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

 1  [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1
 2  [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2
 3  [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3
 4  [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4
 5  [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5
 6  [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6
 7  [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7
 8  [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8
 9  [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9
 10  [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10
 11  [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11
 12  [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12
 13  [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13
 14  [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14
 15  [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15
 16  [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16
 17  [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17
 18  [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18
 19  [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19
 20  [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시인론] 이용악의 시세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용악의 성장환경과 문단활동
1.1 성장환경-두만강의 비극성
1.2 문단활동-영향을 주고받은 문인들

2. 이용악 시집
2.1『분수령』“이용악의 박탈감과 절망”
2.2『낡은 집』“시대에 대한 작은 희망”
2.3『오랑캐꽃』
2.4『이용악집』“민족해방과 새 조국 건설의 꿈”

3. 월북 이후 이용악의 시세계
3.1 조국해방 전쟁시기와 ‘원쑤의 가슴팍에 땅크를 굴리자’
3.2 전후 사회주의 건설시기와 ‘어선 민청호’ 및 ‘평남 관개 시초’

Ⅲ 결론

4. 비극의 시대를 살았던 한 민족주의자의 초상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월북 후 이용악이 북한문단에서 발표한 작품으로는 「평남관개시초」(1956.8), 「우리 당의 행군」(1964), 「땅의 노래」(1966), 「당중앙을 사수하라」(1967), 「붉은 총성을 천백배 불태워」,「오직 수령의 둥지에 뭉쳐」등이 있다. 아울러 김상훈과 함께 번역 출간한 『역대악부시가』(1963)등이 있고, 1968년 시 「날강도 미제가 무릎을 끓었다」이후 작품이 발견되지 않는다.
월북 이후 그의 작품 세계는 북한 당의 정책에서 표방하는 기조에 맞추어 선동적인 시들을 쓰곤 한다. 그러나 이용악은 여타 선동시들이 보여주는 직설적이고 건조한 느낌의 시들이 아닌, 이용악만의 서정성을 확보하며 선동적인 시를 썼다는 점에서 특이성을 엿볼 수 있다. 특히 그 서정성은 자연 혹은 농촌에 기반한 것들이 주류를 있으며 그러한 면모가 월북 이후 그의 역작으로 꼽히는 「평남관개시초」에서도 엿볼 수 있다. 즉 해방이전 분수령, 오랑캐 꽃에서 보여주었던 북방의 정서가 월북 이후에는 농촌과 자연적 서정에 기반한 다양한 변용으로 옮겨갔다고 볼 수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용악의 초기 시와 그와 관련된 여러 문인들을 통해 그의 유년시절과 성장배경, 사상 등을 알아본 후, 그의 시집 네 편의 몇몇 작품을 중심으로 그의 생애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월북을 한 후 그가 선택한 시관과 활동 등을 정리하여 그의 시세계를 전반적으로 정리해본다.

Ⅱ 본론

1. 이용악의 성장 환경과 문단활동

1.1 성장환경 - 두만강의 비극성

이용악은 1914년 국토의 최북단인 함경북도의 도시 경성(鍄城)읍에서 태어났다. 경성은 당시 인구 약 2만5천 가량의 경성군청 소재지로써, 두만강에 연해 있는 작은 소읍이었다. 성내에는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고 남문 밖으로는 시장이 서는 상업구가 있었는데, 이용악의 집은 이 상업구를 벗어난 남쪽 끝에 위치해 있었다. 요컨대 이용악은 국토의 최북단에 위치한 도시의, 그곳에서도 또다시 변두리에서 태어나고 자란 셈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용악의 시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주변부 의식, 떠돌이 의식은 이런 성장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수형․유정 등의 술회에 의하면, 이용악의 가계는 조부 때부터 국경을 넘나들며 상업에 종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두만강 국경지방에서의 중요한 생계수단 중 하나는 소금밀수업 김동환의 , 강경애의 등에서 그 단편을 찾아볼 수 있다.
이었는데, 이런 사실들과 이용악 자신이 쓴, 자전적인 체험의 흔적이 엿보이는 시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그의 가정사가 국경을 배경으로 한 밀수업이라는 불안한 직업을 바탕으로 전개되었으리라는 것을 추측해볼 수 있다.

아버지도 어머니도
젊어서 한창땐
우라지오로 다니는 밀수꾼
눈보라에 숨어 국경을 넘나들 때
어머니의 등곬에 파묻힌 나는
모든 가난한 사람들의 젖먹이와 다름 없이
얼마나 성가스런 짐짝이었을까
-부분

그의 유년시절에 대한 이수형의 술회 ‘행인지 불행인지 젖먹이 때 우리는 방랑하는 아비 어미의 등곬에서 시달리며 무서운 국경 넘어 우라지오 바다며 아라사 벌판을 달리는 이즈보즈이ㅡ 마차에 트로이카에 흔들리어서 갔던 일이며, 이윽고 모도다 홀어미의 손에서 자라울 때’ -이수형, 부분.
와 그의 시를 통해 짐작할 수 있는 또 다른 사실은, 그의 아버지가 일찍 객사했다는 것이다.

어머니는 얼어붙은 우라지오의 바다를
채쭉쳐 달리는 이즈보즈의 마차며 트로이카며
좋은 하늘 못 보고
타향서 돌아가신 아버지의 이야길 하시고
-부분

우리집도 안이고
일갓집도 안인곳
고향은 더욱 안인 곳에서

참고문헌
김영철(2005), 말의 힘 시의 힘, 역락
김인섭(2002),「월북 후 이용악의 시세계-『리용악 시선집』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제15집
김재홍(2008) 「그들의 문학과 생애-이용악」, 한길사
박경수(1991), 1930년대 시의 현실지향과 저항적 문맥, 비교문화연구
박용찬(2004), 해방기 시의 현실인식과 논리, 역락
박용찬(1990), 해방직후 이용악 시의 전개과정 연구, 국어교육연구 Vol.22 No.1
박종석(2001), 한국 현대시의 탐색 , 역락
박철희˙김시태(1990), 작가·작품론, 1 : 詩, 문학과 비평사
유종호(2002), 다시 읽는 한국시인, 문학동네
이용악(1995), 이용악 시전집, 창작과비평사
이철호(1996), 李庸岳論, 國語國文學 論文集, Vol.17 No.-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