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론] 제 5장 교과교육과 크로스커리큘럼

 1  [교육론] 제 5장 교과교육과 크로스커리큘럼-1
 2  [교육론] 제 5장 교과교육과 크로스커리큘럼-2
 3  [교육론] 제 5장 교과교육과 크로스커리큘럼-3
 4  [교육론] 제 5장 교과교육과 크로스커리큘럼-4
 5  [교육론] 제 5장 교과교육과 크로스커리큘럼-5
 6  [교육론] 제 5장 교과교육과 크로스커리큘럼-6
 7  [교육론] 제 5장 교과교육과 크로스커리큘럼-7
 8  [교육론] 제 5장 교과교육과 크로스커리큘럼-8
 9  [교육론] 제 5장 교과교육과 크로스커리큘럼-9
 10  [교육론] 제 5장 교과교육과 크로스커리큘럼-10
 11  [교육론] 제 5장 교과교육과 크로스커리큘럼-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론] 제 5장 교과교육과 크로스커리큘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절 우리 교육과정에서의 크로스커리큘럼 관련 규정 고찰
1.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의 크로스커리큘럼 관련 규정 분석
(1) 1차 교육과정
(2) 2차 교육과정
(3) 3차 교육과정
(4) 4차 교육과정
(5) 5차 교육과정
(6)차 교육과정
(7) 7차 교육과정
2. 크로스커리큘럼의 전개 흐름에 대해서 이루어 질 수 있는 지적 논의
제 2절 외국의 크로스커리큘럼과 7차 교육과정에서의 ‘범교과학습’
1. 외국 교육 과정에서의 크로스커리큘럼
(1) 영국
(2) 프랑스
(3) 헝가리
(4) 크로스커리큘럼을 다루는 방식의 차이점
2. 7차 교육과정에서의 범교과 학습
(1) 교육내용으로 보는 관점
(2) 교육방법으로 보는 관점
제 3절 크로스커리큘럼의 재개념화
1. 크로스커리큘럼의 이해
(1) 크로스커리큘럼의 이해 방식
(2) 범교과적 관점과 범교육과정적 관점 비교
(3) 크로스커리큘럼에 대해 ‘범교육과정 관점’을 지지하는 이유
1) 크로스커리큘럼을 ‘범교과’로 규정할 경우
2) 크로스커리큘럼을 ‘범교육과정’으로 이해할 경우
2. 7차 교육과정에서의 ‘범교과학습’
3. 교육과정에 대한 메타적 조망
(1) 배경
(2) 교육과정 개정 과정
1) 교육 과정 개정 과정(현재까지 이루어진 방법)
2) 최근의 교육과정 운용 체제
3) 대안적 교육과정 개정 과정
4) 결론
토론

본문내용

제 1절 우리 교육과정에서의 크로스커리큘럼 관련 규정 고찰

⇒최근 각국의 교육과정 개혁에서는 범 교육과정(크로스커리큘럼)이 라는 새로운 영역이 다루어지고 있 다.
그러나 그에 대한 이해와 접근방식에 있어서는 우리와 다른 나라 간에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1.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의 크로스커리큘럼 관련 규정 분석
(1) 1차 교육과정
⇒ 교육과정 문서에는 편성•운영 지침 항이 별도로 설정되어 있지 않고 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과 함 께 다음과 같은 강조사항이 제시되어 있다.
二. 본 과정의 기본 태도.
(6) 교육과정의 내용은 시대와 지역의 요구에 적용하여야 한다.
이 교육과정은 우리나라의 특수성에 비추어 특히 요청되는 반공교육, 도의교육, 실업교육 등이 강조되어 있으며, 각 지역의 특색을 살리도록 유의하였다.

(2) 2차 교육과정
⇒ 교과활동에서의 규정과 함께 반공․도덕교육이 크로스커리큘럼 활동의 주요 내용으로 강조되어있다. 이 시기 반공․도덕 활동은 교과의 지위를 갖지는 않았지만 교육과정 편제상에 뚜렷한 자리를 차지하 고 있다.
2. 교과활동
(4) 국어교육 및 반공․도덕교육과 체육, 음악, 미술 교과를 통한 건강교육 및 정서교육은 교과 시간에는 물론이거니와, 특별활동 및 일상생활의 지도에서도 전인교육의 입장에서 중시되어야 한다.
3. 반공․도덕 생활
(2) 반공․도덕교육은, 그 성질상 학교교육의 어떤 특정한 교과에만 의존 할 수 없는 것이므로, 학교교육의 모든 영역에 걸쳐서 의존할 수 없는 것이므로, 학교교육의 모든 영역에 걸쳐서 계획성 있게 실시하여, 그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3차 교육과정
⇒ 운영 지침 부분에 크로스커리큘럼이 제시되기 시작, 반공․도덕교육은 교과의 지위를 갖게 된다.
다. 국가 시책 및 지역 사회의 실정에 비추어 특히 필요한 경우에는 이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도 내용 이외의 것을 첨가 지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초등학교 교육의 목표 및 각 교과 지도 내용 선정의 원칙에 어긋남이 없어야 한다.
바. 도덕교육은 도덕과를 그대로 하되 각 교과 활동과 특별 활동 기타 학교교육 활동 전반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사. 전 학년을 통해 국사교육을 강화하되 체계적인 국사교육은 5,6학년에서 하도록 한다.
아. 건강 증진, 보건 위생, 체력 행상, 안전교육 등에 필요한 바람직한 습관과 태도의 함양은 체육과의 학습 활동뿐만 아니라 학교교육 전반에 걸쳐서 전개되도록 한다.



(4) 4차 교육과정
⇒ 운영 지침의 계획 부분에 제시되어있다.
도덕, 국민 정서 언어 생활, 건강과 안전, 환경 교육 등은 교육 활동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하되, 특히 기본적인 생활 습관 형성에 유의하도록 한다.


(5) 5차 교육과정
⇒ 교육과정 운영지침의 계획 단계에서 국가 사회 8대 강조 사항이라고 하여, 초등학교 교육과정 문서 에서는 다음과 같은 조항을 두고 있다.
국민 정신 교육, 통일 안보 교육, 안전교육, 환경교육, 진로교육, 인구교육, 성교육, 경제교육 등은 교육 활동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계획하되, 특히 기본적인 생활 습관 형성에 유의하도록 한다.


(6)차 교육과정
1) 크로스커리큘럼이라는 용어 자체는 제6차 교육과정 개정에서는 처음 등장했다.
2) 한자, 실업교육을 위시하여, 도덕, 진로, 기본 습관 형성, 컴퓨터, 환경, 성, 경제, 통일 교육 등을 이와 밀접하게 관련되는 교과에 충실히 다룰 것을 강조하는 차원에서 머물렀다.
(11)도덕교육, 환경교육, 경제교육, 근로 정신 함양 교육, 보건 안전 교육, 성교육, 진로교육, 통일 교육 등은 관련되는 교과와 특별활동을 통하여 중점적으로 지도하되, 학교교육 활동 전반에 걸쳐 통합적으로 다루어지도록 하고, 지역 사회 및 가정과의 연계 지도에도 힘쓴다.
(교육과정 해설서에서의 설명)
교과 및 특별 활동 지도서 국가적, 사회적 현안 관계를 반영, 지도할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계속성의 원리에 따라 초등학교에서 지도했던 내용이라도 중학교 수준에 적합하게 각 교과 내용 및 특별 활동 영역 수준으로 용해하여 지도하며, 특히 관련 교과, 관련 단원에서는 현안 과제에 대한 체계적이고도 이론적인 근거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학교교육은 이론에만 그치는 공허한 교육이 아니라, 지역 사회 및 가정과 연계하여 실생활과 밀접히 관련된 교육을 함으로써 실생활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해야 한다.(교육부(1994),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131)
3) ‘범교과 영역’이라는 용어가 새로 등장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충분한 정의나 예시를 찾아 볼 수 없다. 다만 그간의 학교교육과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강조되어 온 국가 사회적 요구 사항들을 통칭.

(7) 7차 교육과정
(아) 민주시민 교육, 인성교육, 환경교육, 경제교육, 에너지 교육, 근로 정신 함양교육, 보건교육, 안전교육, 성교육, 소비자교육, 진로교육, 통일교육, 한국 문화 정체성 교육, 국제 이해 교육, 해양교육, 정보화 및 정보윤리 교육 등 범교과학습은 재량 활동을 통하여 중점적으로 지도하되, 관련되는 교과와 특별 활동 등 학교교육 활동 전반에 걸쳐 통합적으로 다루어지도록 하고, 지역사회 및 가정과의 연계 지도에도 힘쓴다.
⇒교육과정 해설서는 현재 집필중인 관계로 ‘범교과학습’에 대한 입장이 구체적으로 밝혀져 있지 않으 나 6차와 교육과정에서와 유사할 것으로 짐작된다.
2. 크로스커리큘럼의 전개 흐름에 대해서 이루어 질 수 있는 지적 논의
1) 사회 국가적 현안 과제 그 자체가 갖는 교육적 의미와 가치 여부를 논의로 하고, 일단 교육과정 흐 름 가운데서 이러한 과제들이 어떻게 처리되어 왔는가를 살펴보면, 초기 교육과정에서의 사회 국가적 현안 과제들은 현대와 같이 운영 지침의 일부로서 강조 되다가 교과가 되었다.

2) 교육과정의 흐름을 볼 때 크로스커리큘럼은 최근에 올수록 그 영역과 내용이 다양화, 세분화됨을 알 수 있다. 물론 이 가운데 이전의 포괄적인 주제가 더 세분화된 경우도 있지만, 이러한 현상은 시 대를 거듭할수록 교육에 대한 국가 사회적 요구가 점차 증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교육과정에서 추구 하는 인간상의 범주가 광범위할수록 더하다.

3) 여러 차례의 개정에 거쳐 크로스커리큘럼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고 최근에 올수록 그 범위와 영 역이 비대해지는 것이 사실이라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는 어떻게 대응해야만 할 것인가?
기존 교육과정에서와 같이 교육과정 운영 단계에서 해결 할 것으로 미룰 것인가? 교육과정 개정의 요 인이자 출발점으로 기능해야 할 것인가? 교육과정 개정의 요인이자 출발점으로 기능해야 할 것인가?

4) 기실 크로스커리큘럼은 해당 시기의 교육, 사회, 역사, 정치, 경제, 국제 관계 등의 상황에서 귀결되 는 사안이며, 그러한 것들은 주로 교육과정 개정의 기초연구에서 기존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새로운 요구로 드러난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성이자 학교 교육에 대한 기대를 의미한다. 그러면 왜 이러한 요소들이 우리 교육과정에서 일관성 있게 반영되지 않았나?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는 광범위한 기초연구가 앞장섰지만, 왜 결과는 제대로 피드백 되지 못 하였나? 왜 교육과정 개정의 역량은 기존 교과를 토대로 한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