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분해성 플라스틱

 1  생분해성 플라스틱-1
 2  생분해성 플라스틱-2
 3  생분해성 플라스틱-3
 4  생분해성 플라스틱-4
 5  생분해성 플라스틱-5
 6  생분해성 플라스틱-6
 7  생분해성 플라스틱-7
 8  생분해성 플라스틱-8
 9  생분해성 플라스틱-9
 10  생분해성 플라스틱-10
 11  생분해성 플라스틱-11
 12  생분해성 플라스틱-12
 13  생분해성 플라스틱-13
 14  생분해성 플라스틱-14
 15  생분해성 플라스틱-15
 16  생분해성 플라스틱-16
 17  생분해성 플라스틱-17
 18  생분해성 플라스틱-18
 19  생분해성 플라스틱-19
 20  생분해성 플라스틱-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가.
2. 본론
가. 생분해성 플라스틱 연구·개발 배경
1.1.1. (1) 우리나라의 플라스틱 폐기물
1.1.1. (2) 분해성 고분자의 연구
1.1.1.1. 1) 생분해성 플라스틱
1.1.1.1. 2) 생붕괴성 플라스틱
1.1.1.1. 3) 광분해성 플라스틱
1.1. 2.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란?
1.1. 3. 생분해성 수지의 종류와 특징
1.1.1. (1) 종류 및 특성
1.1.1.1. 1) 천연고분자
1.1.1.1. 2) 합성고분자
1.1.1.1. 3) 미생물 생산 고분자
미생물생산 바이오폴리머
Hyaluronic acid
c.f) Biochemical 고분자
1.1.1.1. 4) 혼합형
1.1.1. (2) 용도
1.1.1. (3)분해성 평가방법
1.1.1.1. 1) 생분해성 플라스틱
1.1.1.1. 2) 생붕괴성 플라스틱
1.1.1.1. 3) 광분해성 플라스틱
1.1. 4.생분해성 플라스틱 상품들의 예
그린 마스타
바이오닐
퇴비화 조건에서 바이오닐의 생분해성
리그린
리그린-폼의 물성
용해성
리그린-폼과 스티로폼의 물성(복원력, 수축률) 비교
잎성 생분해성 용기
1.1. 5. 국내외 생분해성 플라스틱 연구개발 및 특허출원 현황
1.1.1. (1) 국내 개발 현황
1.1.1. (2)국내외 현황
1.1. 6. 생분해성 플라스틱 기술의 전망 및 특허청의 대응
1.1. 7.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시장성
1.1.1. (1)국내 시장
1.1.1.1. 1)종량제쓰레기봉투
1.1.1.1. 2)1회용 도시락상자
1.1.1.1. 3)멀칭필름
1.1.1. (2) 해외시장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1.1.

플라스틱 소재는 현대인의 풍요로운 일상생활과 산업발달에 큰 공헌을 해 온 반면 대량으로 발생되는 각종 폐비닐, 스티로폼, 플라스틱 용기 등의 소각이나 매립에 따른 환경호르몬 누출, 맹독성의 다이옥신 검출 폐기물의 불완전 연소에 의한 대기오염 발생 등과 같은 심각한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 폐플라스틱 더미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쓸 때는 보통 플라스틱처럼 간편하게 쓸 수 있고 사용 후에는 토양 중의 미생물에 의해 썩는 환경 친화적이고 무해한 플라스틱인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실용화 및 의무화의 압력이 거세지면서 독일, 이태리, 미국은 선진 각국에서는 쇼핑백, 플라스틱제 병의 생분해성 수지 사용을 의무화하는 등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실용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그 동안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실용화가 미미한 편이었지만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제조시 생분해성 소재 함량 30%이상 사용 의무화를 위한 환경부 지침이 개정되고 각 시, 군, 구 자치단체의 조례 개정작업이 완료되면 우리나라도 생분해성 플라스틱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 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3년간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관련한 지식재산권을 선정하기 위한 선진국과 국내 대기업 및 중소기업 등의 출원이 급증함에 따라 특허청에서는 현재 운영중인 플라스틱 기술협의회와 고분자 신소재 연구회 등을 통하여 중소기업이 기존 소재를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응용한 환경 친화적 소재로 대체한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관련 기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2. 본론


2.1. 1. 생분해성 플라스틱 연구·개발 배경

인간생활의 편리성을 비약적으로 발달시킨 플라스틱이라 불리는 고분자 재료는 끊임없는 연구에 의해 점차 유리, 금속, 종이, 목재, 석재 등과 같은 기존의 재료들을 대체하여 산업용 재료로부터 1회용 소모품에 이르기까지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플라스틱은 자연계에서 분해 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방치된 플라스틱은 하천이나 해양 등에서 외관상뿐만 아니라 생물 환경적으로도 나쁜 영향을 끼치고 있다.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다 쓰고 난 폐 플라스틱을 매립, 소각, 재활용의 방법을 통해 처리하고 있으나, 매립 시에는 매립지 확보가 어렵고 매립된 플라스틱이 땅속에서 썩지 않기 때문에 지반이 인정되지 않아 매립지의 이용에 문제가 있으며, 소각 시에는 연소 화합물과의 혼소에 의해 다이옥신이 발생할 수 있고 고열에 의한 소각로의 손상을 야기 할 수 있으며, 재활용의 경우에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너무 산재하여 이를 수거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고 작은 부피의 플라스틱만이 재활용에 적합한 형편이다.
이러한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사용할 때에는 보통 플라스틱처럼 쓸 수 있고 사용 후에는 자연계 물질순환 사슬에 포함될 수 있는 그린 플라스틱이라고도 불리어지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관한 연구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2.1.1. (1) 우리나라의 플라스틱 폐기물

국내의 경우 1930년 일제가 만든 베이클라이트 공장과 가내수공업 형태의 셀룰로이드 가공이 산업의 시작이었으나 미미한 수준이었고, 50년대 들어 부산의 화장품업체였던 락희화학이 폴리스티렌 사출기를 처음으로 도입, 화장품통, 칫솔 등을 생산하면서 플라스틱 산업이 형성되었다. 이후 67년 대한플라스틱의 준공, 72년 울산 석유화학단지 조성 등이 잇따르면서 본격적인 플라스틱 시대를 열게 되었다. 우리나라도 석유화학공업의 발전과 더불어 세계적인 추세와 함께 그 생산이 매년 상당한 비율로 늘어나고 있으며 그 생산량은 세계 5대 생산국에 포함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편이다.
한편 '70∼'80년대의 급속한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발생하기 시작한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해 우리나라가 관심을 가지고 법적으로 대처하기 시작한 것은 1979년 "합성수지 폐기물 처리사업법"의 제정에 따라 1980년 "한국자원재생공사"가 설립되면서부터 이며 1992년 말 "자원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의 제정과 1993년 총리령으로 "제품의 포장방법 및 포장재의 재질 등의 기준에 관한 법률" 등에서 발생원 감량화를 꾀하고 있다.
참고문헌
1. http://www.en-zone.co.kr
2. http://www.getb.co.kr/k_main.htm
3. http://www.woosungfoam.co.kr
4. http://boozers.fortunecity.com/durham/126/depoly.htm
5. http://www.plasticskorea.co.kr
6. http://www.kordic.re.kr/%7Etrend/Content217/chemical-industry01.html
7. http://www.biopla.co.kr
8. http://www.gncko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