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사] 프랑스어의 역사와 혁명기의 프랑스 언어정책

 1  [프랑스사] 프랑스어의 역사와 혁명기의 프랑스 언어정책-1
 2  [프랑스사] 프랑스어의 역사와 혁명기의 프랑스 언어정책-2
 3  [프랑스사] 프랑스어의 역사와 혁명기의 프랑스 언어정책-3
 4  [프랑스사] 프랑스어의 역사와 혁명기의 프랑스 언어정책-4
 5  [프랑스사] 프랑스어의 역사와 혁명기의 프랑스 언어정책-5
 6  [프랑스사] 프랑스어의 역사와 혁명기의 프랑스 언어정책-6
 7  [프랑스사] 프랑스어의 역사와 혁명기의 프랑스 언어정책-7
 8  [프랑스사] 프랑스어의 역사와 혁명기의 프랑스 언어정책-8
 9  [프랑스사] 프랑스어의 역사와 혁명기의 프랑스 언어정책-9
 10  [프랑스사] 프랑스어의 역사와 혁명기의 프랑스 언어정책-10
 11  [프랑스사] 프랑스어의 역사와 혁명기의 프랑스 언어정책-11
 12  [프랑스사] 프랑스어의 역사와 혁명기의 프랑스 언어정책-12
 13  [프랑스사] 프랑스어의 역사와 혁명기의 프랑스 언어정책-13
 14  [프랑스사] 프랑스어의 역사와 혁명기의 프랑스 언어정책-14
 15  [프랑스사] 프랑스어의 역사와 혁명기의 프랑스 언어정책-15
 16  [프랑스사] 프랑스어의 역사와 혁명기의 프랑스 언어정책-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프랑스사] 프랑스어의 역사와 혁명기의 프랑스 언어정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개요

1. 들어가며
2. 프랑스어의 기원과 역사
3. 혁명기 프랑스어
3.1. 그레구아르의 설문지
3.2. 언어 및 교육정책
3.2.1. 제헌의회의 탈레랑안
3.2.2. 입법의회의 콩도르세안
3.2.3. 국민공회 시기의 언어정책
3.3. 언어물신화와 언어적 공포정치
3.3.1. 언어물신화
3.3.2. 언어적 공포정치
3.3.2.1. 준비기
3.3.2.2. 바레르 보고서
3.4. 새로운 어휘의 탄생
4. 나가며

[부록]
본문내용
3. 혁명기 프랑스어

프랑스 혁명이 갖는 ‘단절성’의 정도가 얼마나 되느냐에 관해서는 개인마다 이견이 있을 수 있겠으나, 적어도 혁명이 구체제를 타파하고 새로운 사상과 제도에 기반한 신질서를 건설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일 것이다. 이 격동의 시기에 프랑스어는 군주의 통치 도구에서 인민의 손으로 옮겨오는 획기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다. 무엇보다도 언어가 혁명의 이념을 전파하기 위한 매체로 인식되면서 혁명 정부는 교육 정책의 정립을 통해 지방어를 근절하려는 일련의 움직임을 보였다. 자코뱅 통치기에는 이른바 ‘언어적 자코뱅주의’ 송기형(1989)은 언어적 자코뱅주의의 두 가지 주요한 특징을 언어적 공포정치와 프랑스어의 혁명으로 보고 있다. (송기형, 『불란서 대혁명사의 언어정책』., p.187)
가 극에 달해, 지방어에 대한 격렬한 공격이 이루어졌다. 한편 혁명과 함께 탄생한 새로운 정치적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새 단어들이 만들어졌으며, 나폴레옹 통치기에는 광범한 지역에서의 군대 소집과 나폴레옹 법전(Le code civil des Français 또는 code Napoléon) 제정이 프랑스어를 통합시키고 새로운 어휘들을 더해 주었다.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 국어와 국민 간의 상호연관과 언어의 정치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었다.

1) 그레구아르의 설문지 부록을 참조

1790년 8월 13일에 혁명을 열렬히 지지하는 신부이자 제헌의회 의원인 앙리 그레구아르 시골 신부로서, 삼부회에 선출된 다음 혁명기 내내 정력적으로 활동했다. 혁명의 진전 과정에 여러 차례 기여했을 뿐 아니라 특히 언어와 문화유산 보호를 비롯한 문화정책 분야에서 큰 업적을 남겼다.(송기형, 「그레구아르 설문서의 종합적인 분석(1)」, 『한국프랑스학논집 제22집』, 1997, p.11)
는 제헌의회의 지원 하에 세계 최초의 언어 조사를 The Story of French, p.136
실시했다. 총 50인의 의사, 변호사, 교수들에 의해 프랑스 각지로 전달된 설문지는 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었으며, 사람들이 프랑스어를 쓰는지 외국어를 쓰는지, 또는 사투리를 쓰는지, 사투리가 프랑스어와 비슷한지, 얼마나 저속한지 등을 묻고 있었다. 제헌의회가 이 조사를 계획한 본래 목적은, 법령이나 공표들을 지방어로 번역하여 널리 알림으로써 혁명을 원활히 지속시키기 위한 정당성 확보였다. 사투리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계몽주의가 영향력을 확대할 시기부터 존재했으나, 그 당시에는 “대중은 무지한 얼간이들” 『백과전서』의 민중 항목은 다음과 같다고 한다. “계몽주의의 발전이 제한되고 있다. 민중이 너무 멍청하기 때문이다. 대중은 무지한 얼간이들이다,” (송기형, Ibid. p.107에서 재인용)
이라서 교육을 시킬 수도 없고 그럴 필요도 없다는 생각이 다수였다. 그러나 혁명기에 들어와서는 사투리에 대한 시각은 동일했지만 구체제적 사고를 일소하고 프랑스와 프랑스 국민을 재탄생시키기 위해 이것을 ‘순화’시켜야 할 도구적인 필요성이 생겨난 것이다. 또한 시민들 역시 각종 소식들, 특히 국회의 활동에 대한 정보를 갈망하고 있었기 때문에 각각 89년 8월과 11월부터 발행된 「토론과 법령 일지」와 「세계신보」는 민중들 사이에서 열렬한 집단 독서와 공중 낭독의 대상이 되었다.(송기형, 『불란서 대혁명사의 언어정책』, p.57)
혁명 정부로서는 그 기대에 부응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요구 속에서 혁명 정부는 다수 인민의 지지에 절대적으로 기반해야 하는 자신들이 성공하느냐 마느냐에 있어서, 언어가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지를 잘 알고 있던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각주 참고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