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형식적.이데올로기적.담론적 측면을 통한 이인직의 작품분석

 1  [국문학] 형식적.이데올로기적.담론적 측면을 통한 이인직의 작품분석-1
 2  [국문학] 형식적.이데올로기적.담론적 측면을 통한 이인직의 작품분석-2
 3  [국문학] 형식적.이데올로기적.담론적 측면을 통한 이인직의 작품분석-3
 4  [국문학] 형식적.이데올로기적.담론적 측면을 통한 이인직의 작품분석-4
 5  [국문학] 형식적.이데올로기적.담론적 측면을 통한 이인직의 작품분석-5
 6  [국문학] 형식적.이데올로기적.담론적 측면을 통한 이인직의 작품분석-6
 7  [국문학] 형식적.이데올로기적.담론적 측면을 통한 이인직의 작품분석-7
 8  [국문학] 형식적.이데올로기적.담론적 측면을 통한 이인직의 작품분석-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형식적.이데올로기적.담론적 측면을 통한 이인직의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인직의 생애
2. 신소설 형식론
(1) 실증적인 측면에서 본 신소설로서의 ‘血의 淚’
3. 이데올로기적 측면에서 본 이인직의 작품세계
(2) 『혈의 누』와 『은세계』에 나타나는 이인직의 이데올로기적 측면
1) 『혈의 누』와 『은세계』에서 드러나는 구시대 인물들의 역할
2)『혈의 누』와 『은세계』에서 드러나는 신시대 인물들의 역할
3) 『혈의 누』와 『은세계』에서 나타나는 효(孝)와 유학 사상의 효과
4. 담론적 측면에서 본 이인직의 작품세계
(1) 담론이란
(2) 『혈의 누』와 『은세계』 속 담론
(3) 담론의 결론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신소설은 근대전환기의 대표적 서사문학 중의 하나다. 근대전환기는 대체적으로 1890년대부터 1910년까지의 고전과 근대문학양식의 과도기적 시기를 말하는 것으로 신소설은 이 과도기적 시기에 우리나라 최초로 고전소설 양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근대적 형식의 소설 등장에 발판을 마련해 준 소설이다. 신소설이란 말은 1906년 『만세보』에 연재되었던 이인직의 『혈의 누』가 1907년 단행본으로 발간될 때 명칭을 붙인 데서 유래한다. 신소설은 우리 근대 소설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이전의 소설을 결정적으로 극복하고 있지는 못한 과도기 형태의 소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신소설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그것이 애국계몽기의 반봉건 문명개화라는 시대적 과제를 새롭게 드러내기 때문이다. 신동욱 편저, 『한국 현대문학사』, 집문당, 2004, p.321.

이러한 최초의 신소설로써 이인직의 문학을 바라볼 때, 우리는 크게 3가지 측면에서 그의 작품을 분석한다. 하나는 김동인, 임화, 백철, 조연현으로 이어져 내려온 신소설의 형식을 기존 문학의 형식과 비교, 분석하여 변화하는 과정을 밝히는 실증적 측면이다. 두 번째는 전광용 이래로 주력화 된 작가와 작품을 하나로 연결시키는 작가론적 관점에서 작품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주로 작가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에 대해 연구된다. 문영진,「근대 초기 소설의 근대상: 이인직의 신소설을 중심으로」,『韓國言語文學』제48집, 한국언어문학회, 2002, p.318-319.
마지막으로 김현이나 정선태, 나병철, 김영택, 최종순 등이 연구한 최근에 대두된 담론적 입장에서의 작품분석이 그것이다 다지리 히로유끼, 『이인직연구』, 국학자료원, 2006. p.23-24.
.
우리는 이 발표에서 이인직의 생애와 『혈의 누』,『은세계』를 3가지 측면에서 연구한 것을 간략하게 제시하고 이 중 조에 맞는 의견을 채택하여 이유를 제시하는 것으로 마무리를 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이인직의 생애

국초(菊初) 이인직(李人稙)은 음력 1862년 7월 27일 한산이씨 윤기(胤耆)와 전주이씨 사이의 차남으로 태어나, 3대조 면채(冕采)의 직계 은기가(殷耆家)의 양자로 들어갔다. 1900년 2월 39세의 나이로 관비유학생으로서 일본으로 건너간 이인직은 이미 본국에 부인과 자식을 둔 상태에서도 일본 여성과 동거관계에 있었다고 전해진다. 일본에선 정치를 전공했으며, 미야꼬 신문사의 견습생으로 있으면서 일정 기간 기자 수업을 받았다. 유학시절에는 후일 구한말 내각의 농상이 된 조중응과 각별한 친분을 쌓았으며, 한일합방 당시 총독부 외사국장으로 활약한 고마쓰(小松綠)와 인연이 닿았다. 이는 이후 조선에서 이인직의 친일 행위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 1903년 유학생 소환공문을 무시하고 1년을 더 체류하며 학교를 마쳤고, 한어통역사로서 러일전쟁에 종군한다. 1905년에 조선으로 귀국하여 조중응과 함께 동아청년회 1905년 3월 5일, 이인직은 ‘동아청년회(東亞靑年會)에도 참가한다. 이 모임의 취지는 지식과 사교에 의해 동아인의 단결을 이루어 동아의 전 국면에 문명의 보급을 꾀한다는 것이었지만, 사실은 식민지를 지매함에 있어서 무단적(武斷的)인 방법이 아니라 한국과 중국 양 국민의 풍습과 관례를 이해함으로써 한층 더 효과적인 식민지 경영책을 강구하자는 것이었다.
최종순,『이인직 소설 연구』, 국학자료원, 2006, p.68.
라는 단체에 가입했고 1906년 6월 『만세보』 창간과 함께 주필을 맡아 활동하며 『혈의 누』외 많은 기사를 써 발간하였으며 『만세보』가 금전적인 이유로 문을 닫자 이를 인수하여 『대한신문』을 창간, 사장으로 취임한다. 1908년에는 『은세계』를 출판하였고 대동학회(공자교회)에 관련했으며, 이완용의 비서로서 한일합방에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1911년엔 일제가 성균관에 설치한 경학원의 사성으로 임명되며 이후 수많은 친일 정치적 기사와 소설을 발행하다가 1917년 11월 신경통으로 총독부 의원이 입원하여, 그 월 25일에 사망했다. 다지리 히로유끼,『이인직연구』, 국학자료원, 2006, p.27~41


2. 신소설 형식론

(1) 실증적인 측면에서 본 신소설로서의 ‘血의 淚’

이인직의 ‘혈의 누’는 확대된 장면 묘사, 작품 서두의 참신성, 근대적인 사상과 신문물의 도입, 풍속의 개량 등 내용과 형식의 측면에서 고전 소설과는 다른 새로운 면모를 보여 주었다. 그러나 작품의 내용은 확실히 새로운 것이었으나 형식은 고전 소설의 틀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하였다. 후기로 갈수록 부녀자들을 상대로 한 대중적 독서물로 변질되어 고전 소설의 상투적 수법인 우연을 통한 사건 전개, 선악의 평면적 대립, 흥미 위주의 사건 설정 등이 남발되면서 초기의 참신성이나 문제 의식이 점점 희석되고 오락성이 강화되어 갔다.
‘혈의 누’는 일상적 대화 중심의 평이한 문장과 대부분이 ‘다’로 끝난다는 것, 사실적인 묘사 등으로 인해 최초의 신소설로서의 형식적 면모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소설의 전체적인 구조가 고전 소설의 영웅 설화 형식을 취하고 있고 최영구. 이인직의 신소설 < 혈의 누 > 의 서사 및 서사 기능 층위 연구 - 설화 ( 신화 , 전설 , 민담 ) 및 고대소설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수련어문논집 Vol 17. 1990. P8~9
, 우연에 의한 사건 전개, 서술자가 자주 작품의 전면에 나와서 설명과 해설을 하고 있는 점에서 전대소설의 양상을 띠고 있다.
예를 들어 혈의 누 상편 끝부분을 보면 ‘까마귀의 울음’이 중요한 모티브의 구실을 하는 것을 볼 수
참고문헌
김영택, 이인직 소설 『치악산의 담론 특성』, 비평문학, No.21, 2005
김영택‧최종순, 이인직 소설의 담론 특성에 관한 시론적 고찰, 목원대학교 논문집, Vol.33, 1997
김영택, 『혈의 누』다시 읽기, 현대문학이론학회, Vol.11, 1999
김운태, 『일본 제국주의의 한국통치』, 박영사, 1988,
다지리 히로유끼,『이인직연구』, 국학자료원, 2006,
문영진,「근대 초기 소설의 근대상: 이인직의 신소설을 중심으로」,『韓國言語文學』제48집, 한국언어문학회, 2002,
신동욱 편저, 『한국 현대문학사』, 집문당, 2004, p.321.
이인직, 「혈의루」,『한국신소설전집』제1권, 을유문화사, 1986.
최영구, 이인직의 신소설 < 혈의 누 > 의 서사 및 서사 기능 층위 연구 - 설화 ( 신화, 전설, 민담 ) 및 고대소설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수련어문논집 Vol 17. 1990.
최종순,『이인직 소설 연구』, 국학자료원, 2006,
최종순, 이인직 소설의 세계인식과 그 비극의 의미, 목원국어국문학, Vol.6, 2000
한상무, 『한국 근대소설과 이데올로기』, 푸른사상사, 200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