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상담] 집단 따돌림(왕따)에 대한 성경적 해결방안

 1  [청소년상담] 집단 따돌림(왕따)에 대한 성경적 해결방안-1
 2  [청소년상담] 집단 따돌림(왕따)에 대한 성경적 해결방안-2
 3  [청소년상담] 집단 따돌림(왕따)에 대한 성경적 해결방안-3
 4  [청소년상담] 집단 따돌림(왕따)에 대한 성경적 해결방안-4
 5  [청소년상담] 집단 따돌림(왕따)에 대한 성경적 해결방안-5
 6  [청소년상담] 집단 따돌림(왕따)에 대한 성경적 해결방안-6
 7  [청소년상담] 집단 따돌림(왕따)에 대한 성경적 해결방안-7
 8  [청소년상담] 집단 따돌림(왕따)에 대한 성경적 해결방안-8
 9  [청소년상담] 집단 따돌림(왕따)에 대한 성경적 해결방안-9
 10  [청소년상담] 집단 따돌림(왕따)에 대한 성경적 해결방안-10
 11  [청소년상담] 집단 따돌림(왕따)에 대한 성경적 해결방안-11
 12  [청소년상담] 집단 따돌림(왕따)에 대한 성경적 해결방안-12
 13  [청소년상담] 집단 따돌림(왕따)에 대한 성경적 해결방안-13
 14  [청소년상담] 집단 따돌림(왕따)에 대한 성경적 해결방안-14
 15  [청소년상담] 집단 따돌림(왕따)에 대한 성경적 해결방안-15
 16  [청소년상담] 집단 따돌림(왕따)에 대한 성경적 해결방안-16
 17  [청소년상담] 집단 따돌림(왕따)에 대한 성경적 해결방안-17
 18  [청소년상담] 집단 따돌림(왕따)에 대한 성경적 해결방안-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청소년상담] 집단 따돌림(왕따)에 대한 성경적 해결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서론
1.개요
2.정의

II.본론
1.사회현상 발표
2.집단 따돌림의 유형
3.상담사례 발표
가. 사례 A.
나. 사례 B.
4.사례분석

III.결론
1.논의
가. 일반적 해결
1) 학교에서의 해결방안
2) 가정에서의 해결방안
3) 국가, 사회에서의 해결방안
나. 일반적 해결방법의 한계
2.제언
: 일반적 해결방법의 대안으로서 기독인의 조력자적 역할
1)성경적 해결방안의 중요성
2)성경 속에 나타난 조력자들
3)기독인으로서의 선한 영향력


IV.활동사항
※참고문헌
본문내용
I.서론
1.개요
최근 또래집단 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집단 따돌림의 현상은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동료들의 집단따돌림을 견디지 못하여 약을 먹고 자살한 중학생도 있었고, 옥상에서 뛰어내린 고등학생도 여럿 있었다. 집단 따돌림이라는 정신적 폭력에서 헤어나지 못하여 정신 분열증에 이르게 되는 경우와, 그의 부모가 학교와 가해자를 상대로 피해보상을 요구하며 법정투쟁을 벌이고 있다. 매스컴에서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동원하여 문제의 원인과 해결책을 듣기도 하였다. 병든 우리 사회의 정신병리적 표출이라며 사회적 환경에 큰 원인을 두는 반성의 목소리도 있다. 가정교육이 잘못되었기 때문이라고도 하고, 학교의 생활지도에 문제가 있다고도 한다. 또 개인의 성격이나 적절치 못한 대인관계 행동에서 원인을 찾아보기도 한다. 어찌되었건 간단히 진단되고, 쉽게 묘방이 나올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데 그 심각성을 더한다.
발달심리학적으로 볼 때, 아동들이 또래에게 보이는 사회적 관심은 일찍이 출생 초기부터 나타난다. 성장과 더불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뚜렷한 변화를 보인다(Heathers, 1955). 나이가 들수록 부모나 교사 등과 같은 성인들에게보다는 또래 집단에 의하여 수용되기를 더욱 갈망하는 경향성을 보이며(Torrance, 1969), 친사회적 행동의 주도성이 두드러지게 증가한다(Field, 1981). 출생 후 12개월부터 취학 전 연령에 이르는 기간 중 성인과의 상호작용은 감소하는 반면, 또래와의 상호작용은 크게 증가한다. 이러한 또래와의 관계는 아동의 사회, 정서적 발달에는 물론 언어와 인지, 가치관의 형성, 요구와 감정의 표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Hartup, 1976, 1980; Strain and Fox, 1981). 아동의 사회화과정에서 또래들은 사회적 모델 및 강화 제공자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Charlesworth and Hartup, 1967; O`Connor, 1969).
한 아동 개인의 사회적 고립은 성장하는 아동들에게는 발달상의 중요한 장애요인으로 인정되고 있다. 왜냐하면, 또래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많은 학습기회와 교육적 자극을 스스로 차단함으로써 사회화의 실패는 물론이고, 제반 발달영역에서 심각한 지체를 초래하고 있기 때문이다(Strain and Fox, 1981). 발달 초기부터 또래들에게 배척당하고 고립된 아동들은 일상생활 중 실패와 욕구 좌절의 누적으로 늘 불행감을 경험하며, 자신에 대한 부정적 개념을 발전시키고, 심리적 갈등을 심화시켜 차후에 정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여러 가지 적응상의 문제를 야기할 위험성이 크다. 학교생활의 부적응과 학업의 중단(Gronlund and Anderson, 1957; Ullmann, 1957), 청소년 비행(Roff, Sells, and Golden, 1972), 군대에서의 불명예 제대(Roff, 1961), 성인이 된 후의 정신질환으로의 발전(Cowen, Pederson, Babigian, Izzo, and Trost, 1973; Kohn and Clausen, 1955; Roff, 1963)등의 문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잘 알려진 사실이다.
통계적 자료에 의하면, 사회적 위축 및 고립 아동의 수는 상당히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Hops and Greenwood, 1981). 정의상의 문제 때문에 통계자료의 일관성이나 해석상의 어려움은 있지만, 초등학교 아동의 3~5%가 또래들의 집단배척으로 인한 사회적 고립아동으로 집계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표면상으로 드러난 문제에 봉착한 아동의 통계적 수치일 뿐, 개인의 성격 및 행동적 특성, 또는 사회적 기술의 부족으로 발달상의 불이익을 당하는 아동까지 포함한다면 그 비율은 월등히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우리는 집단 따돌림(왕따) 문제에 대해서 세상이 말하고 있는 일반적 해결방법과 그 문제점을 생각해보고, 그렇다면 성경이 말하는 바람직한 해결방안은 무엇인지, 일반적인 해결의 대안으로서 기독인의 조력자적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2.정의
Ross(1996)는 1990년대 초에 따돌림의 정의에 대한 합의된 정의가 없음을 보고했다. 따돌림에 대한 정의에 관한 합의된 정의를 얻는 것은 한 연구의 결과가 다른 연구의 결과와 비교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따돌림의 정의는 보다 광의의 정의에서 협의의 정의까지 다양하다(Seward, n. d.). 예를 들면, 미국에서의 따돌림의 정의는 개인들 사이에서의 작은 상호작용에서부터 자연상태에서의 범죄행위까지 매우 넓은 범위를 포함하고 있다(Stein, 2001).
Olweus의 따돌림에 대한 정의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따돌림에 대한 그의 최근 정의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Olweus는 따돌림 행동이라고 명명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이고 반복적이며 힘의 불균형이 나타나야 한다고 말한다. Olweus는 따돌림 상황에 관여된 두 학생이 비슷한 정도의 물리적 혹은 정신적 힘을 가졌다면 따돌림 행동이라고 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그는 따돌림 상황을 따돌림이라고 명명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혹은 폭력적인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말한다(Olweus, 1999b).
권력과 또래 학대의 개념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따돌림 행동과 연관된다(Haynie et al., 2001). Smith & Morita(1999)는 따돌림 가해자가 보편적인 사회적 힘(Social power)를 남용한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따돌림이 공격성의 하위범주라고 생각한다. Pepler & Craig(2000)에 의하면, 따돌림은 공격성을 통한 권력의 주장이다.
따돌림의 정의에 관한 다음과 같은 5가지 논점이 되고 있는 영역이 있다.


참고문헌
○ 일반자료
(주)가우디(1999). 왕따리포트. 서울: 우리교육
(주)가우디(1999). 어린 왕따 민순이. 서울: 우리교육
김의환(2002). VIP 큰성경 개역 성경. 서울: 성서원
홍준표(2002). 집단 따돌림의 진단 및 치료방안. 서울: 집문당.
Boulton, M. J., Bucci, E., & Hawker, D. D. S. (1999). Swedish and English secondary school pupils` attitudes towards, and conceptions of, bullying: Concurrent links with bully/victim involvement.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40(4): 277-284
Charlesworth, R. & Hartup, W. W. (1967). Positive social reinforcement in the nursery school peer group. Child Development, 38: 993-1003
Cowen, E. L., Pederson, A., Babigian, H., Izzo, L. D., & Trost, M. A. (1973).
Long-term fellow-up of early detected vulnerable childr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1: 438-446
Field, T. (1981). Early peer relations. In P. S. Strain (ed.), The utilization of class room peers as behavior change agents. New York: Plenum Press.
Furniss, C. (2000). Bullying in schools: It`s not a crime-is it? Education and the Law, 12(1): 9-29.
Ga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