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 전염병의 발생, 전파와 전염병의 일반적 특징, 분류 및 전염병의 국내 발생현황 그리고 전염병 예방 활동에 관한 심층 분석

 1  [전염병] 전염병의 발생, 전파와 전염병의 일반적 특징, 분류 및 전염병의 국내 발생현황 그리고 전염병 예방 활동에 관한 심층 분석-1
 2  [전염병] 전염병의 발생, 전파와 전염병의 일반적 특징, 분류 및 전염병의 국내 발생현황 그리고 전염병 예방 활동에 관한 심층 분석-2
 3  [전염병] 전염병의 발생, 전파와 전염병의 일반적 특징, 분류 및 전염병의 국내 발생현황 그리고 전염병 예방 활동에 관한 심층 분석-3
 4  [전염병] 전염병의 발생, 전파와 전염병의 일반적 특징, 분류 및 전염병의 국내 발생현황 그리고 전염병 예방 활동에 관한 심층 분석-4
 5  [전염병] 전염병의 발생, 전파와 전염병의 일반적 특징, 분류 및 전염병의 국내 발생현황 그리고 전염병 예방 활동에 관한 심층 분석-5
 6  [전염병] 전염병의 발생, 전파와 전염병의 일반적 특징, 분류 및 전염병의 국내 발생현황 그리고 전염병 예방 활동에 관한 심층 분석-6
 7  [전염병] 전염병의 발생, 전파와 전염병의 일반적 특징, 분류 및 전염병의 국내 발생현황 그리고 전염병 예방 활동에 관한 심층 분석-7
 8  [전염병] 전염병의 발생, 전파와 전염병의 일반적 특징, 분류 및 전염병의 국내 발생현황 그리고 전염병 예방 활동에 관한 심층 분석-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염병] 전염병의 발생, 전파와 전염병의 일반적 특징, 분류 및 전염병의 국내 발생현황 그리고 전염병 예방 활동에 관한 심층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전염병의 발생 및 전파
1. 병원체 발현을 중심으로 본 변화 과정
2. 임상증상 발현을 중심으로 본 변화 과정

Ⅲ. 전염병의 일반적인 특징
1. 위험 집단 전염병은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질병
2. 예방이 가능하고 적절한 치료로 회복이 가능한 질병
3. 전파와 관련하여 시간이 중요한 질병

Ⅳ. 전염병의 분류
1. 병원체 종류에 따른 전염병 분류
2. 전파 방법에 따른 전염병의 분류

Ⅴ. 전염병의 국내 발생현황

Ⅵ. 전염병 예방 활동
1. 일반 원칙
2. 손씻기
1) 손씻기를 해야 할 때
2) 손씻기 습관을 높이는 방법
3) 효과적인 손씻기 방법
4) 주의사항
3. 애완동물 관련 학교전염병 관리
4. 야외학습 시 유의 사항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신종 전염병(emerging infectious diseases)과 재출현 전염병(re-emerging infectious diseases) 문제는 개발도상국뿐만 아니라 선진국가에서도 새로운 보건 문제로 인식되었으며, 근래에는 생물테러의 위험성이 인식되면서 사회 안전을 위협하는 전 세계적인 문제로 등장하였다. 과거 20년 동안 30개 이상의 새로운 감염성 병원체가 등장하였는데, 여기에는 레지오넬라증, 신증후출혈열을 일으키는 한타 바이러스, 후천성 면역결핍증, C형 간염,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 로타 바이러스 감염, E. Coli O157:H7, Avian influenza, SARS 등이 있다. 한편, 이미 감소하여 사라지는 전염병으로 여겨졌던 것으로 흑사병과 디프테리아 등이 다시 등장하였고, 일부 지역에서만 풍토병으로 발생하던 콜레라, 황열, 말라리아 등은 근래 발생 수가 늘어날 뿐만 아니라 발생 지역도 점차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많은 국가에서 조류 독감이 유행하였는데, 동남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는 사람 사례(태국 17명 발생, 12명 사망, 베트남; 22명 발생, 16명 사망) 가 발견되면서 해당 국가는 물론 국제기관에서도 긴장하고 있다. 아울러 세계보건기구는 influenza의 전 세계적인 유행을 경고하고 있으며 각 국가들은 이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있다.

Ⅱ. 전염병의 발생 및 전파

전염병의 시계열적인 변화는 병원체를 중심으로 보는 방법과 사람에서 나타나는 임상 증상을 중심으로 보는 방법 등 두 가지 관점에서 살펴 볼 수 있다.

1. 병원체 발현을 중심으로 본 변화 과정

병원체가 숙주에 침입하여 감염이 일어난 뒤 표적장기로 이동하여 증식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며, 이 기간 동안에는 인체 내 혹은 분비물에서 병원체가 발견되지 않는데 이 기간을 잠재기간(latent period)이라고 한다. 잠재기간이 경과된 뒤 인체 내에서 병원체가 충분히 증식하게 되면 조직, 혈액, 분비물 등에서 균이 발견되기 시작하는데 이 기간을 균발현 기간(patent period)이라고 한다.
참고문헌
강성심 외(2004), 소독법과 전염병학, 정문각
국윤호 외 3명(2000), 감염과 간호, 한미의학
김계엽 외 14명(2003), 제 3판 병원 미생물학, 현문사
김태운 외 7명(2000), 의학 미생물과 감염질환, 수문사
남칠현 외, 공중보건학, 계축문화사
오명돈·최강원(2000), 감염질환, 의학
질병관리본부(2003), 전염병 보고 및 정보관리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