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 남한어와 북한어

 1  [국어학] 남한어와 북한어-1
 2  [국어학] 남한어와 북한어-2
 3  [국어학] 남한어와 북한어-3
 4  [국어학] 남한어와 북한어-4
 5  [국어학] 남한어와 북한어-5
 6  [국어학] 남한어와 북한어-6
 7  [국어학] 남한어와 북한어-7
 8  [국어학] 남한어와 북한어-8
 9  [국어학] 남한어와 북한어-9
 10  [국어학] 남한어와 북한어-10
 11  [국어학] 남한어와 북한어-11
 12  [국어학] 남한어와 북한어-12
 13  [국어학] 남한어와 북한어-13
 14  [국어학] 남한어와 북한어-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학] 남한어와 북한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법론적 비교
1) 맞춤법
2) 띄어쓰기
2. 어휘론적 비교
1) 남북한 어휘의 이질성
2) 어휘 분야별 차이
3. 음운론적 비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발딱코, 달못찬아이, 가무이야기 등의 북한어휘를 보면, 대충의 의미는 추측이 되지만, 정확히 무엇을 지칭하는지는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면서도 그것들이 각각 들창코, 미숙아, 뮤지컬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게 되면 그 명명에 대해 어느 정도 수긍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이유는 남북의 언어가 동질성과 이질성을 함께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남북 분단에 따라 양측은 독자적 언어 규범을 제정하고 이용해 왔으며, 언어 정책의 차이로 인하여 언어 사용 양상도 변화하게 되었다. 남북 모두 1933년에 제정된 『한글마춤법통일안』을 언어 규정의 근간으로 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남한의 경우 1988년에 와서야 『표준어 규정』을 제정하고 보완하였다. 『표준어 규정』이 제정되기 전에는 1936년의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과 이에 바탕을 둔 『조선말 큰 사전』 등의 각종 사전에 의존하고 있었다. 그러나 언어 변화에 따른 사전과 실제 언어생활의 괴리는 새로운 표준어 사정의 필요성을 제기하게 되었고, 1970년부터 비로소 정부가 주관한 표준어 재사정 사업이 시작되었다. 비로소 1988년 1월에 『표준어 규정』이 제정된 것이다. 반면에 북한의 경우 1950년대부터 지금까지 몇 차례의 규정 개정을 거쳐 독자적 규범 체계를 수립하였다. 1954년 『조선어 철자법』을 시작으로 하여, 1960년 『조선어 문법 1』, 1966년과 1987년에 『조선말규범집』을 잇따라 공표하였다. 박선우, 「남북한 맞춤범의 변천과정과 통일방안」,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서울: 국학자료원, 2002
이와 같이 북한은 여러 차례 규정 개정을 거쳐 독자적 규범 체계를 수립하였다.
이러한 남한과 북한의 상이한 언어 정책 시행에는 각 국의 언어관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남한의 언어관은 이성주의적, 기능주의적 언어관인 반면에 북한의 언어관은 ‘언어 도구관’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언어를 과학 발전의 도구 내지는 사회주의 혁명 건설의 무기로 인식하는 관점이다. 이것은 김일성 주체 언어 사상에 기반한 것으로 우리말과 글의 민족적 자주성을 지키고, 그것을 주체성 있게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주체를 튼튼히 세워 고유한 우리말을 적극적으로 살리고, 근로 인민 대중이 늘 쓰는 알기 쉬운 말을 기초로 해야 한다는 논리이다. 박광현, 「남북한 언어통합 교육 방안 연구: 문화이해지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 서울교육대학원, 2003

이러한 남북의 언어정책과 기반 사상의 상이함은 남북의 언어의 이질성을 심화시켰다. 본조는 남한어와 북한어의 차이점을 살펴보기 위하여, 문법적・어휘적・음운론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문법론적 비교

1) 맞춤법
남한어와 북한어는 맞춤법이 다르기 때문에 표기법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원래 남한어와 북한어의 맞춤법은 모두 조선어학회의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기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동일하였다. 하지만 후에 남한은 1988년 문교부에서 고시한 『한글 맞춤법』으로, 북한에서는 1988년에 펴낸 『조선말 규범집』으로 발전하며 그 이질성이 매우 커졌다. 본고에서는 남한어와 북한어의 맞춤법을 모두 다루지 않고 가장 큰 차이를 보는 점만을 추려서 발표하도록 하겠다.

① 총칙
남한의 총칙은 다음과 같다.

참고문헌
국립국어연구원, 『한국 어문 규정집』, 국립국어연구원, 1988
󰁱김계곤, 『한글맞춤법풀이』, 과학사, 1987
󰁱조선민주주의 인민 공화국국어사정위원회,『조선말 규범집』, 탑출판사, 1989
󰁱박광현, 「남북한 언어통합 교육 방안 연구: 문화이해지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 서울교육대학원, 2003
󰁱박선우, 「남북한 맞춤범의 변천과정과 통일방안」,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서울: 국학자료원, 2002
󰁱박시균, 권병로 「남북한 언어에 대한 비교 연구-발음과 어휘를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2003
󰁱이익섭, 「한국어 표준어의 제 문제」,『한국어문의 제 문제』, 일지사, 1987.
󰁱조재수, 「남북한 표준말의 차이와 공동 표준말 가꾸기」,『교육 한글』제 13호, 한글 학회,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