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론] 기술적 합리성에서 행동으로 성찰로(쇤의 성찰적 실천가)

 1  [평생교육론] 기술적 합리성에서 행동으로 성찰로(쇤의 성찰적 실천가)-1
 2  [평생교육론] 기술적 합리성에서 행동으로 성찰로(쇤의 성찰적 실천가)-2
 3  [평생교육론] 기술적 합리성에서 행동으로 성찰로(쇤의 성찰적 실천가)-3
 4  [평생교육론] 기술적 합리성에서 행동으로 성찰로(쇤의 성찰적 실천가)-4
 5  [평생교육론] 기술적 합리성에서 행동으로 성찰로(쇤의 성찰적 실천가)-5
 6  [평생교육론] 기술적 합리성에서 행동으로 성찰로(쇤의 성찰적 실천가)-6
 7  [평생교육론] 기술적 합리성에서 행동으로 성찰로(쇤의 성찰적 실천가)-7
 8  [평생교육론] 기술적 합리성에서 행동으로 성찰로(쇤의 성찰적 실천가)-8
 9  [평생교육론] 기술적 합리성에서 행동으로 성찰로(쇤의 성찰적 실천가)-9
 10  [평생교육론] 기술적 합리성에서 행동으로 성찰로(쇤의 성찰적 실천가)-10
 11  [평생교육론] 기술적 합리성에서 행동으로 성찰로(쇤의 성찰적 실천가)-11
 12  [평생교육론] 기술적 합리성에서 행동으로 성찰로(쇤의 성찰적 실천가)-12
 13  [평생교육론] 기술적 합리성에서 행동으로 성찰로(쇤의 성찰적 실천가)-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평생교육론] 기술적 합리성에서 행동으로 성찰로(쇤의 성찰적 실천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About Author; Donald A. Schön
2.Dominant Epistemology of Practice
3.The origins of Technical Rationality
4.Emerging Awareness of the Limits of Technical Rationality
5.Reflection-in-Action
6.Knowing-in-action
7.Reflection-in-Practice
본문내용
The origins of Technical Rationality


전문직의 체계적 지식의 기초는 4가지의 기초적 속성을 가지고 있음
- 특별하고, 경계가 확고하며, 과학적이며, 표준화되어 있다.
- 전문가들은 문제를 명확히 하는데 매우 일반적인 원리들, 표준화된 지식을 적용하게 됨.
- 전문지식의 위계 : 일반원리를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확실한 문제해결을 가장 낮은 수준에 위치시킴.

Edgar Schein; 전문지식에는 3가지 구성요소가 있다.
1) 기초학문 또는 기초과학, 2)응용과학 또는 응용공학, 3)기술과 태도




즉 응용과학은 기초과학의 기초에 의존한다.


연구와 실천의 위계적 분리
- 연구자들은 무엇인가로부터 실천의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기 위한
진단을 위한 기술을 파생하는 기초를 제공.
- 실천가들은 연구결과 활용을 시험하며 문제를 연구자에게 제공.

일상적 직업활동은 구체적이고 실제의 경험에 근거한 규칙과 규율을 활용
- 선택과 조직의 문제는 일반적인 과학적인 원리들에 대한 언급없이
실증적인 토대에서 이루어짐.
* 예) 사회복지사

Shein의 Skill 의미; 문제를 해결하는 이론과 기술의 사용에서 Skill은
- 첫째, 학생이 적용할 수 있는 지식을 배울 때까지 적용 Skill을 배우지 않는다,
- 둘째, Skill이 모호하고 지식의 보조적 유형이기 때문에, 먼저 적절한 과학을 배우고 난 뒤에 온다.
- 의학교육의 최초 2년은 수학, 생물, 병리 등 임상훈련의 기초가 되는 분야의 교육을 받는다.




종교개혁 이후 -서양의 역사는 과학과 기술의 등장으로 점차 과학적 세계관이 강력해지게 산업운동에 의해 형성되어졌고 과학적 세계관은 우월적 지위를 얻게 됨.
-기술적 프로그램은 18세기 계몽운동의 철학적 주요 테마가 되었고 19세기 후반에 전통적인 지혜의 기둥으로 더욱 공고해짐. 이때에 전문직은 인간의 발전을 성취하는데 새로운 과학의 적용을 위한 장치로서 보게 되었다. 산업기술의 개발에 종사한 엔지니어들은 다른 전문직을 위한 기술적 실천의 모델이 되었음
19세기 초 Auguste Comte는 실증주의의 3가지 원칙을 설명하며 이제 더 이상 기하학, 기계, 화학, 정치 및 도덕에 대해 배타적일 수 없다고 말함.
․첫째, 경험적 과학은 지식의 형태는 아니나 긍정적 지식의 세계의 근원이다.
․둘째, 신비주의, 미신 등에 의지하려는 사람의 마음을 정화하려는 의도가 있다.
․셋째, 기술을 만드는 인류사회의 과학적 지식과 기술적 통제를 확산하는 프로그램이다.
20세기 초 논리실증주의를 주창하는 철학자, 과학자, 수학자 그룹)의 이론들에서, 가정을 2가지로 구분하였으며 논리 실증주의로 전환
-분석적이며 논리적이고, 수학적인 가정; 부정은 자기모순을 함축하고 있다는 사실에 바탕을
두고 있음.
-지식의 세계를 표현하는 경험적 가정; 지식의 세계를 표현하는 경험적 가정의 진실은 적절한
경험적 관찰이다.
20세기 초 미국의 대학 미국에서는 대학 시대가 도래하였으며,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과학과 기술이 생겨나고, 실증주의의 지적 헤게모니가 구축
․대학들의 중심은 과학적 기업정신, 기술적 프로그램의 관습 및 실증주의를 뛰어 넘는 것.
․존스홉킨스 대학에서 처음 시도된 학제간 연구 기관들이 뿌리를 내리는 것처럼 대학의 새로운
개념이 나타나 다른 대학으로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