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에 대한 해석적 접근

 1  교육에 대한 해석적 접근-1
 2  교육에 대한 해석적 접근-2
 3  교육에 대한 해석적 접근-3
 4  교육에 대한 해석적 접근-4
 5  교육에 대한 해석적 접근-5
 6  교육에 대한 해석적 접근-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에 대한 해석적 접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해석적 이론
1. 해석적 이론의 등장 배경
1) 패러다임(paradigm)이란?
2) 기능주의와 갈등이론의 공통점
3) 반론의 등장
2. 해석학적 패러다임
3. 해석적 접근의 특징
1) 인간은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존재
2) 행위자를 중시하는 미시적 관점
3) 문화와 지식은 행위자의 상호작용 결과
4) 실증적·경험적 방법의 배격
5) 질적 연구의 중시
6) 해석적 접근의 공통된 특징
4. 상징적 상호작용이론의 특징(Manis & Meltzer, 1969)
5. 해석적 접근의 한계

교육에 대한 설명
1. 교사
2. 학생
3. 상호작용
4. 미시적 연구의 문제점
5. 통합적 접근

본문내용
사회학과 마찬가지로 교육사회학도 복수 패러다임적 학문(a multiple-paradigm science)이다(Ritzer, 1975). 서로 다른 패러다임으로 이해한 교육현실은 서로 다른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보수적인 교육관료가 인식하고 있는 한국 교육현실과 전교조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그것은 매우 다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1980년대 후반에 경험했다. 이와 같이 교육현실은 하나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A. Schutz가 표현하고 있듯이 복수적 현실(multiple reality)로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해석적 이론

1. 해석적 이론의 등장 배경
1) 패러다임(paradigm)이란?
어떤 학문의 성격을 체계적으로 접근, 분석, 논의하는 준거로 사용되어지며, 어떤 현상
(문제)을 보고, 파악하는 시각이나 사고의 틀이다.

2) 기능주의와 갈등이론의 공통점
ㄱ. 거시적 관점으로 사회를 인식 - ‘사회’ 또는 ‘경제구조’라는 거대한 실체가 그 속
에 살고 있는 인간을 지배한다.
ㄴ. 각 사회집단의 내부세계(사람들)에 관하여 무관심
ㄷ. 사회현상도 자연현상과 마찬가지로 어떤 법칙에 따라 움직인다고 보고 자연과학적
방법론으로 사회를 연구

3) 반론의 등장
자연과 달리 사회는 인간이 만들었기에 사회와 개인 간에는 상호작용이 이루어짐.
ㄱ. 베버(Max Weber) - 사회적 행위의 주관적 성격과 그에 대한 ‘이해’(Verstehen)
의 중요성 강조.
ㄴ. 슈츠(Alfred Schtz) - 훗설(Husserl)의 현상학을 사회과학적 방법론으로 발전시켜
구체적 삶의 세계 속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이 그 삶에 대하
여 그 사람들 각자가 부여하는 의미가 중요하고, ‘타협’과
‘협상’을 통하여 이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상호주관성’을
통하여 사회과학적 인식이 가능.
ㄷ. 가핑클(Garfinkel) - 사회구성원(행위자)들이 자신의 행동방식과 생각 및 규범을
형성한다고 전제하고, 그것이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민속연구
법으로 밝히려 함.
ㄹ. 호만스(George Homans) - 개인의 행위는 행위자 자신에 의한 ‘손익계산’에 근거
하여 스스로 선택. (교환이론)
ㅁ. 블루머(Hebert Blumer) - 행위자가 부여하는 의미는 자신의 행위에 대한 타자의
반응과의 타협의 결과이며, 언어와 같은 상징적 상호작
용에 대한 미시적 연구의 중요성 강조.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2. 해석학적 패러다임

1) 해석학(hermeneutics)은 그리스어의「해석하다」즉, 제우스의 의지를 지상의 인간들에게 해석해 주기 위하여 올림포스 산에서 내려온 사자인 ‘Hermes'에서 유래.
(그 후 기독교 신학자들이 성경을 해석할 때 이 기법을 계승․발전)
2) 사물을 이해한다는 것은 바로 그것을 해석하는 것이라고 보고 우리가 무엇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것의 의미 혹은 의의를 파악하는 것이며, 무엇을 해석한다는 것은 어떤 관점이나 상황에 비추어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터득하는 것이라고 봄. 이해하거나 해석하는 사람은 이미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기존의 지식 또는 이해방식에 근거하여 자신의 마음의 눈으로 대상에 접근함. 이러한 과정을 W. Dilthey는 '이해'이라고 하였으며, 특히 인간과학의 참된 방법이라고 하였음.
3) 인간의 현상에 대해 자연과학적 법칙의 탐구를 지양하고 이해론적 접근을 하려는 이유는 인간이 나타내는 현상을 자연물이 나타내는 현상과는 다른 것으로 파악하기 때문. 인간은 상징을 사용할 줄 아는 동물이며, 주체적인 의사결정을 할 줄 알며, 그의 모든 행동에는 이러한 상징성과 주체성이 표현되어 있음. 우리가 인간행동을 이해한다고 할 때, 그 대상은 의미 구성체로서의 인간행동과 그 산물인 것임.
4) 인간의 행위, 제도, 혹은 산물은 내면적 삶의 표현이므로 그것을 관찰하는 것보다 해석하는 것이 바로 그것을 이해하는 옳은 방법이라고 여겼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