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와 건축 레포트

 1  도시와 건축 레포트-1
 2  도시와 건축 레포트-2
 3  도시와 건축 레포트-3
 4  도시와 건축 레포트-4
 5  도시와 건축 레포트-5
 6  도시와 건축 레포트-6
 7  도시와 건축 레포트-7
 8  도시와 건축 레포트-8
 9  도시와 건축 레포트-9
 10  도시와 건축 레포트-10
 11  도시와 건축 레포트-11
 12  도시와 건축 레포트-12
 13  도시와 건축 레포트-13
 14  도시와 건축 레포트-14
 15  도시와 건축 레포트-15
 16  도시와 건축 레포트-16
 17  도시와 건축 레포트-17
 18  도시와 건축 레포트-18
 19  도시와 건축 레포트-19
 20  도시와 건축 레포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도시와 건축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도시와 건축
가) 도시의 개념 및 의의
㉠ 도시의 개념
㉡ 도시의 정의
㉢ 도시의 구성요소
㉣ 도시용어
나) 도시의 발생 및 발전사
① 서양
1. 고대문명의 발상과 도시의 기원
2. 그리스의 도시국가
3. 로마제국의 도시계획
4. 중세도시의 형성과 발달
5. 르네상스시대의 도시계획
6. 절대주의 바로크시대의 도시계획
7. 산업화와 도시환경문제의 대두
8. 근대도시계획의 성립
9. 초기의 미국도시계획과 도시미운동
10. 전원도시운동과 그 영향
11. 지역계획의 대두와 신도시
12. 근린주구단위계획과 현대도시계획의 경향
② 동양(한국)
1. 삼국시대의 도시 - 고구려
2. 삼국시대의 도시 - 백제
3. 삼국시대의 도시 - 신라
4. 중세도시 - 고려
5. 중세도시 - 한양
6. 중세도시 - 수원 화성
7. 근대도시 - 대한 제국
8. 현대도시 - 대한 민국
다) 도시 사례조사
① 고대도시(동,서양)
1. 아테네(Athens) - 페리클레스(BC 495~429)
2. 히포다무스의 도시 - 밀레투스
3. 히포다무스의 도시 - 프리에네
4. 포세도니아
5. 주왕성(중국)
6. 업성(중국)
7. 장안성(중국)
8. 국내성(한국)
9. 평양성(한국)
10. 평성경(일본)
② 중세도시(동, 서양)
1. 중세의 신도시
2. Bologna
3. 이슬람도시
4. Pienza
5. Urbino
6. Ferrara
7. Vienna
8. Turin
9. Naples
10. Amsterdam
11. 오스만 남작의 Paris
12. 식스투스 5세의 로마
13. 한양성
③ 현대도시(동,서양)
1. 하워드의 Letchworth & Welwyn
2. 워싱턴
⑴ 랑팡의 계획
⑵ 중심 축의 설정
3. 뉴욕
4. 생태도시 - 스위스의 취리히
5. 지속가능한 도시 - 마테라
6. 지속가능한 도시 - 알베로벨로
7. 지속가능한 도시 - 꾸리띠바
8. 지속가능한 도시 - 아르코산티
9. 지속가능한 도시 - 프라이부르크

본문내용
1. 도시와 건축
가) 도시의 개념 및 의의
㉠ 도시의 개념
- 도시는 인간의 문명이 싹트기 시작한 오래 전부터 이미 존재해 왔다. 최초의 인간은 사냥과 채취를 주요 생계수단으로 하면서 정주형태는 가족 또는 종족단위로 물과 식량을 찾아 이동하는 형태였다. 이러한 정주형태는 인간이 가축을 사육하고 식량을 지배, 수확, 저장하는 방법을 배우게 되면서 한 곳에 정착하는 취락의 형태로 발전하였다. 그 후 안정된 농업경제 사회를 거치면서 사회조직의 세분화가 이루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사회조직을 지배하는 통치계층과 생산품을 교역하고 거래하는 상인계층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변천은 취락의 형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으며, 마침내 어느 정도 사회조직과 체계가 갖춰진 도시의 모습으로 변모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도시는 시대에 따라 그 모습을 달리 하고 있다. 고대시대의 도시는 권력계층이 도시를 통치하고, 농촌을 지배하여 도시와 비도시와의 구분이 명확하였다. 중세시대는 방어개념과 군사적 요인이 도시를 형성하게 하는 하나의 중요한 요소였으며, 근세시대에는 주로 인구밀도나 직업구성 등에 의해 도시와 농촌을 구별하였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도시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인구의 유동과 사회적 교류가 점점 많아지고 있으며, 기능 또한 더욱 복잡해져 도시와 농촌의 명확한 구분이 어려워지고 있다.
도시의 본질과 개념은 사람이 보는 관점이나 시대적 환경과 변화에 따라 다르게 정의를 내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대 동양사회에서는 도(都)란 바로 천자(天子) 또는 권력가가 있는 장소를 의미하고, 시(市)는 물건을 파고 사는 곳을 일컬었다. 즉, 동양사회에서 의미하는 도시는 다수의 사람들이 모여 사는 장소로서 정치, 경제,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곳이라 할 수 있다. 결국 도시는 궁과 성곽 등을 건축할 수 있는 권력과 힘을 갖춘 계층이 농업생산을 지배할 수 있는 위치를 찾아서 입지하면서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성립된 동시는 권력과 농업생간을 기초로 하여 자본을 축적하게 되고 축적된 자본과 잠재력은 하나의 유통구조와 교역체제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도시의 성격이 권력의 중심지에서 상업의 중심지로 옮겨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동양적인 관점에서 오늘날의 도시를 성곽과 시장의 유무나 인구수만으로 정의를 내리는 것은 다소 문제가 있다.
서양사회에서는 도시(urban)를 농촌(rural)과 상대되는 개념으로서 이해하고 있다. 즉, 인간의 정주형태를 크게 도시적 취락과 농촌적 취락으로 나누어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도시와 농촌을 반대되는 개념으로 파악하는 것은 경우에 따라서 임의적일 수도 있으며, 도시와 농촌간의 뚜렷한 구별이 없어지고 있는 현재의 추세에 비추어 볼 때, 낡은 개념으로 비판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솔로킨(P. A. Solokin)과 짐머만(C. C. Zimmerman)의 경우, 도시와 농촌의 본질을 인구 및 직업의 구성 측면, 인구밀도와 규모, 인구의 이질성과 동질성, 사회분화의 정도, 주민간의 상호관계 측면에서 파악하고 있다. 이들이 시도한 도시와 농촌의 구분은 어느 정도 도시의 본질을 꿰뚫어보고 있지만, 교통, 정보, 통신의 발달과 도시의 글로벌화, 이에 따른 사회가치관의 변화로 지금까지 당연시되어 왔던 도시와 농촌의 경계가 애매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옳다고는 볼 수 없다.
그러나 도시의 본질을 농촌과 상대되는 전통적인 개념에서 파악하는 것은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입장에서 도시의 본질을 규정하면, 도시는 먼저 인구 및 직업의 구성에서 주로 제조업과 판매업에 종사하는 사람과 지식인과 전문인들로 구성되며, 규모와 인구밀도 측면에서 농촌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또한 도시는 주민의 구성에 있어서 이질적인 집단의 성격이 강하고, 주민들간의 상호접촉은 빈번하고 광범위하지만 일시적이고 간접적인 특징이 있으며, 인구의 유동성은 농촌에 비해 높은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 도시의 정의
도시의 어원에서 도(都)는 궁성으로서 왕이 거주하는 수도를 의미하고, 시(市)는 교역이 행해지는 장소를 의미하듯이, 도시는 정치·행정의 중심지인 동시에 상업·경제적 기능이 집중되어 있는 장소라고 정의할 수 있다.
20세기 초반의 사회학자였던 워스(L. Wirth)는 도시란 사회적으로 이질적인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과 높은 인구밀도를 가진 정착지라 정의 하였고, 경제학자였던 웨버(M. Weber)는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이 아닌 공업 또는 상업으로부터의 수입으로 생활하는 커다란 취락이라고 정의하였으며, 한편 도시문명비평가였던 멈포트(L. Mumford)는 도시의 경정요인은 사람 수와 건물이 아니라 예술, 문화, 종교, 민주적정치형태라고 정의 하였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많은 변천을 겪어온 오늘날의 도시를 단순한 기능과 규모를 기준으로 규정하는 것은 무리이며, 전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정의 되고 있다.
첫째는 인구적 측면으로서, 도시란 많은 정착인구와 높은 인구밀도를 가지고 있다. 도시로 규정하는 인구규모는 그 나라의 여러 여건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캐나다와 호주는 1000명, 미국 멕시코는 2,500명, 벨기에와 이란은 5,000명, 스페인과 터키는 1만 명, 일본은 5만 명 그리고 중국은 10만명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둘째는 정치적, 행정적 측면으로서, 세계 여러 나라는 도시를 하나의 자치단체로서 인정하고 그 세력권이나 역사를 존중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법에서는 인구수에 따라 특별시는 500만 이상, 광역시는 100만이상, 일반 시는 5만이상, 그리고 읍은 2만 이상으로 정하고 있으며, 지난 1995년에는 도시와 농촌을 합한 이른바 도농톱합시가 생겨났다.
셋째는 사회, 문화적 측면으로서, 소로킨과 짐메르만은 도시는 농촌에 비해 전문적 직업의 종사자가 많고, 인공환경이 우세하며, 인구구성의 이질성, 사회 계층분화의 심화, 그리고 사회적 이동성과 익명성이 강하다고 주장하였는바, 이러한 사회학적 입장에서 도시의 본질에 대한 규정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넷째는 기능적 측면으로서, 메이어(R. Meier)가 도시는 정보의 중심지라고 정의하듯이, 오늘날 도시의 가장 중요한 기능의 하나는 정보센터로서의 역할이다. 이러한 도시의 정보 중심지로서 기능성은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끝으로 시설, 환경적 측면으로서, 멈포드가 지적하였듯이 도시는 고층건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