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농사, 쌀, 농업, 쌀바구미, 쌀문화] 쌀농사가 농업의 기본이 된 이유, 쌀을 이용한 음식, 쌀의 이점, 쌀과 쌀바구미, 일본의 쌀문화 사례 분석

 1  [쌀농사, 쌀, 농업, 쌀바구미, 쌀문화] 쌀농사가 농업의 기본이 된 이유, 쌀을 이용한 음식, 쌀의 이점, 쌀과 쌀바구미, 일본의 쌀문화 사례 분석-1
 2  [쌀농사, 쌀, 농업, 쌀바구미, 쌀문화] 쌀농사가 농업의 기본이 된 이유, 쌀을 이용한 음식, 쌀의 이점, 쌀과 쌀바구미, 일본의 쌀문화 사례 분석-2
 3  [쌀농사, 쌀, 농업, 쌀바구미, 쌀문화] 쌀농사가 농업의 기본이 된 이유, 쌀을 이용한 음식, 쌀의 이점, 쌀과 쌀바구미, 일본의 쌀문화 사례 분석-3
 4  [쌀농사, 쌀, 농업, 쌀바구미, 쌀문화] 쌀농사가 농업의 기본이 된 이유, 쌀을 이용한 음식, 쌀의 이점, 쌀과 쌀바구미, 일본의 쌀문화 사례 분석-4
 5  [쌀농사, 쌀, 농업, 쌀바구미, 쌀문화] 쌀농사가 농업의 기본이 된 이유, 쌀을 이용한 음식, 쌀의 이점, 쌀과 쌀바구미, 일본의 쌀문화 사례 분석-5
 6  [쌀농사, 쌀, 농업, 쌀바구미, 쌀문화] 쌀농사가 농업의 기본이 된 이유, 쌀을 이용한 음식, 쌀의 이점, 쌀과 쌀바구미, 일본의 쌀문화 사례 분석-6
 7  [쌀농사, 쌀, 농업, 쌀바구미, 쌀문화] 쌀농사가 농업의 기본이 된 이유, 쌀을 이용한 음식, 쌀의 이점, 쌀과 쌀바구미, 일본의 쌀문화 사례 분석-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쌀농사, 쌀, 농업, 쌀바구미, 쌀문화] 쌀농사가 농업의 기본이 된 이유, 쌀을 이용한 음식, 쌀의 이점, 쌀과 쌀바구미, 일본의 쌀문화 사례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쌀농사가 농업의 기본이 된 이유
1. 물에 대한 효용
2. 많은 수확량
3. 넓은 활용범위

Ⅲ. 쌀을 이용한 음식
1. 주식류
2. 부식류
3. 떡류
4. 과자류

Ⅳ. 쌀의 이점
1. 고혈압을 내리는 `가바`
2. 대장암 예방하는 IP6
3. 쌀은 비만의 주범일까

Ⅴ. 쌀과 쌀바구미
1. 쌀을 찧은 시기
2. 쌀의 종류
3. 쌀을 보관하는 온도
4. 쌀을 보관하는 장소의 통풍

Ⅵ. 일본의 쌀문화 사례
1. 일상생활의 일부인 쌀
2. 쌀시장의 재구축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국 신석기 유적에서 발견된 토기는 그 시대 한국인들이 곡물을 익혀 밥을 했다는 증거가 된다. 토기와 갈돌이 함께 발견된 것으로 보아, 당시엔 곡물을 갈아서 끓인 죽의 형태로 밥을 먹었을 것이라 보인다. 삼국시대의 고구려 안악 3호분을 보면 시루에 밥을 하는 여인의 모습이 보이는데, 이 때는 찐 밥, 떡의 형태로 먹었을 것이다. 또한 천마총에서는 쇠솥이 보여, 지금과 유사한 밥짓기가 가능했을 것이다. 중국 기록을 보면, 조선인들은 기름진 밥을 지을 줄 안다는 기록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조선 즈음에는 한국의 밥 짓는 기술이 상당히 발전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밥을 지으려면, 우선 30분정도 쌀을 익혀야 한다. 이렇게 하면, 밥이 설익지 않고 고루 익게 된다. 물의 양은 손대중으로 재는데, 묵은쌀이 햅쌀보다 1.2~1.4배정도 물을 더 넣어야 한다. 처음에 센불에 올려서 끓이면, 녹말의 배열이 풀리고 2배로 부푸는 호화 현상이 일어난다. 물이 다 끓으면 은은한 숯불로 15분정도 뜸을 들이는데, 이는 한국과 일본의 독특한 문화로서, 뜸들인 밥이 경도가 반으로 줄어 부드럽고 찰기 강하게 되기 때문이다. 과거 선조들이 짓던 가마솥 밥은 고온이 유지되고 열이 고루 전달되어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었다. 둥근 바닥은 장작불을 받는 면적을 크게 하고 두꺼운 솥뚜껑은 열을 다시 밑으로 보내며, 두꺼운 내부는 최적의 보온율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으로 보아, 밥을 짓는 것은 ꡐ물과 불의 과학ꡑ이라고까지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는 서구에서도 쌀 바람이 불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미국인들의 음식섭취는 영양의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는 반면, 한국인들의 식단은 각 영양소가 고루 분포된 편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한국 내에서는 쌀과 밥에 대한 인식 수준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식단도 서구식으로 변화하면서 체내의 독소가 늘어 대장암의 발생율도 높아졌다. 식이섬유의 절대적 공급원이던 밥을 덜 먹으면서 독소가 빠져나가지 못하기 때문
참고문헌
권태완(1993) / 먹거리의 미래학, 성환문화아카데미
김미란(2001) / 일본문화, 형설출판사
나경수 역 / 아시아의 쌀과 문화, 전남대학교 출판부
박진환(1994) / 쌀: 세계의 쌀 사정과 한국의 벼농사, 비봉출판사
박준근·박평식·송경환 / 세계의 식량 : 쌀, 전남대학교 출판부
승정자(1997) / 현대인과 한국전통 음식, 집문당
천규석 / 쌀과 민주주의, 녹색평론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