지 못한다는 점)가 드러나면서 그에 대한 대안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②참평가(실제평가)로서의 수행평가: 진실로 알아보고자 하는 학생의 학습정도(이 때의 학습은 상대평가에 의한 학생의 상대적 자리매김이나 단순지식의 암기에 성공하였는가가 아니라 구성주의적 입장에서 보는 학생 스스로의 내면화를 통한 교과내용의 습득을 의미함)를 평가해 내는 방법이다.
③참수행평가로서의 수행평가: 진정한 학습은 학습내용의 완전한 자기내면화가 이루어진 후에야 비로소 이 내용들의 적용이나 실행이 있을 수 있으며, 역으로 말하면 완전한 자기내면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는 의미 있는 행동을 할 수 없을 것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하여 수행과정과 그 결과를 즉 수행을 통해 학습된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위의 3가지 용어들을 가지고 본다면 가장 발전적인 용어는 참 수행평가라고 할 수 있다 - 참 수행평가는 학생의 진정한 학습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과 수행이라는 방법까지도 제시하기 때문임.

2. 수행평가의 배경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교육평가의 개혁 물결이 우리나라에도 밀려왔다. 수행평가의 도입이 그 증거이다. 특히, 과학 과에서 새로운 평가의 도입은 중요하면 시급하다. 그 이유는 주요 선진국들이 새로운 평가 방법의 도입을 통해서 미래 지향적인 교육을 실시하여, 21세기 정보화 시대에 적합한 창의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능력을 갖춘 시민 양성을 도모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학교 교육은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능력이나 창의성을 길러주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로 떠오른 것이 수행평가이다.
수행평가는 사회적 변화와 더불어 평가 패러다임의 변화 그리고 학습관의 변화와 함께 발달하였다.

①사회적 변화: 21세기의 정보화, 세계화, 개방화, 다양화, 자율화 등으로 나타나는 미래 사회에 대비한 바람직한 인간교육을 의미한다. 교육의 가장 일반적인 목표는 인간을 체제에 적응시키는 것, 그리고 학생들이 현재와 미래, 학교 및 외부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특정 시기마다 요구되는 기능들은 동일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