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정치] 정치적 도구로서의 북한음악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

 1  [북한정치] 정치적 도구로서의 북한음악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
 2  [북한정치] 정치적 도구로서의 북한음악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2
 3  [북한정치] 정치적 도구로서의 북한음악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3
 4  [북한정치] 정치적 도구로서의 북한음악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4
 5  [북한정치] 정치적 도구로서의 북한음악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5
 6  [북한정치] 정치적 도구로서의 북한음악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6
 7  [북한정치] 정치적 도구로서의 북한음악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7
 8  [북한정치] 정치적 도구로서의 북한음악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8
 9  [북한정치] 정치적 도구로서의 북한음악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9
 10  [북한정치] 정치적 도구로서의 북한음악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0
 11  [북한정치] 정치적 도구로서의 북한음악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1
 12  [북한정치] 정치적 도구로서의 북한음악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2
 13  [북한정치] 정치적 도구로서의 북한음악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3
 14  [북한정치] 정치적 도구로서의 북한음악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4
 15  [북한정치] 정치적 도구로서의 북한음악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5
 16  [북한정치] 정치적 도구로서의 북한음악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6
 17  [북한정치] 정치적 도구로서의 북한음악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7
 18  [북한정치] 정치적 도구로서의 북한음악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8
 19  [북한정치] 정치적 도구로서의 북한음악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정치] 정치적 도구로서의 북한음악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북한음악과 주체사상의 관계
2. 시대별 북한음악과 주체사상의 전개과정
1) 제 1기(1926년 ~ 1945 해방) : 항일투쟁시기
2) 제 2기(1945년 8월 ~ 1950년 6월) : 해방 후 평화적 민주건설시기
3) 제 3기(1950년 6월 ~ 1953년 8월) : 조국해방전쟁시기
4) 제 4기(1953년 8월 ~ 1961년 9월) : 사회주의 기초건설시기
5) 제 5기(1961년 9월 ~ 1966년 10월) : 사회주의 건설시기
6) 제 6기(1966년 10월 ~ 1970년 11월) : 당 유일사상 체제 확립 시기
7) 제 7기(1970년 11월 ~ 1980년대 초) : 문화예술의 대전성기
8) 1980년대 ~ 1990년대 북한음악과 주체사상
9) 2000년대 북한음악과 주체사상
3. 현재 일상에서의 북한음악과 주체사상
1) 교육헌장에서의 북한음악
2) 일상에서의 북한 생활가요
Ⅲ. 결 론
●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Ⅰ. 서론

음악정치라는 단어를 들어 본 적이 있는가. 음악정치란, 음악을 이용하여 체제 및 사상의 확립을 위한 정치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뜻한다. 바로 우리의 이웃인 북한의 이야기이다. 우리가 흔히 즐겨 부를 수 있는 노래를 북한에서는 사상 전파의 목적으로 쓰인다. 우리가 부르는 노래 가사에 사회주의 사상이 담겨져 있다. 그리고 북한 주민들은 시간이 날 때마다 그 노래들을 부른다. 이 효과가 얼마나 클지는 언급하지 않아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북한음악에 대한 연구는 예술적인 목적으로 이루어 진 것이 아니다. 학교, 군대, 직장 등 모든 일상 속에 주체사상이 담겨있는 음악이 울려 퍼지고 있다. 그런 상황 속에서 이미 순수성을 잃은 북한음악에 대한 예술적 접근은 의미가 없어 보인다. 따라서 우리는 주체사상 확립에 거대한 영향을 미친 정치적 도구로써 북한음악을 이해했다. 북한음악과 주체사상은 불가분의 관계이며, 이것에 대한 이해는 북한음악을 이해하는 과정의 기본이 될 것이다. 북한음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주체사상의 확립에 얼마나 큰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연구 목적은 북한음악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북한에서 음악을 통한 통치가 어떻게 이루어 질 수 있었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북한음악과 주체사상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북한음악의 정치적 효율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그리고 북한음악의 시대별 전개 과정을 통해 주체사상이 인민들의 뼛속 깊이 스며들 수 있었던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다. 전개 과정을 구분 짓는 시기는 『조선전사』 에서 북한음악의 시대구분을 기준으로 했다. 특히 북한이 타도제국주의동맹의 결성을 이룬 1926년 이후부터 음악이 체제 확립을 위해 정치적 목적으로 사용되었다고 보고, 시대를 구분 지었다. 시대구분은 총 7기로 나누었으며, 각 시기별로 어떻게 음악이 정치적 도구로 활용 될 수 있었는지 전개과정을 통해 알아볼 것이다. 나아가 현재 일상에서의 북한음악에 대한 논의를 통해, 북한음악 양상이 최종적으로 어떤 형태를 갖추고, 어떤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을 통한 주체사상 확립과 그 효과에 대해 논해보겠다.


Ⅱ. 본론

1. 북한음악과 주체사상의 관계
- 주체사상은 당의 유일한 “지도사상”이며 정부의 “지도적 지침”이었다. 서울대학교 사회주의 연구팀, 『사회주의 개혁과 북한』(서울, 형상사, 1991), p.121


북한에서의 음악에 대한 개념이나 역할, 기능의 측면에서 남한과는 다르다. 노동요의 경우 노동력 창출에 도움을 준다는 점은 남북한이 동일하지만, 그 주체와 대상에 있어 북한에서는 개인보다는 국가가 우선한다는 점에서 남한과는 다르다.
북한은 각 시기에 따라 유통되는 철학이 있었고, 그 철학들이 모여 주체사상을 완성시켰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주체철학사상은 역사의 어느 한 시점에서 갑자기 생겨난 것이
참고문헌
단행본
○ 고방자, 『북한음악의 이모저모』, (민속원, 2001)
○ 김일성, 『사회주의 문학예술론』,(평양:예술교육출판사, 1981)
○ 민경환 ‘『남북한음악교류의 현황과 미래』(한국전통음악학회, 韓國傳統音樂學 창간호, 2000)
○ 서우석 외, 『1945년 이후 북한의 음악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0)
○ 서울대학교 사회주의 연구팀, 『사회주의 개혁과 북한』(서울:형상사, 1991)
○ 오금덕, 『북한의 주체음악 개황』, (경산:韓國音樂史學會, 1997)
○ 이현주, 『북한음악과 주체철학』, (민속원, 2006)
○ 韓國敎育開發院, 『北韓과 中國의 敎育制度 比較硏究』, (서울, 韓國敎育開發院, 1988)

논문
○ 김동철, “신세대논단:공산주의적 새인간 창조의 북한교육, (‘北韓’ 1989년 12월호, 1989)
○ 노동은, “북한의 음악문화”, (실천문학, 1989년 여름호, 1989)
○ 민경찬, “피바다식 혁명가극의 음악적 특징에 관한 연구”, (韓國音樂史學報 제28집, 2002)
○ 서현지, "북한바로보기", (평화문제연구소:통일한국 2001년 7월호, 2001)
○ 이현주, “주체철학이 음악을 통해 북한 주민에 전달”, (‘北韓’, 2008년 11월호, 2008)
○ 이성천, “북한의 음악교육”, (한국국악교육학회, 국악교육 제 11집, 1993)
○ 이현주, “북한 피바다식 혁명가극에 관한 소고”, (韓國傳統音樂 제 3호, 2002)
○ 장기범, “북한음악과 음악교육에 대한 이해”, (한국음악교육공학 제 2권 제 2호, 2003)
○ 장기범, “북한의 음악 : 철학, 형식, 종류에 대한 고찰” , (韓國音樂敎育學會, 2000)
○ 장용석, “고난의 행군 이후의 북한가요”, (실천문학 2003년 겨울호, 2003)
○ 장용석, “90년대 이후 북한 문예정책의 변화 양상 연구” ,(중앙대 예술대학원, 2009)
○ 전영선 “우리식 전자음악과 생활가요”, (웹진 민족화해, 2007/1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