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의 세계화 방안

 1  한국문화의 세계화 방안-1
 2  한국문화의 세계화 방안-2
 3  한국문화의 세계화 방안-3
 4  한국문화의 세계화 방안-4
 5  한국문화의 세계화 방안-5
 6  한국문화의 세계화 방안-6
 7  한국문화의 세계화 방안-7
 8  한국문화의 세계화 방안-8
 9  한국문화의 세계화 방안-9
 10  한국문화의 세계화 방안-10
 11  한국문화의 세계화 방안-11
 12  한국문화의 세계화 방안-12
 13  한국문화의 세계화 방안-13
 14  한국문화의 세계화 방안-14
 15  한국문화의 세계화 방안-15
 16  한국문화의 세계화 방안-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화의 세계화 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1. 젓가락의 개념과 한국 쇠 젓가락의 기원 
2. 한중일 삼국의 젓가락 형태 차이와 음식과의 연관성
3. 나무젓가락 사용으로 인한 폐해



Ⅱ본론
1. 한국의 금속젓가락의 세계화 가능성
1.1. 건강
1.2. 명품/예술품

2. 한국적 젓가락의 세계화 방안
2.1 상용화
2.1.1. 젓가락 사용 체험 이벤트
2.1.2. 한국 공예품의 세계화
2.2 명품화
2.2.1. 명품화 전략의 의의
2.2.2. 공예젓가락의 명품화 가능성 및 방안
2.3 브랜드화
2.3.1. 대상
2.3.2. 국가적 차원
2.3.3. 구체적 계획안
2.3.4.1. 브랜드화의 예-한정생산
2.3.4.2. Flagship Store

Ⅲ 결론
본문내용
I. 서 론

1. 젓가락의 개념과 한국 쇠 젓가락의 기원 
젓가락의 사전적 의미는 ‘음식이나 그 밖의 다른 물건을 끼워서 집는 기구’이다. 세상에서 가장 간단하고 거리가 짧은 운반도구인 젓가락은 한국, 중국, 일본 세 나라에서 널리 쓰이는 식기이다. 젓가락은 재료에 따라 나무젓가락, 참대젓가락, 놋쇠젓가락, 금은젓가락, 상아 젓가락, 플라스틱젓가락 등 종류가 다양하며, 쓰이는 용도에 따라 일상용, 의례용, 선물용 등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또한 신분에 따라 상류층에서는 금, 은, 상아 젓가락 등 고급젓가락을 사용하였다.
동양에서는 오래 전부터 얇은 나무 두 개만 있으면 식사가 가능하였다. 이러한 맥락은 동양의 음식문화와도 깊은 연관이 있다. 서양의 주식은 빵인데 비하여 동양의 주식은 손으로 직접 먹기 어려운 밥이었고 이에 따르는 반찬들 또한 양념이 된 것이 많아 손으로 먹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러한 식습관으로 숟가락과 젓가락이 만들어졌음을 짐작할 수 있는데 특히 젓가락은 얇고 긴 나무 두 개만 있으면 즉석에서 만들 수 있으므로 편리한 도구이다.
젓가락은 음식을 집어먹는 도구뿐만이 아닌 상징적인 도구로서의 역할도 한다. 과거에 은 젓가락은 왕의 수라상 음식에 독이 묻었는지 여부를 판명하는 도구로 쓰였는데, 독이 묻은 음식물을 집은 은 젓가락은 검정색으로 변하였다. 이처럼 은 젓가락은 왕의 생명을 지켜주는 도구이기에, 민간에서도 장수하라는 의미에서 생일날 은수저를 선물하는 풍습이 생겨나기도 했다. 젓가락을 사용하는 한국, 중국, 일본 문화권에서, 한국인들도 나무로 된 젓가락을 사용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이 쉽게 변형되고 오래 쓸 수가 없자 한국인들은 우리들만의 아주 독특한 쇠 젓가락을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에는 역사적으로 금속을 다루는 문화가 발전하면서 자연스럽게 금속을 수저에 이용하는 방법이 보편화된 것이다.

2. 한중일 삼국의 젓가락 형태 차이와 음식과의 연관성

(출처 : http://blog.naver.com/siryu21?Redirect=Log&logNo=30000085859)

한국, 중국, 일본 삼국은 식생활이 달라 젓가락의 크기와 모양이 나라마다 다르다. 중국 사람들은 온 식구가 둘러앉아 식사를 해 음식과의 거리가 멀고 반찬에 기름기가 많고 집기가 어렵기 때문에 젓가락이 길고 굵다. 반면에 일본 사람들은 밥그릇과 반찬, 국그릇을 모두 자기 앞에 놓인 상에서 먹기 때문에 젓가락도 짧다. 또 가시가 있는 생선이나 껍데기가 있는 해산물, 우동과 같은 면류를 많이 먹기 때문에 젓가락의 끝 부분이 뾰족하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젓가락은 길이가 긴 중국과 길이가 짧은 일본 사이에 있는 지리적 위치 만큼이나 젓가락의 길이도 중간이다. 25㎝ 안팎 길이에 끝은 뾰족하지도 뭉툭하지도 않고 차라리 납작한데 김치와 같은 채소를 집게 편하게 앞쪽이 납작해진 것으로 음식문화의 차이로 해석된다.

3. 나무젓가락 사용으로 인한 폐해
우리나라만 해도 나무젓가락의 1년 소비량은 25억 개다. 1년 동안 사용하는 나무젓가락만으로 남산을 26개나 만들 수 있다는 말이다. 게다가 세계 시장에서 나무젓가락의 사용은 우리나라의 사용량의 천배 이상을 웃도는 양이다. 다시 말해 1년에 남산이 2만 6천 개씩 사라지는 것이다. 이 나무젓가락은 전량 중국에서 수입된다. 나무젓가락의 폐해는 이뿐만이 아니다. 나무젓가락은 보통 대나무에 표백제, 소독제, 살균제, 과산화수소, 아황산수소나트륨 같은 독성 화공약품이 사용된다. 그리고 24시간동안 삶은 뒤 세척과정도 거치지 않고 곧바로 건조대로 옮기고, 광택제로 쓰이는 '탤크'라는 물질을 뿌린다. 나무젓가락을 백양목으로 만드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조사자는 거기서 사용하는 비율대로 화공약품을 섞어 머리카락을 넣었더니 30초 안에 머리카락이 완전히 녹아버렸다. '나무젓가락은 몸에 해롭다' : 환경위원회(2007년 한살림 소식지)
쇠 젓가락의 대체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나무젓가락은 몸에 좋지 않다. 중국의 나무젓가락 생산 공장에서는 표백제와 곰팡이방지제로 공업용 과산화수소수, 아황산수소나트륨, 수산화나트륨(양잿물)을 사용하고 광택제로 탈크(활석가루)를 사용하고 있었다.

유해 약품이 첨가된 대량생산된 나무젓가락은 물론 인체에 좋을 리 없다. 하지만 문제는 이러한 대량생산된 나무젓가락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많은 나무젓가락을 사용하는 세계추세는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