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

 1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1
 2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2
 3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3
 4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4
 5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5
 6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6
 7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7
 8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8
 9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9
 10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10
 11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11
 12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12
 13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13
 14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14
 15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15
 16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16
 17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17
 18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18
 19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19
 20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학사, 현대한국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한국현대문학사 핵심정리

제1부 한국의 해방과 민족문학의 확립

제1장 한국문학과 8.15 해방
제2장 민족문학의 건설 방향
제3장 시정신과 이데올로기의 충돌
제4장 현실과 이념의 갈등

제2부 전후의 현실과 문학의 분열

제1장 잃어버린 문隙?시대
제2장 서정의 세계와 인식의 언어
제3장 서사적 공간과 황폐한 삶
제4장 전후상황의 극복과 지양

제3부 산업화과정과 문학의 사회적 확대

제1장 산업화시대의 문학
제2장 민족문학의 논리와 실천
제3장 시정신과 일상성의 회복
제4장 사회변동과 상상력의 대응

제4부 북한의 문학

제1장 분단시대의 북한문학
제2장 북한문학의 성립과 그 전개양상
제3장 북한문학의 이념적 성격
제4장 북한문학의 의미
본문내용
제1장 한국문학과 8.15 해방

⑴ 해방의 의미

한국문학사의 전체적인 흐름 속에서 볼 때 해방 직후 문단에서는 식민지시대 문학의 청산과 새로운 민족문학의 건설이라는 두 가지의 과제가 제기된다. 한국문학은 해방과 더불어 모든 억압으로부터 벗어나 인간 본연의 가치를 추구할 수 있는 문학의 정신적인 자유를 획득하고 있다. 식민지 치하에서의 정신적 상처를 극복하고 민족 전체의 조화로운 삶을 모색할 수 있는 진정한 민족문학의 가능성도 바로 여기에서부터 비롯되고 있다.

⑵ 해방 직후의 문단

해방과 함께 가장 먼저 조직된 문인단체는 임화, 이태준, 김기림, 김남천, 이원조 등에 의해 이루어진 조선문학건설본부이다. 이 단체와 비슷한 성격을 가진 조선음악건설본부, 조선미술건설본부, 조선영화건설본부 등이 연합하여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1945.8.18)를 결성하면서, 예술활동 전반을 장악할 수 있는 해방 후 최초의 문화단체로서 그 조직이 확대되기에 이른다. 그런데,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를 주도하고 있는 임화 등의 사상적 경향에 대해 불만을 갖고 있던 민족계열의 문화인들 중에서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에 가담하지 않은 변영로, 오상순, 박종화, 김영랑, 이하윤, 김광섭, 김진섭, 이헌구 등이 별도의 문화단체인 중앙문화협회(1945.9.18)를 설립한다.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에 대한 반발은 좌익계열의 문인들 사이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이기영, 한설야, 송영, 윤기정 등은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의 지도노선에 반발하면서, 각 부문의 문화예술인들을 다시 규합하여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1945.9.30)을 조직한다. 1945년 12월에 좌익계열의 두 단체는 좌익문화운동의 통일전선을 확립한다는 성명을 발표하고, 조선문학동맹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통합을 이루게 된다. 조선문학동맹은 그 조직을 확대하기 위해 1946년 2월에 전국문학자대회를 개최하였으며, 이 대회에서 단체의 명칭을 조선문학가동맹으로 정식 승인받고 있다. 그리고 ① 일본 제국주의 잔재 소탕, ② 봉건주의 잔재 청산, ③ 국수주의 배격, ④ 진보적 민족문학의 건설, ⑤ 조선문학의 국제문학과의 제휴라는 다섯 개 항목의 강령을 채택하고 있다. 조선문학가동맹의 조직, 세력이 강화되자 이들의 정치적 입장을 반대했던 민족진영의 문인들은 중앙문화협회를 중심으로 전조선문필가협회(1946.3.13)를 창설하고, 문학인으로서 민족주의 국가건설에 공헌하고 민족문화를 발전시켜 나아가자는 강령을 채택한다. 이 단체에 가담하고 있던 조연현, 김동리, 서정주, 조지훈, 곽종원 등이 별도로 조선청년문학가협회를 조직하여 활발한 문학활동을 전개하게 되자 조선문학가동맹과 대립관계에 놓이게 된다.
해방 직후의 문단적 상황의 변화과정은 두 가지 측면으로 그 특징을 규정할 수 있다. 첫째는 정치적 현실의 제반 문제가 문단적 상황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로 문제가 되는 것은 해방 직후의 문단의 변화과정이 문학인들의 내적인 필연성이나 어떤 욕구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하고 싶은 말
지난 한 학기 동안 열심히 작성한 서브노트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