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

 1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1
 2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2
 3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3
 4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4
 5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5
 6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6
 7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7
 8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8
 9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9
 10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10
 11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11
 12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12
 13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13
 14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14
 15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15
 16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16
 17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17
 18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18
 19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19
 20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청소년을위한 교육정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국내 정책
1. 국내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 지원 정책과 방향
2. 국내 다문화 가정의 아동․청소년의 정체성에 관한 정책


Ⅲ. 외국의 정책
1. 독일의 정책
2. 프랑스의 정책
3. 미국의 정책
4. 호주의 정책


Ⅳ.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II. 국내정책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정 학생 지원을 위한 정책은 그 역사가 짧다. (구)교육부는 지난 2006년 다문화가정 자녀의 증가 및 이들의 교육 소외 현상 방지를 위해 을 수립하였고(이재분(2008).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 실태 연구: 국제결혼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62) 매년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발표하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2008년에 교육과학기술부(교과부)에서 발표한 과 전라북도 교육청에서 발표한 을 바탕으로 현재의 국내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정책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문화가정 자녀는 크게 결혼이민자 가정의 자녀와 외국인 근로자 가정의 자녀로 나눌 수 있지만 교과부 또는 교육청의 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 지원 정책들은 대부분 결혼이민자 가정의 자녀를 중심으로 수립되었음을 미리 밝혀둔다. 왜냐하면 결혼이민자 가정의 자녀가 전체 다문화 가정 자녀 수의 약 93%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1. 국내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 지원 정책과 방향 강건기(2008).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 지원 정책과 방향. 교육과학기술부. 토론문 대부분 그대로 인용함
인터넷 출처: http://blog.naver.com/heemokw?Redirect=Log&logNo=10038217126


교육과학기술부(2008)는 다문화가정 학생의 교육격차 해소 및 통합교육, 일반학생의 다문화 감수성 및 이해 제고 등을 위해 아래와 같이 다양한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1)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교재, 프로그램 개발
학교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 개발, 실태 분석 등 전문적인 연구 등을 수행하기 위해 '중앙다문화교육센터(Center for Multi-Cultural Education) 서울대학교 내의 ‘중앙다문화교육센터’는 중앙 단위의 다문화 교육 기반 구축을 위해 2007년 7월 교육인적자원부에 의해 지정되었다. 중앙다문화교육센터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 중점을 두고 운영되고 있다. 첫째, 다문화교육의 바탕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다. 실제로, 다문화교육 정책 연구, 다문화 가정 자녀 및 교사를 위한 교재 개발, 다문화교육 담당 교원 양성을 위한 기반구축 등에 관한 연구를 주요 과제로 삼아 보다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둘째, 정책을 정하는 정부와 교육 현장 사이의 중계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물론 현재 정부 각 부처 및 시도별 민간단체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각 부처별로 정책적 연계성이 떨어져 그 성과나 효율성에 한계를 보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훌륭한 연구 성과들을 한 곳에 결집해서 서로 공유하고, 정부와 일선 교육 현장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공간 역할을 중앙다문화교육센터에서 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 사회는 이제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공존할 수 있는 새로운 사회로 거듭나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에 직면해 있다. 중앙다문화교육센터가 우리 국민 스스로가 다문화 가정에 대해 갖고 있는 문화적 편견 등과 같은 인식을 바꿀 수 있도록 노력하고, 또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소외 계층으로 보는 시각을 넘어서 향후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적자원으로 발굴, 육성해 나갈 수 있도록 그 바탕을 마련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중앙다문화교육센터 http://cmc.snu.ac.kr/center/center02.php)
를 운영,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재, 교육 프로그램,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2) 시·도 교육청 별 맞춤형 다문화교육 지원
시·도 교육청 별 다문화가정 학생 현황, 지원 프로그램 등을 고려하여 문화체험활동, 한국어(KSL)반 운영, 멘토링 등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다문화교육 사업 실시를 지원하였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학부모·학생이 함께하는 문화체험활동,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집중교육 프로그램, 멘토링 등 현장에서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개발·실행되고 있다.
참고문헌
강건기(2008).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 지원 정책과 방향. 교육과학기술부.
권숙인(1998). 소비사회와 세계체제 확산 속에서의 한국문화론. 비교문화연구, 4, 181-213.
교육과학기술부(2008). 2008년도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 지원 계획.
교육인적자원부 (2007). 2007년도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계획. 교육인적자원부(교육복지정책과).
교육인적자원부(2006). 다문화 가정 교육지원 대책.
김갑성 (2006).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동배 외(2000).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김용채(2005). 소외계층을 위한 학교교육 프로그램. 교육정책포럼.
김현실 (2006). 문화 정체성, 문화 변용과 청소년의 정신건강. 정신간호학회지 제 15권 제 4호. 384쪽-391쪽.
대통령자문 빈부격차 차별시정위원회(2006). 여성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통합 지원대책 확 정, 혼혈인 및 이주자의 사회통합 지원방안. 제 74회 국정과제회의.
문경희(2007). 호주의 이주․난민 청소년 정책. 재단법인 무지개청소년센터.
박미경 (2007).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의 특성 및 교사의 어려움 -결혼이민자 가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선영 외 (1997). 가족기능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외로움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19권 제1호.
박성미 (2007).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확립. 지역사회 2007 겨울호(통권 제 57호). 84쪽-88쪽. 한국지역사회연구소.
박성혁 외(2008). 다문화 교육정책 국제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중앙다문화교육센터.
박인선 (1997). 해외입약인의 자아정체감과 입양실천현장의 과제. 한국아동복지학. 한국아동복지학회. 제5호. 147쪽-168쪽.
설동훈 외(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서울: 보건복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