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

 1  [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1
 2  [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2
 3  [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3
 4  [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4
 5  [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5
 6  [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6
 7  [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7
 8  [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8
 9  [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9
 10  [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10
 11  [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11
 12  [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12
 13  [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13
 14  [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14
 15  [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15
 16  [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16
 17  [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17
 18  [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18
 19  [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분석_커밍스의 저작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해방 3년사의 쟁점들 : 부루스 커밍스의 연구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한국전쟁의 기원』의 이론적 가설
3. 사회구성체론과 관료사회, 세계체제론
4. 일제하 사회성격의 모호성
5. 제국주의냐 관료정치냐
6. '경험주의'의 함정
7. 주관적 문화주의
8 혁명의 주체
9 결론에 대신하여

Ⅱ. 한국전쟁과 이데올로기 지형
1. 문제의 제기
2. 방법론적 문제
3. 한국전쟁과 이데올로기 지형
4. 한국전쟁과 국가
5. 한국전쟁과 지배연합
6. 결론에 대신하여

본문내용
Ⅰ.해방 3년사의 쟁점들 : 브루스 커밍스의 연구를 중심으로
머리말
'「한국전쟁의 기원」-커밍스' 은 한국 현대사 연구를 촉발시킨 기폭제로서의 의미가 뛰어나다. 특히 자료의 방대함과 단단한 이론적 바탕으로 한국 현대사 연구를 서술적 차원에서 분석적 차원으로 끌어올린 것과 기존의 보수일변도 측면이 아니라 진보적이고 민중적인 시각에서 한국 현대사를 재해석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연구는 이론적 일관성의 결여, 주요 개념 및 이론의 비적합성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런 측면에도 불구하고 브루스 커밍스에 대한 평가는 단편적인 비판에 머루르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 글은 이 같은 시각에서 브루스 커밍스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가능한 한 커밍스의 연구에 사용한 이론적 틀에 대한 대한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전쟁의 기원」의 이론적 가설
「한국전쟁의 기원」은 분량이 방대하고 1차적 자료들이 상당히 많이 인용된 저서이므로 그 기본적 가설들을 체계적으로 도출하고 평가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간단히 그의 이론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19세기 말 동북아의 양극분화
19세기 한국의 '농업관료사회'였던 반면 일본은 '봉건제'사회였다.
이 같은 내적 발전 동력의 차이가 일본의 자생적 근대자본주의사회로의 이행과 한국의 실패, 식민지화라는 역사적 차이를 가져온 근본적 원인이다.
강성국가(string state)였던 메이지국가에 반해 조선의 국가는 연성국가(weak state)로 서구제국주의의 압력에 대해 효과적인 저항을 할 수 없었다.
외세의 개입이 없었다면 한국의 발전경로는 자영농을 통한 영국행 자본주의의 길이 아니고 기생적 관료지주에 저항하는 농민혁명의 길을 갔을 것이다.
② 일제하 한국사회의 성격
한국의 타식민지와 마찬가지로 세계자본주의 경제체제에 통합, 종속 경제화됐다.
한국은 특이한 식민정책의 영향으로 식민지로서는 유례없이 빠른 공업화를 겪었다.
공업화는 조선총독부, 조선은행, 일본재벌의 삼각동맹에 의한 외래적인 것에 지나지 않았다.
몇몇 한인자본가가 등장했지만 민족자본가계급은 존재하지 않았다.
공업화의 결과로 한국은 식민지로는 극히 발달된 노동자계급을 가졌다.
자본가, 노동자도 지주자본가, 노동자·농민의 혼합적이고 과도기적 형태였다.
참고문헌
현대 한국정치 : 이론과 역사 1945 - 2003, 손호철 지음, 사회평론사
· 탈냉전시대 한국전쟁의 재조명 - 한국전쟁연구회 편, 김계동 외 11명 공저
· 한국전쟁의 새로운 접근 - 전통주의와 수정주의를 넘어서, 하영선, 나남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