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론] 제 7 차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및 심화선택 `독서` 분석

 1  [국어교육론] 제 7 차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및 심화선택 `독서` 분석-1
 2  [국어교육론] 제 7 차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및 심화선택 `독서` 분석-2
 3  [국어교육론] 제 7 차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및 심화선택 `독서` 분석-3
 4  [국어교육론] 제 7 차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및 심화선택 `독서` 분석-4
 5  [국어교육론] 제 7 차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및 심화선택 `독서` 분석-5
 6  [국어교육론] 제 7 차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및 심화선택 `독서` 분석-6
 7  [국어교육론] 제 7 차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및 심화선택 `독서` 분석-7
 8  [국어교육론] 제 7 차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및 심화선택 `독서` 분석-8
 9  [국어교육론] 제 7 차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및 심화선택 `독서` 분석-9
 10  [국어교육론] 제 7 차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및 심화선택 `독서` 분석-10
 11  [국어교육론] 제 7 차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및 심화선택 `독서` 분석-11
 12  [국어교육론] 제 7 차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및 심화선택 `독서` 분석-12
 13  [국어교육론] 제 7 차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및 심화선택 `독서` 분석-13
 14  [국어교육론] 제 7 차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및 심화선택 `독서` 분석-14
 15  [국어교육론] 제 7 차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및 심화선택 `독서` 분석-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교육론] 제 7 차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및 심화선택 `독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읽기’ 영역의 이론적 이해
2.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읽기’ 내용체계
3.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 심화선택과목 ‘독서’
4. 비판 및 교과서 적용 사례
5. 질의응답 및 보충설명
본문내용
1. ‘읽기’ 영역의 이론적 이해

(1) ‘읽기’의 본질 최현섭 외,『국어교육학개론』, 三知院, 2005, 304쪽.

- 읽기는 글과 독자가 만나는 과정에서 독자가 자신의 배경 지식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 :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이나 언어적 정보처리 과정에 임할 때 언어 사용자가 기억 속에 이미 가지고 있는 지식. 스키마 이론에서, 독자는 언어 자료의 내용 그 자체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독자의 기억 속에 저장된 배경 지식을 이용해 해석하고 추론하여 상세화한다.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국어교육학사전』, 대교출판, 1999. 344쪽.
과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의미를 구성하는 행위로서, 사고적인 면, 사회적인 면, 언어적인 면 등이 통합적으로 작용하는 고도의 역동적인 인지적 행위이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645쪽.

읽기
- 문자언어를 통한 발신자와 수신자 의 의사소통 의사소통(communication) : 생물체(사람․ 동물)가 기호를 사용하여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서로 공통된 의미를 수립하고, 나아가 서로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및 행동. 발신자, 메시지, 매체, 수신자, 효과, 상황, 피드백 등으로 구성된다.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608쪽.
과정.
- 가치 지향적․ 유목적적 행위
개인의 측면
공동체의 측면

- 정보의 획득․처리를 위한 사고과정
- 문자 자극에 의해 읽는 이의 정서 및 가 치관이 변해가는 과정

- 특정 언어 공동체를 통합하는 기제
-문자언어로 표상된 문화의 전승․전파과정



(2) ‘읽기’ 관련 이론
- 읽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지도하기 위해서는 읽기의 본질과 과정, 이를 바라보는 관점 등에 대한 선행 이해가 필수적이다. 시대와 주요 이론들의 변천에 따른 읽기 개념의 변화를 알아 보고 이에 따라 읽기와 이것의 교육에 있어서의 본질을 살펴보자.

행동주의학
형태심리학
인지심리학
문화인류학
이론적
접근 방향
-1920년대 후 지배적 영향
-자극․반응․강화
-Pavlov․Thorndike․ Skinner,
-단순 행동→복잡
-읽기 학습=전체를 형성할 때까지 각 부분을 천천히 더해가는 첨가 과정
-1980년대 초
-읽기 학습=전체에서 부분으로 이행
-대상에 대한 인식에 있어 외부 자극만이 아닌 개인의 배경, 필요, 관심 등의 가정을 토대로 해석
-인간=문제를 해결하는 존재
-인지심리학: 아동은 자신이 처한 환경을 탐색하고자하는 욕구로 세계에 대한 정보를 선택, 해석, 통합의 노력을 기울임
-읽기에 적용: 글을 읽는 과정을 통해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수정․ 보완하는 과정을 이행

본질에
대한 관점
-고전적 관점
-읽기=기호해독과정.
즉, 해독중심 읽기관.
- 읽기는 해독과 이해로 양분, 각각의 처리
-과정에 따라 읽기
-기능 연구
-읽기 학습=문자를 음성으로 번역하는 과정 중시

-1980년대 후 등장한 최근의 읽기관
-읽기=독자가 가진 개념을 조작하여새로운 의미 구성.
즉, 독자 중심적 고의 결과물로 이해중심의 읽기관
-읽기의 본질=독자
중심과 ‘이해하기’
-읽기 중 해독의 중요성 간과


(3) ‘읽기’의 과정-크게 상향식, 하향식, 상호보완 모형으로 나뉜다.

최현섭 외, 312쪽.

과정 영역
상향식 읽기
하향식 읽기
글의 의미 소재
글에 내재
글에서 독자가 구성
단어와 이해의 관계
단어 인지는 이해에 필수
단어를 몰라도 이해 가능
정보파악의 단서
단어, 음성-문자 단서 사용
의미, 문법적 단서 사용
읽기 진행방향
해독→어휘→통사→담화
담화, 통사, 어휘 지식→해독
읽기 구성방식
문자를 소리로, 소리를 의미로
의미의 예상과 확인
강조하는 언어 단위
문자, 문자와 음성의 연결, 단어
문장, 문단, 글
읽기 학습
단어인지 기능을 숙달하여 학습
유의미한 활동을 통해 학습
지도의 중점
단어의 정확한 인지
글의 의미 이해
학생평가의 중점
하위기능의 숙달
글에서 얻은 정보의 종류와 양



‘실제 사람들이 글을 읽을 때는 위의 두 과정이 상호영향을 주고받으며 동시에 작용하게 된다.’ 최현섭 외, 314쪽.
는 관점을 전제로 하는 가장 이상적인 독서 모형이라 할 수 있다. 지나치게 글에 대한 해독 위주로 치우쳐 제대로 된 의미의 필․독자 간 커뮤니케이션을 이룰 수 없는 상향식이나, 독자 위주인 반면 글 자체를 정확히 못 읽어낼 수 있다는 한계를 지닌 하향식 모형 등의 각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모형이다.

(4) 읽기교육의 목표 최현섭 외, 317-324쪽.

해독하기 (decoding)
이해하기(comprehension)
독서문화의 형성

- 문자를 시각 자극을 통해 받아들이고, 일련의 정신과정을 거쳐 그 문자의 의미를 파악하는 일
-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해독이다


① 이해방법의 학습
② 읽기 방법에 대한 상위인지 상위인지(metacognition) : 학습자가 자신의 인지적 상황에 유의하면서 과제 수행을 점검, 통제, 조절하는 정신적 기제.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399쪽.
학습

독서행위 자체를 하나의 문화적 맥락에서 파악하고, 그 자체에 가치를 부여하고자 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