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류 디자인] 초중급 선수들을 위한 피겨스케이팅복과 연습복 디자인

 1  [의류 디자인] 초중급 선수들을 위한 피겨스케이팅복과 연습복 디자인-1
 2  [의류 디자인] 초중급 선수들을 위한 피겨스케이팅복과 연습복 디자인-2
 3  [의류 디자인] 초중급 선수들을 위한 피겨스케이팅복과 연습복 디자인-3
 4  [의류 디자인] 초중급 선수들을 위한 피겨스케이팅복과 연습복 디자인-4
 5  [의류 디자인] 초중급 선수들을 위한 피겨스케이팅복과 연습복 디자인-5
 6  [의류 디자인] 초중급 선수들을 위한 피겨스케이팅복과 연습복 디자인-6
 7  [의류 디자인] 초중급 선수들을 위한 피겨스케이팅복과 연습복 디자인-7
 8  [의류 디자인] 초중급 선수들을 위한 피겨스케이팅복과 연습복 디자인-8
 9  [의류 디자인] 초중급 선수들을 위한 피겨스케이팅복과 연습복 디자인-9
 10  [의류 디자인] 초중급 선수들을 위한 피겨스케이팅복과 연습복 디자인-10
 11  [의류 디자인] 초중급 선수들을 위한 피겨스케이팅복과 연습복 디자인-11
 12  [의류 디자인] 초중급 선수들을 위한 피겨스케이팅복과 연습복 디자인-12
 13  [의류 디자인] 초중급 선수들을 위한 피겨스케이팅복과 연습복 디자인-13
 14  [의류 디자인] 초중급 선수들을 위한 피겨스케이팅복과 연습복 디자인-14
 15  [의류 디자인] 초중급 선수들을 위한 피겨스케이팅복과 연습복 디자인-15
 16  [의류 디자인] 초중급 선수들을 위한 피겨스케이팅복과 연습복 디자인-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의류 디자인] 초중급 선수들을 위한 피겨스케이팅복과 연습복 디자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목차
① 디자인 요청제기
② 디자인 상황탐색
③ 중요 디자인 요소 분석
④ 디자인 명세 작성을 위한 평가

2) 디자인 요청제기 : 초중급 선수들을 위한 피겨스케이팅복과 연습복

※초중급 수준의 선수를 대상으로 한 이유?

⇒초중급 선수들이 보호대 및 기능복을 더 많이 사용할 것 같아서 디자인 과정 시
다양한 기능성 소재 및 디자인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선수들과의 접촉이 수월해, 직접 만나 설문 및 인터뷰하기가 쉽고 결론 도출이
효과적이다.




3) 디자인 상황탐색 :
A. 유래와 역사 (외국, 우리나라)

피겨 스케이팅(Figure Skating)이 시작된 정확한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1600년대부터 이미 스케이팅을 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으며 세계 최초의 피겨 스케이팅 클럽이 설립된 것은 1742년 영국에서였다.

초기의 피겨 스케이팅은 매우 기계적이고 딱딱해서 단지 얼음위에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일정한 형태의 도형을 블레이드(Blade)로 그리는 것이어서 현재 우리가 흔히 피겨스케이팅 하면 떠올리는 아름다운 의상을 입고 음악에 맞춰하는 연기(performance)와는 크게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1990년 세계 스케이팅 연맹(ISU:International Skating Union)의 결정으로 컴퍼서리(School Figure)요소가 공식대회에서 제외될 때까지 이러한 형태의 정해진 도형을 블레이드(Blade)로 그리는 것이 피겨 스케이팅의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왔다.

이런 전통을 바꿔놓은 인물이 바로 잭슨 하인즈(Jackson Haines:1840-1876)였다. 그는 발레무용수 출신으로 현재 우리가 즐기는 피겨스케이팅의 주요한 기본을 만들어 ‘현대 프리 스타일 피겨 스케이팅의 아버지’로 추앙받는 인물이다. 그가 없었다면 우리는 어쩌면 여전히 몸을 딱딱하게 긴장시킨 채 신경을 곤두세우고 얼음 위에 일정한 형태의 도형만 반복해서 그리고 있을 것이다.

그의 뒤를 이어 스웨덴인 액셀 파우젠(Axel Paulsen)이 1882년 오스트리아의 빈에서 열린 세계 스케이팅 모임(International Skation Meeting)에서 1회전 반의 점프를 성공시키며 보다 다양한 기술들을 피겨스케이팅에 도입시켰다. 그가 최초로 시작하고 성공한 이 점프는 그 자신의 이름을 따서 ‘Axel Paulsen jump'(간단히 ’액셀점프‘라고 흔히 부름)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스케이트의 역사
=스케이트는 약 4-5천 년 전 스칸디나비아 사람들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 얼어붙은 피오르드나 연못을 가로지르는 데 사용되었다고 전해짐. 최초의 스케이트는 동물의 뼈로 만들어졌으며, 길쭉한 뼛조각의 앞과 위에 구멍을 뚫고 여기에 가죽끈을 꿰어 신발에 부착시켰던 것으로 보인다.

첫 여자 피겨선수의 등장
=1945년 해방이 되고 나서 만주나 북경 등지에서 연습 및 대회에 출전한 여자선수들이 귀국하면서 여자부가 생김.
김정자는 한국인으로서 최초의 여류 피겨 스케이터.
홍용명은 한국 최초의 여자 챔피언으로 기록된 인물. 1948년 한국에서 열린 피겨 첫 시합에서 챔피언이 되고 이어 1955, 56, 57년 3년 간 전국동계체전에서 우승을 함.

태릉 선수촌 탈의실 화재사전
=실내 스케이트장이 없었던 시절에 야외에서 스케이트를 연습하던 선수가 연못이나 강에 빠져 다치거나 온몸이 얼어붙은 불상사가 생김. 1990년대 초반까지 태릉 실내 스케이트장의 실내온도는 매우 낮아, 난방시설이 필수적이었고, 이 때문에 화재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ISU 피겨 국제심한과 집행위원의 탄생

=ISU는 International Skating Union의 약자로, 동계올림픽 및 세계피겨선수권대회 등 빙상관련 각종 국제대회를 주관하는 기구.
ISU 국제심판이 되려면 까다로운 절차를 밟아야 함. 4년 간 지속적인 국제심판 명부에 올라 있어야 하며 추천받기 전 48개월 동안 최소한 연 3회 이상 국내 또는 지역대회에서 ISU심판 세미나에 참가했어야 함. 또한 최소 3개의 국제대회에서 심판을 보았어야 하며, 이런 심판기록들은 다른 심판원과의 점수오차가 적고 우수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심판자격 시험자격을 취득하고, 5가지의 필기시험을 모두 통과해서 ISU 챔피언십 심판명단에 기재되며, 그 후 심판으로 활동할 수 있다.


솔트레이크 동계올림픽(2002) 출전
=역대대회 중 가장 많은 74명 파견, 출전의 기대는 탈락으로 이어져 아쉬움을 남김.
김동성 선수와 오노 선수의 판정 시비 등의 많은 판정시비로 얼룩진 경기.
한국 선수단의 당초 목표한 10위권 진입에서 실패하고 14위에 그침.

본문내용
국내>
스케이트의 역사
=스케이트는 약 4-5천 년 전 스칸디나비아 사람들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 얼어붙은 피오르드나 연못을 가로지르는 데 사용되었다고 전해짐. 최초의 스케이트는 동물의 뼈로 만들어졌으며, 길쭉한 뼛조각의 앞과 위에 구멍을 뚫고 여기에 가죽끈을 꿰어 신발에 부착시켰던 것으로 보인다.

첫 여자 피겨선수의 등장
=1945년 해방이 되고 나서 만주나 북경 등지에서 연습 및 대회에 출전한 여자선수들이 귀국하면서 여자부가 생김.
김정자는 한국인으로서 최초의 여류 피겨 스케이터.
홍용명은 한국 최초의 여자 챔피언으로 기록된 인물. 1948년 한국에서 열린 피겨 첫 시합에서 챔피언이 되고 이어 1955, 56, 57년 3년 간 전국동계체전에서 우승을 함.

태릉 선수촌 탈의실 화재사전
=실내 스케이트장이 없었던 시절에 야외에서 스케이트를 연습하던 선수가 연못이나 강에 빠져 다치거나 온몸이 얼어붙은 불상사가 생김. 1990년대 초반까지 태릉 실내 스케이트장의 실내온도는 매우 낮아, 난방시설이 필수적이었고, 이 때문에 화재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ISU 피겨 국제심한과 집행위원의 탄생

=ISU는 International Skating Union의 약자로, 동계올림픽 및 세계피겨선수권대회 등 빙상관련 각종 국제대회를 주관하는 기구.
ISU 국제심판이 되려면 까다로운 절차를 밟아야 함. 4년 간 지속적인 국제심판 명부에 올라 있어야 하며 추천받기 전 48개월 동안 최소한 연 3회 이상 국내 또는 지역대회에서 ISU심판 세미나에 참가했어야 함. 또한 최소 3개의 국제대회에서 심판을 보았어야 하며, 이런 심판기록들은 다른 심판원과의 점수오차가 적고 우수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심판자격 시험자격을 취득하고, 5가지의 필기시험을 모두 통과해서 ISU 챔피언십 심판명단에 기재되며, 그 후 심판으로 활동할 수 있다.


솔트레이크 동계올림픽(2002) 출전
=역대대회 중 가장 많은 74명 파견, 출전의 기대는 탈락으로 이어져 아쉬움을 남김.
김동성 선수와 오노 선수의 판정 시비 등의 많은 판정시비로 얼룩진 경기.
한국 선수단의 당초 목표한 10위권 진입에서 실패하고 14위에 그침.



B. 규칙
피겨스케이팅의 경기 규칙 : 세계빙상연맹(ISU)이 제정한 경기규칙에 의거하여 시행
쇼트 프로그램+프리 프로그램의 두 가지 프로그램을 연기하여야 하며 예선 점수와 이 두 점수를 합계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선수가 우승하게 된다.
쇼트 프로그램 : 주니어 2분30초 시니어 3분의 경기시간동안 지정된 기술을 실수없이 시행하는 것을 위주로 하고, 프리 프로그램은 주니어 3분 30초 시니어 4분 30초 경기시간으로 기술과 아울러 자신만의 스타일, 예술적인 면(Artistic impression)을 주로 표현한다. 심판은 각 선수들의 연기에 대하여 기술적인 면과 예술적인 면으로 각각 두 개의 점수를 주게 된다.

아마추어 경기에서는 6.0점을 만점으로 하며 프로페셔널 경기에서는 10점을 만점으로 하기도 하고 100점을 만점으로 하는 등 자유롭다.

대개 심판진은 5~7명으로 구성되며(미국과 캐나다의 경우) 올림픽과 세계선수권, 챔피언 시리즈와 같은 중요대회는 9명의 심판이 패널(panel)을 구성한다.
채점방식은 특이한 ‘석자제’를 사용하는데, 이는 단순히 점수의 높고 낮음으로 순위가 결정되는 절대평가가 아니라 일종의 상대평가라고 할 수 있다. 즉 가장 많은 심판으로부터 높은 점수를 많이 받은 선수가 1위가 되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한 심판으로부터 최고점수를 받는다고 해서 그 선수가 1위가 되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다.

1.한 선수의 연기에 대한 각 심판의 두 가지 점수(테크니컬/아티스틱)는 함께 더해진다.
2.각 심판의 점수 합계는 같은 심판의 다른 선수에 대한 합계점수와 비교되어 최고점에서 최저점까지 순위를 매긴다.
3.최고합계점이 석차1이 되고 그 다음이 석차2순으로 내려가며 정해진다.
4.만약 한 심판의 두 선수의 합계점수가 동일하면, 쇼트 프로그램에서는 테크니컬 점수가 높은 쪽이, 롱 프로그램에서는 아티스틱 점수가 높은 쪽이 앞선 것으로 한다.
5.이러한 석차는 모든 선수가 연기를 다 끝낼 때까지는 변동된다.
6.가장 많은 심판으로부터 석차1(1순위)를 많이 받은 선수가 1위가 되고 그다음으로 많이받은 선수가 2위가 되는 식으로 순위가 매겨진다.











한국에서 피겨스케이팅 선수가 되려면 한국 빙상경기 연맹에서 재정한 승급규정에 따라 승급 심사를 받고 각 시도 연맹에 선수 등록을 해야 한다.
한국빙상경기 연맹 규정에 의하면 피겨스케이팅의 급수는 초급부터 8급(최고급수)까지로 나누어지며 경기는 이 급수를 기준으로 수준을 구분하여 진행 된다.각 급수에는 그 급수를 따기 위한 과제가 지정되어 있으며 일 년에 두 세 차례 시행되는 승급 심사대회에 참가하여 심판들 앞에서 테스트를 받아 합격하면 해당 급수를 딸 수 있다.

C. 자연환경 (우리나라 실내 아이스 스케이트장, 온도, 습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