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생활사] 홍경래의 난 원인과 배경, 봉기계층, 과정, 결과 및 영향에 대한 고찰

 1  [민중생활사] 홍경래의 난 원인과 배경, 봉기계층, 과정, 결과 및 영향에 대한 고찰-1
 2  [민중생활사] 홍경래의 난 원인과 배경, 봉기계층, 과정, 결과 및 영향에 대한 고찰-2
 3  [민중생활사] 홍경래의 난 원인과 배경, 봉기계층, 과정, 결과 및 영향에 대한 고찰-3
 4  [민중생활사] 홍경래의 난 원인과 배경, 봉기계층, 과정, 결과 및 영향에 대한 고찰-4
 5  [민중생활사] 홍경래의 난 원인과 배경, 봉기계층, 과정, 결과 및 영향에 대한 고찰-5
 6  [민중생활사] 홍경래의 난 원인과 배경, 봉기계층, 과정, 결과 및 영향에 대한 고찰-6
 7  [민중생활사] 홍경래의 난 원인과 배경, 봉기계층, 과정, 결과 및 영향에 대한 고찰-7
 8  [민중생활사] 홍경래의 난 원인과 배경, 봉기계층, 과정, 결과 및 영향에 대한 고찰-8
 9  [민중생활사] 홍경래의 난 원인과 배경, 봉기계층, 과정, 결과 및 영향에 대한 고찰-9
 10  [민중생활사] 홍경래의 난 원인과 배경, 봉기계층, 과정, 결과 및 영향에 대한 고찰-10
 11  [민중생활사] 홍경래의 난 원인과 배경, 봉기계층, 과정, 결과 및 영향에 대한 고찰-11
 12  [민중생활사] 홍경래의 난 원인과 배경, 봉기계층, 과정, 결과 및 영향에 대한 고찰-12
 13  [민중생활사] 홍경래의 난 원인과 배경, 봉기계층, 과정, 결과 및 영향에 대한 고찰-13
 14  [민중생활사] 홍경래의 난 원인과 배경, 봉기계층, 과정, 결과 및 영향에 대한 고찰-14
 15  [민중생활사] 홍경래의 난 원인과 배경, 봉기계층, 과정, 결과 및 영향에 대한 고찰-15
 16  [민중생활사] 홍경래의 난 원인과 배경, 봉기계층, 과정, 결과 및 영향에 대한 고찰-16
 17  [민중생활사] 홍경래의 난 원인과 배경, 봉기계층, 과정, 결과 및 영향에 대한 고찰-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민중생활사] 홍경래의 난 원인과 배경, 봉기계층, 과정, 결과 및 영향에 대한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홍경래의 난이 일어난 배경
1. 비운의 지식인, 홍경래
2. 서북지역의 지역적 특색, 그리고 차별
3. 서북지역의 상업의 발달 그리고 수탈의 증가
4. 격문을 통해 알아보는 난(亂)의 배경

Ⅱ. 홍경래의 난의 봉기군의 계층
1. 봉기군의 지도층
2. 병사들의 계층

Ⅲ. 홍경래의 난의 진행 과정
1. 준비 과정
2. 진행 과정
1) 봉기일로부터 열흘
2) 송림전투의 패배
3) 정주성에서의 농성

Ⅳ. 홍경래의 난의 결과와 영향
1. 홍경래의 난의 결과(실패 원인 분석)와 평가
2. 홍경래의 난의 영향

본문내용
Ⅰ. 홍경래의 난이 일어난 배경

홍경래의 난은 1811년 12월 18일 (순조 재위 11년)에 일어난 것으로 조선 시대에는 찾아보기 힘든 비교적 큰 규모의 농민항쟁이었다. 이때 재위하고 있던 국왕의 묘호가 순조가 된 것은 홍경래의 난 진압의 성공에 기인한다. 그만큼 대규모 봉기로 조선왕조에 커다란 충격을 준 사건이었던 것이다. 홍경래의 난은 평안도 가산 다복동에서 진사 김창시가 격문을 낭독함으로써 시작 되었다. 모든 역사적 사건은 어떠한 상황이 전제가 되었느냐에 따라서 그 결과의 향방이 다르게 된다. 그 만큼 모든 역사적 사건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그 사건이 일어난 배경이 중요시 된다는 것이다. 즉, 홍경래의 난을 이해하기 위해서 전제되어야 할 조건이 있는데 바로 그 시대의 상황을 결부시켜 난(亂)이 발생한 배경을 이해하는 것, 그리고 난(亂)을 주도한 홍경래라는 인물이 어떠한 인물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그렇다면 홍경래의 난이 발생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살펴보아야 할 점은 바로 홍경래라는 인물이 어떠한 인물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1. 비운의 지식인, 홍경래

홍경래는 1771년 평안도 용강군 다미동(多美洞)에서 태어났다. 아들만 네 형제인 집안의 셋째로 태어났으며 부인인 최소사(崔召史)와의 사이에 두 아들을 두었다. 지금까지 발간 된 수많은 서적에서 홍경래의 신분을 몰락 양반이라고 규정해왔으나, 최근에는 평민이라는 것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는 견해가 등장하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전답이나 노비를 지니지 못한 빈궁한 처지에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홍경래는 유교는 물론 풍수(風水)에 상당한 소양을 지니고 있던 인물이었다. 또한 이러한 유교적 지식의 바탕에서 가난한 집안, 소외받는 땅, 말기적 모순으로 치닫는 조선왕조의 현실을 체감하고 있었던 것 같다. 어렸을 적 지었던 그의 시(詩)가 이러한 것을 대변해주고 있다.

가을바람 불 때 역수 장사의 주먹은 秋風易水壯士拳
대낮에 함양의 천자 머리를 노리네 白日咸陽天子頭

이 시는 중국 전국시대 형가(荊軻)라는 자객이 연나라 태자 단(丹)의 원수를 갚기 위해 함양에서 진시황을 죽이려 했던 고사를 노래한 것이다. 기개가 넘치는 이 글은 홍경래가 어떠한 생각을 가진 채로 지었는지 까지는 알 수 없지만 그의 상황 속에서 이미 모순을 체감하고 있었음은 부정할 수 없다.
1801년 우군칙(禹君則)과 난을 논의한 뒤로 10년 동안 각지를 다니며 향촌의 유력자, 무술을 갖춘 장사, 그리고 부호를 끌어들여 봉기를 준비하였다. 평서대원수의 직책을 띠고 1811년 12월 18일 가산 다복동의 봉기로부터 만 4개월 동안 계속된 반란을 총지휘하였다. 1812년 4월 19일 관군에 의해 정주성이 함락될 때 전사하였으며, 정부로부터 군대를 일으켜 반역한 우두머리로 처리되었다. 그러나 민중들 사이에서는 저항과 변혁의 상징으로 인식되어 죽지 않고 하늘을 날아서 성을 빠져나갔다는 소문이 퍼지기도 하였고, 많은 사람들이 그가 살아있다고 주장하면서 민중봉기를 선동하였을 만큼 그가 영향력 있는 인물이었다는 사실은 약 200여년이 지난 후에도 변함없는 사실로 남아있다.
2. 서북지역의 지역적 특색, 그리고 차별

평안도의 중심인 평양은 옛날부터 우리나라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곳이다. 고조선의 수도도 평양이고, 고구려가 만주벌판을 차지한 후 한반도를 지배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도읍을 옮긴 것도 이 지방이다. 한반도를 통일한 고려 왕조는 개성을 수도로 하면서도 평양은 서경이라 하여 개경 다음 가는 중심 도시로 삼았다.
고려 태조 왕건은 수도를 정하면서 그 당시 새로운 사상체계로서 인기가 있었던 풍수지리설을 믿고 서북민들을 관직에서 배제시켰다. 이러한 불만은 고려시대 중엽의 묘청의 난에 투영되었다. 묘청은 승려였지만, 그와 함께 난을 일으킨 정지상은 서북 출신으로 불만을 품었던 인물이었다. 조선 왕조에 들어와서도 전통적인 관념은 변하지 않았다. 더욱이 세조대
참고문헌
1. 민란의 시대, 고성훈 외 지음, 가람기획, 2000
2. 모반의 역사, 한국역사연구회 지금, 세종서적, 2001
3. 전통시대의 민중운동(하), 고승제 외 지음, 풀빛, 1981
4. 최항기 역사소설 '홍경래의 난', 최항기, 함께읽는 책, 2006
5. 고쳐 쓴 한국 근대사, 강만길, 창작과 비평사, 1994
6. 근현대 지역 갈등의 양상과 그 추이, 김상태, 한림대 인문학 연구소, 2003
7. 북한 역사소설 와 서북, 남상권, 반교 어문학회, 2005
8. 조선후기 경상도, 평안도 지역 차별의 비교, 오수창, 역사비평, 2002
9. 18세기 평안도 저항세력 성장의 사회적 배경, 오수창, 한국문화, 1997
10. 조선후기 평안도 지역 차별의 극복 방향, 오수창, 역사비평, 1996
11. '홍경래난'의 성격, 정석종, 한국사연구회, 1972
12. http://100.naver.com/100.nhn?docid=171987,네이버 백과사전 '홍경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