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시] 비코와 예이츠의 관련성

 1  [영미시] 비코와 예이츠의 관련성-1
 2  [영미시] 비코와 예이츠의 관련성-2
 3  [영미시] 비코와 예이츠의 관련성-3
 4  [영미시] 비코와 예이츠의 관련성-4
 5  [영미시] 비코와 예이츠의 관련성-5
 6  [영미시] 비코와 예이츠의 관련성-6
 7  [영미시] 비코와 예이츠의 관련성-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미시] 비코와 예이츠의 관련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Giambattista Vico (1668∼1744)
● 비코의 사상과 예이츠
(1) 데카르트 사상의 비판
(2) 역사에 대한 이해
(3) 역사순환론
(4) 신의 섭리
(5) 언어와 신화
● 비코가 후대문학계에 끼친 영향
비코와 제임스 조이스의 비교
본문내용
● Giambattista Vico (1668∼1744)
- 주요저서 : 《여러 민족의 공통성질에 대한 신과학원리》(1725)
- 주요작품 : 〈신으로서의 호메로스의 발견〉(1744)

나폴리 출생. 1699년 이후 나폴리대학교에서 수사학(修辭學) 교수로 있었고, 말년에는 나폴리 왕실 수사관(修史官)이 되었다. 그는 데카르트 철학에 반대하여, 사유(思惟)가 아니라 행위에 진리의 기준을 두었다. 이 때문에 자연에 관한 학문의 가능성을 배제하고, 인간 역사에 주로 관심을 가졌다.
인간의 정신활동에서의 감각·표상력(表象力)·이성의 3단계에 호응하여, 역사 속에도 세 시기, 즉 원시적이며 신적인 시기, 시적이며 영웅적인 시기, 그리고 시민적이며 참다운 인간적인 시기가 있으며, 이것들이 계속 번갈아 가며 출현한다고 생각하였으나, 이 번갈아 일어나는 변천을 운명론적으로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 역사관은 그의 저서 《여러 민족의 공통성질에 대한 신과학원리》(1725) 속에 서술되었다. 그는 또 고대 민족의 언어·법률·신화 등에 관련된 많은 사실을 독자적인 입장에서 해석하였으며, 특히 호메로스를 전체 그리스 민족의 상징으로 해석하는 《새로운 과학》(1744) 속의 〈신으로서의 호메로스의 발견〉은 유명하다.


● 비코의 사상과 예이츠

※ 비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생각에 무조건적으로 비코와 예이츠를 비교하기보다는, 비코의 사상을 구체적으로 살피고 그에 대한 각주의 형식으로 글을 진행시키도록 하였습니다. 예이츠에 대한 기본적 이해가 이루어져 있다는 가정 하에 예이츠의 기본적 이론은 다루지 않았습니다. 천천히 읽으시면서 자연히 비코와 예이츠의 연관성을 이해하실 수 있도록 노력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