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문학기행] 한용운

 1  [영상문학기행] 한용운-1
 2  [영상문학기행] 한용운-2
 3  [영상문학기행] 한용운-3
 4  [영상문학기행] 한용운-4
 5  [영상문학기행] 한용운-5
 6  [영상문학기행] 한용운-6
 7  [영상문학기행] 한용운-7
 8  [영상문학기행] 한용운-8
 9  [영상문학기행] 한용운-9
 10  [영상문학기행] 한용운-10
 11  [영상문학기행] 한용운-11
 12  [영상문학기행] 한용운-12
 13  [영상문학기행] 한용운-13
 14  [영상문학기행] 한용운-14
 15  [영상문학기행] 한용운-15
 16  [영상문학기행] 한용운-16
 17  [영상문학기행] 한용운-17
 18  [영상문학기행] 한용운-18
 19  [영상문학기행] 한용운-19
 20  [영상문학기행] 한용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상문학기행] 한용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발표 요약문
2. 생애
3. 일반적 평가
4. 대표시집 소개
5. 대표작 분석 및 이해
6. 답사 과정 소개
7. 관련 사이트 소개
8. 참고 문헌 및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1. 발표 요약문
문학이라는 것은 작가의 경험에 창조가 더해져 만들어 지는 것으로, 한용운 님의 문학의 배경이 되는 그의 행적을 주목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용운 님의 문학에 있어 매우 특별하다고 할 수 있는 점은 바로 ‘님’이 매우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는 것에 있는 바, 인간적인 면모, 종교인으로의 삶, 독립 운동에 관련된 일화 등을 추적해, 한용운 님의 ‘님’이 왜 그리 다양할 수 밖에 없었으며, 그의 문학적 세계를 구성하는 요소 역시 이로부터 유추해 보고자 합니다.


2. 생애
[연보]
1879년
- 8월 29일, 충남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 491번지에서 한응준의 둘째 아들로 출생. 본관은 청주, 자는 정옥, 속명은 유천. 어머니는 온양 방씨.
1892년
-향리에서 천안 전씨 전정숙과 결혼.
1896년
-17세 때 홍주의 을미의거에 가담했으나, 다음 해 의거가 실패로 끝나자 출 가하여 백담사를 전전했다.
1899년
-강원도 인제군 내설악 백담사 등지를 전전함.
1904년
(25세)
- 봄에 다시 고향인 홍성으로 내려가 수개월간 머물다 출가.
- 12월 21일, 맏아들 보국 출생(보국이라는 이름에서도 나라를 지키겠다는 다 짐이 드러난다.). 여담으로, 장남 내외는 북에서 사망하고 현재 북에 손녀 셋이 거주.
1905년
- 1월, 백담사 김연곡사에게서 득도하고 같은 곳에서 전영제사에 의하여
수계.
1908년
- 금강산 유점사에서 서월화사에게 화엄경을 수학.
- 4월, 일본의 시모노세키, 교토, 도쿄, 닛코 등지를 주유하며 신문물을 시찰. 도쿄 조동종대학에서 불교와 서양 철학을 청강. 아사다 후상 교수와 교유하 고 유학중이던 최린과도 사귄 뒤 그해 10월 귀국.
- 10월, 건봉사 이학암사에게 반야경과 화엄경을 수료.
- 12월 10일, 서울에 경성명진측량강습소를 개설, 소장에 취임
1910년
- 백담사에서 ‘조선불교유신론’ 탈고.
1911년
- 박한영, 진진웅, 김종래, 장금봉 등과 순천 송광사, 동래 범어사에서 승려 궐기 대회를 개최하고 한일불교동맹조약 체결을 분쇄.
- 3월 15일, 범어사에서 조선임제종 종무원 설치, 서무부장 취임.
- 3월 16일, 조선임제종 관장서리에 취임.
1912년
- 경전의 대중화를 위해 ‘불교대전’ 편찬을 계획. 경남 양산 통도사의 대장 경 1511부, 6802권 열람 시작.
- 장단군 화장사에서 ‘여자단발론‘ 탈고
1913년
- 4월, 불교강연회 총재 취임. 박한영, 장금봉 등과 불교종무원을 창설.
- 5월, 통도사 불교 강사에 취임. 불교서관에서 ‘조선불교유신론’발행.
1914년
- 4월 30일, 범어사에서 ‘불교대전’ 발행.
- 8월, 조선불교회 회장에 취임.
1915년
- 10월, 영호남 지방의 사찰을 순례하며 강연회 개최.
- 조선선종 중앙포교당 포교사에 취임.
1917년
- 4월 6일, 신문관에서 ‘정선강의 채근담’ 발행.
- 12월 3일, 밤 10시 경 오세암에서 좌선중 진리를 깨치고, 오도송 남김.
1918년
- 9월, 서울 계동 43번지에서 월간지 ‘유심’ 창간. 다수의 작품 발표.
1919년
1919년
- 1월,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제창과 관련하여 최린, 오세창 등과 조선 독립을 숙의. 이 후 31운동의 주동자로 손병희를 포섭, 최남선이 작성한 독립 선 언서의 자구 수정을 하고 공약삼장을 첨가.
- 3월 1일, 태화관에서 33인을 대표하여 독립선언 연설. 서대문형무소에 투옥.
- 7월 10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조선독립이유서’를 기초하여 제출.
1921년
- 가을, 만기 감형으로 출옥.
1924년
- 10월 24일, 중편소설 ‘죽음’ 탈고 (미발표)
- 조선불교청년회 총재에 취임.
1925년
- 6월 7일, 오세암에서 ‘십현담주해’ 탈고.
- 8월 29일, 오세암에서 ‘님의 침묵’ 탈고.
1926년
- 5월 15일, 법보회에서 ‘십현담주해’ 발행.
- 5월 20일, 회동서관에서 시집 ‘님의 침묵’ 발행.
- 12월, 동아일보에 ‘가갸날에 대하여’ 발표.
1927년
- 1월, 신간회 발기.
- 5월, 신간회 중앙집행위원 겸 경성지회장에 선출. 이후 조선불교청년회의 체제를 개편하여 조선불교총동맹으로 개칭하고, 불교 대중화에 노력.
- 7월, 동아일보에 수필 ‘여성의 자각’ 발표.
- 8월, 잡지 별곤건에 회고담 ‘죽었다가 살아난 이야기’ 발표. 경성지회장 사임.
1928년
- ‘건봉사급건봉사말사사적’ 편찬, 건봉사에서 발행.
- 1월, 별건곤에 수필 ‘천하명기 황진이’ 발표.
- 6월, 별건곤에 논설 ‘전문 지식을 갖추자’ 발표.
1930년
- 1월, 잡지 조선농민에 논설 ‘소작 농민의 각오’ 발표.
- 별건곤에 수필 ‘남모르는 나의 아들’ 발표
1931년
- 6월, 잡지 불교를 인수하여 사장으로 취임. 다수의 논설 발표.
1932년
- 1월, 조선일보에 수필 ‘평생 못 잊을 상처’ 발표. 불교에 ‘원숭이와 불 교’ 발표.
- 불교 지에서 활발한 활동. 다수의 논설 발표.
1933년
- 잡지 불교에 다수의 논설 발표.
- 9월, 삼천리에 수필 ‘시베리아 거쳐 서울로’ 발표.
- ‘유마경’ 번역 시작.
- 유숙원과 재혼.
1934년
- 9월 1일, 딸 영숙 출생.
1935년
- 3월 8~13일에 걸쳐, 조선일보에 회고담 ‘북대륙의 하룻밤’ 발표.
- 4월 9일, 조선일보에 장편소설 ‘흑풍’ 연재 시작.
1936년
- 조선중앙일보에 장편소설 ‘후회’ 연재. 이후 폐간되어 50회로 중단.
- 단재 신채호의 묘비를 세움.
- 10월, 잡지 조광에 수필 ‘모종신범무아경’ 발표.
1937년
- 3월 1일, 재정난으로 휴간되었던 불교를 속간하여 신불교 간행. 소설 ‘철 혈미인’ 연재.
- 3월 3일, 일송 김동삼의 유해를 심우장에 모시며 5일장을 지냄.
1938년
- 신불교를 통해 다수의 논설 발표.
1939년
- 11월 1일, 조선일보에 ‘삼국지’를 번역, 연재 시작.
1940년

- 박광, 이동하 등과 창씨개명 반대운동 시작.
- ‘통도사사적’ 편찬을 위해 수백 매의 자료를 수집 (미완성)
1944년
- 6월 29일, 심우장에서 영양실조로 입적. 유해는 미아리 화장장에서 다비한 후 망우리 공동묘지에 안장. 세수 66. 법랍 39.

1879년
- 8월 29일, 충남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 491번지에서 한응준의 둘째 아들로 출생. 본관은 청주, 자는 정옥, 속명은 유천. 어머니는 온양 방씨.
1892년
-향리에서 천안 전씨 전정숙과 결혼.
1896년
-17세 때 홍주의 을미의거에 가담했으나, 다음 해 의거가 실패로 끝나자 출 가하여 백담사를 전전했다.
1899년
-강원도 인제군 내설악 백담사 등지를 전전함.
1904년
(25세)
- 봄에 다시 고향인 홍성으로 내려가 수개월간 머물다 출가.
- 12월 21일, 맏아들 보국 출생(보국이라는 이름에서도 나라를 지키겠다는 다 짐이 드러난다.). 여담으로, 장남 내외는 북에서 사망하고 현재 북에 손녀 셋이 거주.
1905년
- 1월, 백담사 김연곡사에게서 득도하고 같은 곳에서 전영제사에 의하여
수계.
1908년
- 금강산 유점사에서 서월화사에게 화엄경을 수학.
- 4월, 일본의 시모노세키, 교토, 도쿄, 닛코 등지를 주유하며 신문물을 시찰. 도쿄 조동종대학에서 불교와 서양 철학을 청강. 아사다 후상 교수와 교유하 고 유학중이던 최린과도 사귄 뒤 그해 10월 귀국.
- 10월, 건봉사 이학암사에게 반야경과 화엄경을 수료.
- 12월 10일, 서울에 경성명진측량강습소를 개설, 소장에 취임
1910년
- 백담사에서 ‘조선불교유신론’ 탈고.
1911년
- 박한영, 진진웅, 김종래, 장금봉 등과 순천 송광사, 동래 범어사에서 승려 궐기 대회를 개최하고 한일불교동맹조약 체결을 분쇄.
- 3월 15일, 범어사에서 조선임제종 종무원 설치, 서무부장 취임.
- 3월 16일, 조선임제종 관장서리에 취임.

참고문헌
⦁ 송경원의 국어공부방 : http://songkw.com.ne.kr/
(한용운의 시 ' 타고르의 시 (GARDENISTO)를 읽고' 의 해석과 그 심층적 의미이해)
⦁ 시 내용 분석 : http://blog.daum.net/jazzpodo/7429178
http://cafe.naver.com/happybring/3
http://cafe.naver.com/daehwa2/36
⦁ 한용운 시의 현재성 : http://noolbyun.net/
⦁ http://blog.daum.net/yhjho55
⦁ 만해 한용운 평전 : 김광식 지음, 장승출판사, 2004
⦁ 님 (Nihm_The Lover) : 계간지 (계절마다 발행하는 잡지), 만해학술원, 2007
⦁ 유심 : 만해사상실천선양회, 2007
⦁ 문향을 따라가다 : 한국 문학관 협회
⦁ 제 9기 만해학교 : 만해기념관, 2005
⦁ 역사관 생존 선열의 육성 증언 (이규창, 이병희) : 동영상 자료
⦁ 만해 한용운 평전 : 김삼웅 지음, 시대의 창, 2006
⦁ 한국의 현대시 : 김흥규 지음
⦁ 한국의 명시 해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