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

 1  [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1
 2  [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2
 3  [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3
 4  [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4
 5  [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5
 6  [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6
 7  [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7
 8  [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8
 9  [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9
 10  [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10
 11  [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11
 12  [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12
 13  [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13
 14  [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14
 15  [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15
 16  [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16
 17  [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17
 18  [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18
 19  [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19
 20  [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일본어학] 일본어의 방언과 언어생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방언의 분류와 각방언의 특질
1. 방언이란 무엇인가?
2. 방언의 형성
① 언어의 多様化
② 언어의 一様化
3. 공통어와 표준어
4.上方語와 江戸語
1) 上方語
2) 江戸語
5. 방언주권론(方言周圈論)과 방언구획
1) 방언주권론
2) 방언구획
5. 각 방언구획의 특징
★ 東日本방언 : 北海道방언, 東北방언, 関東방언, 八丈島방언, 東海東山방언
1) 東北방언(秋田, 山形, 青森)
2) 関東방언(東京방언-千葉, 埼玉, 群馬)
3) 東海東山방언(山梨, 静岡, 長野, 岐阜)
4) 北海道방언
5) 八丈島(はちじょうじま)방언
★ 西日本방언 - 北陸방언, 近畿방언, 中国방언, 雲伯방언, 四國방언
1) 近畿방언(교토, 오사카 중심)
2) 北陸방언(富山, 能登, 福井)
3) 中国방언(山口, 広島)
4) 雲伯방언(島根)
5) 四國방언
★ 九州방언 - 豊日방언, 肥筑방언, 薩隅방언
1) 豊日방언(宮崎, 大分)
2) 肥筑방언(熊本, 佐賀, 長崎)
3) 薩隅방언
★ 琉球방언 - 奄美大島(あまみおおしま)방언, 沖縄방언, 先島방언
1) 奄美大島(あまみおおしま)방언
2) 沖縄방언
Ⅱ. 일본어 표현법과 담화분석
1. 담화란 무엇인가?
2. 「は」와「が」、コソアド
① 「は」와「が」의 쓰임에 따른 분류의 조건
② 「は」를 사용한 경우의 표현효과
③ 제목(주제)과 주어
2) コソアド
3. 의뢰, 요구, 권유표현
1) 의뢰․요구
2) 권유
4. 맞장구(あいづち)
5. 거절표현
6. 대우(待遇)표현
1) 경어
2) 인사말
7. 생략표현
8. 추측표현
1) 주관적 추측
2) 듣는 이가 이미 알고 있는 사항에 관해 말하는 이측에서 평가
9. 남성어와 여성어표현
Ⅲ.언어생활의 변화
1. 언어생활이란?
2. 언어생활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①ら抜きことば
② 신방언
③‘てある’ 와 ‘(ら)れている’
④‘行なう’ 와 ‘行う’ 등
⑤‘むずかしい’와‘むつかしい’
⑥ [ŋ]과 [ɡ]
Ⅳ. 사회언어학적 접근
1. 사회 언어학이란?
2. 변모하는 일본사회와 말
3. 지역적으로 나타나는 방언
네오방언(중간방언)
4.계층언어
성차와 말
장면 차의 말
1) 일본사회의 집단어
2) 은어와 슬랭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방언의 분류와 각방언의 특질
1. 방언이란 무엇인가?
언어사용자의 출생, 성장지역의 차이와 같은 공간적 차이에 의한 언어변종(変種)으로, 어느 지역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말의 체계를 方言이라고 한다.
방언은 언어학적으로 하나의 지역에서의 언어체계 전체(음운, 문법, 어휘 등)를 의미하지만, 하나의 어휘만을 대상으로 대비할 때는 俚言이라고 해서 방언과 구별한다.

2. 방언의 형성
① 언어의 多様化 : 언어의 역사적 변화 속에서, 언어가 한 방향으로만이 아니라 다양한 방향으로 변화한다는 것으로 고대 라틴어가 영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등으로 변화한 것이 대표적이다.
㉠ 큰 산맥, 하천, 숲, 바다 등 자연 지리적 원인 : 일본 알프스의 연속적인 봉우리가 일본 본토의 방언을 동일본 방언과 서일본 방언으로 2분 시켰다.
㉡ 교통의 단절, 제한 : 沖縄의 섬들의 말은 오랜 시간동안 불편한 교통으로 소통이 불편하고, 정치적으로도 멀리 떨어져 있어, 이 지방의 말에는 강렬한 특색이 있다. 또한 섬 마다 말이 다르고 서로 통하지 않는 것조차 있다.
② 언어의 一様化 : 다양한 언어가 역사적 변화 속에서, 그 차이를 줄여 한 방향으로 통일되어 가는 것이다.
㉠ 대도시에서 여러 가지 지역 방언이 혼합되어 하나의 언어로 통일되어 가거나 동화하는 경우(東京方言)
㉡ 민족 또는 주민의 이주, 집단이민(北海道) : 메이지 유신 이후, 다수의 본토인이 각지에서 北海道로 이주해 들어와 생활했지만, 방언적 특색이 엷어지고 지방전체의 공통어가 발달.

3. 공통어와 표준어
1) 방언에 상대되는 것으로 標準語, 共通語가 있다. 공통어는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던 집단들이 사회발전과 함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보다 편리한 의사소통을 위해 선택해서 사용하는 말이다. 현대일본어의 경우는 東京語를 기반으로 한 변종이 선택되어 있으며, 따라서 현대의 일본인은 방언과 공통어의 이중 언어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표준어는 공통어를 인공적으로 정련해서 일정한 기준으로 통제한 이상적인 국어이다. 그러나 明治30년 上田万年을 중심으로 하여 표준어의 필요성이 강력하게 제기되면서 표준어 연구와 교육이 도를 넘어 방언을 없애려는 분위기가 팽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일방적인 방언교정(矯正)에 대한 반대 의견이 나오고, “표준”이라고 하는 것이 이상적이고 실제로 쓰이는 말 중에 그러한 기준에 도달하는 말은 없다는 판단 하에 일본에서는 “공통어”가 정착하게 된다.
2) 공통어의 3가지 종류
① 기존의 각각의 집단이 사용해 왔던 小集団語와는 전혀 다른 언어를 외부에서 도입하는 경우 : 인도의 영어
② 복수의 소집단어 중에서 유력한 언어를 성장, 격상(格上)하여 공통어로 사용하는 경우 : 上方語
③ 복수의 소집단어를 합쳐서 새로운 混合語를 공통어로 사용하는 경우 : ピジン(복수의 언어사회를 결합하기 위해 자연발생적으로 생긴 혼합어. 19세기 태평양지역의 섬에서 서양인들과 원주민 사이에서 발생.)
* クレオル : ピジン에 조어나 차용어가 첨가되어 모국어화한 것

4.上方語와 江戸語
1) 上方語 : 京都는 전통적 중심도시였던 만큼, 그 세력으로 지역의 방언을 표준변종으로 격상시켰다. 때로는 지방의 저항이 있었으나 전체적으로는 그 지위가 오랜 동안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上方語는 나이와 성별, 귀천에 상관없이 당시의 모든 사람들이 사용했는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 또한 書き言葉로서의 上方語는 고정화한 반면, 話し言葉로서의 上方語는 계속 변화했기 때문에 書き言葉를 통해서는 이를 추측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표준변종으로 격상된 京都방언은 京都방언 중에서도 공적인 성격이 강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2) 江戸語 : 徳川氏가 江戸에 막부를 열면서, 일본어의 중심이 上方語를 기반으로 한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17세기 초기, 막부가 개막할 당시에
참고문헌
권기수, 『알기 쉬운 일본어학의 이해』, 책사랑, 2007.
김공칠, 『日本語學槪論』, 평화출판사, 1978.
北原保雄 지음, 오종렬 번역, 『日本語學槪論』, 불이문화,2002.
李德奉(外6人),『日本語学의 理解』, 파주: 法文社, 2005.
강인선 외9인,『일본어학의 세계』, 서울: 박이정, 2002.
오미선, 『일본어의 이해』, 서울: 보고사, 2000.
정수현, 「日本語 談話의 諸樣相」, 동국대학교, 동국논총(제32집), 1993.
韓国日本學會, 『新日本語學の理解』,시사일본어사, 1998.
古田東朔,『日本語 學槪論』, 放送大學育振興会,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