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교육과 현대교육

 1  근대교육과 현대교육-1
 2  근대교육과 현대교육-2
 3  근대교육과 현대교육-3
 4  근대교육과 현대교육-4
 5  근대교육과 현대교육-5
 6  근대교육과 현대교육-6
 7  근대교육과 현대교육-7
 8  근대교육과 현대교육-8
 9  근대교육과 현대교육-9
 10  근대교육과 현대교육-10
 11  근대교육과 현대교육-11
 12  근대교육과 현대교육-12
 13  근대교육과 현대교육-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근대교육과 현대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근대의 종교 교육사업

1) 천주교의 근대교육

2) 개신교의 근대교육

3) 불교의 근대교육

2. 현대의 종교 교육사업

1) 천주교의 현대교육

2) 기독교의 현대교육

3) 불교의 현대교육

3. 현대 종교 교육사업의 개선방향

4. 참고문헌


본문내용
2) 개신교의 근대교육
(1) 교육현황
1884년 미국 북감리회 소속의 일본선교사 맥클래이(Robert S. Maclay)목사가 입국하여 3개월간 체류하면서 일본에서 알게 된 김옥균을 통하여 고종으로부터 한국에서 교육사업과 의료사업을 할 수 있는 허가를 받고 일본으로 돌아갔다. 그리고 같은 해에 미국 북장로회 외국 선교부 소속의 의료선교사인 알렌(C. Allen)이 한국에 입국하여 최초의 주재선교사가 되었으며, 광혜원을 세워 의학교육 및 의료사업을 중심으로 한 선교활동을 하였다. 그 후, 미국 북장로교의 언더우드(A.G. Underwood), 미국 북감리교의 아펜젤러(H.D. Apperzeller), 스크랜튼(W.B. Screaton)부부 등이 입국하여 선교사업, 교육사업 및 의료사업을 전개하기 위한 터전을 마련하게 되었다.
선교사들이 한국에서 선교 사업을 하는데 있어서 전략적으로 접근한 부분이 교육사업과 의료사업이었다. 아직 근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근대적 교육이나 의료에 있어서 전연 불모지였기 때문에 선교사들의 입장에서 볼 때 교육과 의료의 분야가 중요한 선교의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었다. 한국기독교사연구회, 『한국기독교의 역사 1』, 기독교문사, 1989, 194-199쪽.

한국최초의 근대적인 개신교학교는 선교사 아펜젤러에 의해 1885년에 설립된 ‘배재학당’이다. 아펜젤러는 1885년 학교를 세우고 수업을 시작하였고, 이듬해 6월 8일에 고종이 배재학당(培材學堂)이라는 교명과 함께 당시의 명필 정학교로 하여금 액(額)을 쓰게 해서 하사하였다.
참고문헌
-이기운, 「근대기 불교계의 30본산 교육체제 정비와 인재양성」, 『한국선학』 20권,
한국선학회, 2008.
-한국기독교사연구회, 『한국기독교의 역사 1』, 기독교문사, 1989.
-손인수, 『한국근대교육사』, 연세대학교출판부, 1971.
-김점례, 「천주교의 전래가 근대교육에 미친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논문, 2004.
-조효섭, 「개화기 기독교학교가 근대교육에 미친 영향」, 제주대학교 석사논문, 2007.
-임정배, 「기독교학교의 정체성의 위기와 방향」, 총신대학교 석사논문, 2006.
-강우일,「가톨릭계 대학 교육의 사명과 위상」, 『가톨릭계 대학 교육의 특성화 방량』, 가톨릭대학교, 1997.
-김영호, 「종교교육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7.
-이병무,「한국 가톨릭 중등학교의 종교교육 실태와 개선 방향 연구」, 홍익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6.
-조영관 「한국 가톨릭계 중등학교 종교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1998.
-최명옥, 「한국 중등 종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 실태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1998.
-권경임, 「불교사회복지사상과 실천체계에 관한 연구」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논문, 1998
-권영구, 「불교사회복지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석사논문, 2007,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