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장. 교육과정구성의 원리

 1  제 5장. 교육과정구성의 원리-1
 2  제 5장. 교육과정구성의 원리-2
 3  제 5장. 교육과정구성의 원리-3
 4  제 5장. 교육과정구성의 원리-4
 5  제 5장. 교육과정구성의 원리-5
 6  제 5장. 교육과정구성의 원리-6
 7  제 5장. 교육과정구성의 원리-7
 8  제 5장. 교육과정구성의 원리-8
 9  제 5장. 교육과정구성의 원리-9
 10  제 5장. 교육과정구성의 원리-10
 11  제 5장. 교육과정구성의 원리-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제 5장. 교육과정구성의 원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절. 교육목표의 설정

1. 교육목표의 기능

2. 교육목표설정의 구체적 방법

1) Bloom의 목표분류
2) Mager의 목표분류
3) Gange의 목표분류
4) 교육목적의 설정방법

제 2절. 교육내용선정의 원리

1. 교육내용의 의미

1) 교과로 보는 견해
2) 학습경험으로 보는 견해
3) 지식의 구조로 보는 견해

2. 교육내용 선정과 조직 방안

1) 교육내용의 선정
2) 교육내용의 조직
본문내용
1. 교육목표의 기능

1) (교육의 지향점을 나타내는) 다양한 용어의 차이분석
① ideals (교육이념) - 가장 보편적이고 추상적인 원리를 표현함.
교육적 노력들이 염원하는 바, 이상을 담고 있음.(예- ‘홍익인간’)
목적
목표
목표보다 한 단계 위의 개념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한 활동
교육의 방향 또는 중점을 일반적, 포괄적진술.
목적을 구체적으로 심화.
실제 다룰 내용, 우선순위 등의
구체적 행동지침 제시.
가치 규범적
구체적 행동 형성위한 수단
② goals/aims (목적)와 objectives (목표)의 차이
*목적에 대한 분석과정 통해 여러 가지 구체적인 요소로 구분되어 목표로 바뀐다.
한 국가의 교육이념 (예: 홍익인간)

몇 개의 교육원칙, 즉 교육의 목적 (예: 초, 중, 고등교육의 목적)

하위 목표 (예: 교육과정목표, 교과목표)

매일 교육행위에서 실행되는 명세 목표 (예: 단원목표, 수업목표)

-이념과 목적, 목표의 위계-
☞모든 일상적 교육행위는 궁극적으로 교육이념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들!

2) Ragan의 교육목적의 기능
① 교육목적은 바람직한 성장이 이루어져 나갈 방향을 제시해 준다.
② 교육목적은 학습경험을 선정할 근거를 마련해 준다.
③ 교육목적은 평가를 위한 근거를 마련해 준다.

3) Taba의 교육목표의 기능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목표는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사회의 가치 및 이상을 전달해 주며, 이를 통해 교육의 내용을 선정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해 주고 있다.”

2. 교육목표 설정의 구체적 방법

① 교육목적은 구체적이고 명료한 행동적 용어로 진술되어야 한다.
② 교육목적은 “내용+행동”형으로 진술되어야 한다.
③ 교육목적은 넓은 행동특징의 변화를 충분히 포함할 수 있도록 포괄적이어야 한다.
④ 교육목적들 사이에는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⑤ 교육목적은 실현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⑥ 교육목적은 개조식으로 진술되어야 한다.
⑦ 교육목적은 그 타당성이 항상 평가⋅비판되고, 필요에 따라 항상 변경될 수 있어야한다1) Bloom의 목표분류
(1) 행동분류
ꊱ 지적 영역(Cognitive domain)
크게 지식과 기능으로 구분.
지적 기능은 다시 이해력, 적용력, 분석력, 종합력, 평가력으로 나누어진다.
복잡성의 원칙┏ 지식, 이해력, 적용력 (기본정신기능)
┗ 분석력, 종합력, 평가력 (고등정신기능)
☝ 이는 단순히 나열한 것이 아니라, 지적 능력작용을 기준으로 하여,
가장 단순한 것에서부터 복잡한 능력의 순서대로 위계화시켜 조직한 것.
☞ 즉, 학습하기 가장 쉬운 또는 학습에 가장 기초가 되는 능력부터,
학습하기가 가장 어려운, 그리고 가장 높은 수준의 능력으로 분류, 배열!
지식(knowledge)
인지나 재생에 의해 과거에 학습한 아이디어나 자료 또는 현상을
기억해 내는 행동
(특수사상에 관한 지식, 특수사상을 다루는 방법과 수단에 관한 지식, 보편적⋅추상적 사상에 관한 지식으로 분류)
이해력
(comprehension)
정보의 여러 요소에 초점을 맞추고 그것을 식별하거나 단순히 기억 재생하는 수준 이상의 지적 행위능력
(전환, 해석, 추론으로 분류)
적용력(application)
과거에 학습한 자료나 내용을
새로운 구체적인 사태에 사용할 줄 아는 능력
분석력(analysis)
자료를 구성하는 작은 요소들을 검토하고 추론할 수 있는 능력
(요소의 분석력, 관계의 분석력, 조직원리의 분석력으로 분류)
종합력(synthesis)
새로운 전체를 창조하기 위하여
내용의 개별적 요소를 함께 통합할 수 있는 능력
(독특한 정보의 구성, 계획의 작성 혹은 조작의 창조,
추상적 관계의 도출로 분류)
평가력(evaluation)
특정한 목적을 위해서 사용된 자료나 방법의 가치를 판단하는 행동
(내적준거에 의한 평가와 외적 준거에 의한 평가로 분류)


참고문헌
김인식 ⋅ 최호성 공저(2000). 최신 교육과정 및 평가. 서울 : 교육과학사.

박도순 ⋅ 홍후조 공저(2001).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서울 : 문음사.

유광찬(1999). 교육과정의 이해. 서울 : 교육과학사.

이성호(2004). 교육과정개발과 평가. 서울 : 양서원.

이칭찬 ⋅ 황선경 공저(2004).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서울 : 동문사.

Benjamin S. Bloom(1972). 교육목표분류학 (1) 지적 영역. 서울 : 배영사.

Benjamin S. Bloom(1969). 교육목표분류학 (2) 정의적 영역. 서울 : 배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