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민요 레포트

 1  [국문학] 민요 레포트-1
 2  [국문학] 민요 레포트-2
 3  [국문학] 민요 레포트-3
 4  [국문학] 민요 레포트-4
 5  [국문학] 민요 레포트-5
 6  [국문학] 민요 레포트-6
 7  [국문학] 민요 레포트-7
 8  [국문학] 민요 레포트-8
 9  [국문학] 민요 레포트-9
 10  [국문학] 민요 레포트-10
 11  [국문학] 민요 레포트-11
 12  [국문학] 민요 레포트-12
 13  [국문학] 민요 레포트-13
 14  [국문학] 민요 레포트-14
 15  [국문학] 민요 레포트-15
 16  [국문학] 민요 레포트-16
 17  [국문학] 민요 레포트-17
 18  [국문학] 민요 레포트-18
 19  [국문학] 민요 레포트-19
 20  [국문학] 민요 레포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민요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민요의 개념과 발생
2. 민요의 특징
3. 민요의 분류와 내용
4. 민요의 형식
5. 민요의 기능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민요는 아주 오래 전부터 있어 왔던 것으로서, 입에서 입으로 구전되어 온 민중의 노래이다. 민요의 역사는 구체적으로 가늠할 수는 없으나, 대체로 인간의 역사와 그 맥을 함께 한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민족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민요의 특성을 가장 먼저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또한 민요는 다른 시가문학과 영향 관계가 있으므로, 민요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바로 우리 민족의 시가문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성격을 가지는 민요가 어떠한 내용과 형식을 가지고 존재하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민요의 개념과 발생, 분류와 내용, 형식의 특성과 기능 그리고 구체적 예로서 민요작품들을 살펴보기로 하자.

Ⅱ. 본론

1. 민요의 개념과 발생

1.1 민요의 개념과 범주
민요는 민중의 노래라는 뜻이다. 즉, 민요는 궁중가요, 상층가요와 구분되어 민중이라는 계급성에 기반을 두고 설정된 용어이다.
한편, 우리가 민요로 부르는 것들 중에서, 민중의 것이 아닌데도 민요라하는 것이 있는데, 통속민요와 신민요가 그것이다. 이들은 민요라기보다는 민요풍의 노래라고 하는 것이 옳다. 여기에 대비되어, 민중 계급에서 향유되었던 민요를 향토민요라고 지칭한다. 향토민요는 민중들의 생활을 기반으로 자생하며, 생활과 함께 존석하는 비전문적인 노래라고 정리할 수 있다.
통속 민요는 잡가를 불러 온 전문음악인들에 의해 만들어져 잡가의 하나로서 연행된 민요풍의 노래로, 잡가의 하위 장르이다. 잡가가 성행하면서, 그 수요가 많아졌고, 잡가 담당층들이 각 지역의 전승 민요를 그들의 취향에 맞게 다듬은 노래가 바로 통속민요이고, 이 통속민요는 민중과 지배계급이 함께 즐겼다. 따라서 향토민요가 전통사회의 계급적 문화물이라면, 통속민요는 전통사회의 대중적 문화물이고, 전통시대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문화물인 것이다.
신민요는 일제강점기 때 음반에 담아 판매할 목적으로 특정인의 작사와 작곡을 통해 만들어진 민요풍의 노래로서, 일본식의 트로트풍인 유행가와 신민요가 주를 이루었다. 민요가 민중의 노래라는 시각에서 보면 통속민요와 신민요는 민요의 범주에 넣기 어렵다.
한편, 국악계에서는 통속민요를 민요로 인식하는 관습이 존재하며, 일반인들도 그러한 인식을 수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악인들이 말하는 민요는 12잡가, 휘모리 잡가, 산타령 등 잡가에 속하는 하위장르 간의 상대적 명칭으로서, 이 모든 것이 민요에서 출발한다는 인식에서 온 것이다.
이와 같이 향토민요와 통속민요에 문화적 유사성이 존재하고, 국악계의 인식을 고려할 때, 민요의 범주를 이원적으로 설정하여 현실과의 거리를 좁힐 필요성이 있다. 여기에서는, 문화적 개념으로 말할 때의 민요는 민중의 노래로 한정하며, 양식적 개념으로 말할 때는 향토민요와 통속민요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1.2 민요의 발생
민요의 기원론은 예술의 원초적 형태를 규명하는 것이므로 예술기원론에 속한다. 이에 대해 다음 세 가지 기준에 대한 이설이 있다.

① 발생 동기에 대한 제의기원설(祭儀起源設) 인간의 祭儀(제의)가 아주 오래된 옛날부터 있어 왔으며, 제사를 지내는 과정에서 노래를 부르게 되는데, 이것이 민요의 시발점이라는 설이다.
과 유희기원설(遊戱起源設) 인간이 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흥을 돋우기 위하여 노래를 불렀울 것이며, 이때 불려진 노래가 민요의 시작이라는 설이다.
, 노동기원설(勞動起源設) 인간에게 있어서 무엇이 가장 먼저였으며, 무엇이 가장 중요한 것이었을 것인가를 판단의 기준으로 볼 때 가장 타당한 것으로 보이는 민요 발생설이다.
이 있는데 이중 노동기원설이 유력시되고 있다.

② 민요 요소들의 구성 과정(문학적 요소, 음악적 요소,
참고문헌
강등학, 『한국 민요학의 논리와 시각』, 민속원, 2005.
고정옥, 『조선민요연구』, 수선사, 1949
김무헌, 『한국민요문학론』, 집문당, 1987.
박경수, 『한국 민요의 유형과 성격』, 국학자료원, 1998.
박종섭,『민요와 한국인의 삶(1)』, 문창사, 2002.
박경수 『민요,무가,탈춤 연구』 태학사 1998
조성일 『민요연구 한국 문화사』1996
정상진,박경수 『한국 구비문학의 세계』세종출판사 2004
조동일 『한국 문학 통사3』 지식산업사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