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불교사] 인도불교사

 1  [인도불교사] 인도불교사-1
 2  [인도불교사] 인도불교사-2
 3  [인도불교사] 인도불교사-3
 4  [인도불교사] 인도불교사-4
 5  [인도불교사] 인도불교사-5
 6  [인도불교사] 인도불교사-6
 7  [인도불교사] 인도불교사-7
 8  [인도불교사] 인도불교사-8
 9  [인도불교사] 인도불교사-9
 10  [인도불교사] 인도불교사-10
 11  [인도불교사] 인도불교사-11
 12  [인도불교사] 인도불교사-12
 13  [인도불교사] 인도불교사-13
 14  [인도불교사] 인도불교사-14
 15  [인도불교사] 인도불교사-15
 16  [인도불교사] 인도불교사-16
 17  [인도불교사] 인도불교사-17
 18  [인도불교사] 인도불교사-18
 19  [인도불교사] 인도불교사-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도불교사] 인도불교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석가모니의 삶과 사상

2. 불교사상의 기원

3. 불교사상의 전개

4. 인도의 원시불교

5. 부파불교의 시대

6. 주변 각 지역으로 전파되는 불교

7. 대승불교의 형성과 발전 및 사상

8. 인도불교의 밀교화와 힌두이즘

9. 이슬람교의 침입과 불교의 쇠퇴

10. 불교부흥 운동과 오늘날의 인도불교

11. 참고자료
본문내용
부처님이라는 말은 붇다(Buddha) 곧 '깨달은 사람'을 뜻한다. 또, '석가족의 성자'라는 의미의 샤카무니(Sakyamuni)는 산스크리트어이고, 한역으로는 석가모니불이라고 하며, 석가 또는 석존, 불타, 붓다 등으로 약칭하기도 한다. 석가는 민족의 명칭이고 모니는 성자라는 의미로, 석가모니라 함은 석가족 출신의 성자라는 뜻이다. 본래의 성은 고타마, 이름은 싯다르타인데, 후에 깨달음을 얻어 붓다라 불리게 되었다. 또한 사찰이나 신도들 사이에서는 진리의 체현자라는 의미의 여래, 존칭으로서의 세존·석존 등으로도 불린다. 현재의 네팔 남부와 인도의 국경부근인 히말라야산 기슭의 카필라성을 중심으로 샤키야족[석가족]의 작은 나라가 있었는데 석가모니는 그 나라의 왕 슈도다나와 마야 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샤키야족은, 그 왕호가 정반왕, 그리고 정반왕의 동생이 백반 ·감로반 등으로 불리고 있는 점에서 농경생활과 깊은 관계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석가모니는 크샤트리야 계급출신이라고 하지만, 샤키야족 내부에 카스트의 구별이 있었던 것 같지는 않다. 마야 부인은 출산이 가까워짐에 따라 당시의 습속대로 친정에 가서 해산하기 위해 고향으로 가던 도중 룸비니 동산에서 석가를 낳았다. 이는 아소카왕이 석가모니의 성지를 순례하면서 이 곳에 세운 석주가, 1896년에 발견 ·해독됨으로써 확인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석가모니가 태어났을 때, 히말라야산에서 아시타라는 선인이 찾아와 왕자의 상호를 보고, “집에 있어 왕위를 계승하면 전세계를 통일하는 전륜성왕이 될 것이며, 만약 출가하면 반드시 불타가 될 것”이라고 예언하였다고 한다. 그의 생몰연대에 관하여는 이설이 많다. 석가모니는 생후 7일에 어머니 마야 부인과 사별하였다. 그것은 석가모니에게는 슬픈 일이었다. 그 후 이모에 의하여 양육되었는데, 왕족의 교양에 필요한 학문 ·기예를 배우며 성장하였다. 그 생활은 물질적으로는 매우 풍부하였을 것이다. 당시의 풍습에 따라 그는 16세에 결혼하였다. 부인은 야쇼다라라고 하며, 곧 아들 라훌라도 얻었다. 이같이 안락하고 행복한 생활을 보내던 중 석가모니는 인생의 밑바닥에 잠겨 있는 괴로움의 문제와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점은 전설적으로 새가 벌레를 잡아먹는 모습, 또는 생로병사와 사문을 목격한 이른바 사문출유 또는 사문유관으로써 설명된다.
참고문헌
인도불교(문화사적 탐구), 나라야스키. 정호영 옮김, 민족사
불교 그 현대적인 조명, 찰스 프레비쉬 외. 박용길 옮김, 고려원
하고 싶은 말
지난 학기에 중간고사 대체 레포트로 작성했던 A+ 보고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