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교육] 5.4. 문법 요소의 통사적 기능과 그 의미

 1  [문법교육] 5.4. 문법 요소의 통사적 기능과 그 의미-1
 2  [문법교육] 5.4. 문법 요소의 통사적 기능과 그 의미-2
 3  [문법교육] 5.4. 문법 요소의 통사적 기능과 그 의미-3
 4  [문법교육] 5.4. 문법 요소의 통사적 기능과 그 의미-4
 5  [문법교육] 5.4. 문법 요소의 통사적 기능과 그 의미-5
 6  [문법교육] 5.4. 문법 요소의 통사적 기능과 그 의미-6
 7  [문법교육] 5.4. 문법 요소의 통사적 기능과 그 의미-7
 8  [문법교육] 5.4. 문법 요소의 통사적 기능과 그 의미-8
 9  [문법교육] 5.4. 문법 요소의 통사적 기능과 그 의미-9
 10  [문법교육] 5.4. 문법 요소의 통사적 기능과 그 의미-10
 11  [문법교육] 5.4. 문법 요소의 통사적 기능과 그 의미-11
 12  [문법교육] 5.4. 문법 요소의 통사적 기능과 그 의미-12
 13  [문법교육] 5.4. 문법 요소의 통사적 기능과 그 의미-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법교육] 5.4. 문법 요소의 통사적 기능과 그 의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장 종결법

1.1. 평서문

1.2. 의문문

1.2. 의문문

1.4. 청유문

1.5. 감탄문

1.6. 문장 종결법과 단독적 장면

2 높임법

1) 주체높임법

2) 상대높임법

3) 객체높임법

3. 시제와 동작상

3.1. 시제

3.2. 동작상


본문내용

1.3. 명령문
-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자기의 의도대로 행동해 줄 것을 요구하는 문장 유형이다.
- 직접 명령문 : 보통의 직접적 명령 형태.
- 간접 명령문 : 직접 명령문을 간접 인용문으로 바꾸었을 때 취하는 형식 → 직접 명령문의 간접 인용문에서 ‘고 하다’ 가 절단되면 ‘-(으)라’라는 간접 명령문으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명령문 형성의 대표적 형태 : ‘-아라’
- 상대 높임법의 이름인 ‘해라체, 하게체, 하오체, 하십시오체’는 명령형 어미에 근거한다.

ㄱ. 송화야, 눈 떠봐.
ㄴ. 우선 무부터 강판에 조금만 갈아 오너라.
ㄷ. 알맞은 답을 고르라.
ㄹ. 공권력 투입을 중단하라.

- 해라체에서는 시킴이나 지시의 의미가 강하고 하게체 이상에서는 권고나 제의, 나아가 탄원을 의미하기도 한다.
- 간접 명령문이나 간접 인용문에서는 단순한 지시의 의미만을 나타낸다.
- 주어는 반드시 듣는 이(2인칭)로, 서술어는 동사로 한정되며, 시간 표현의 선어말 어미와 함께 나타나지 않는다.
- 간접 인용절로 안길 때에는 종결어미가 모두 ‘-(으)라’로 바뀐다.

ㄱ. 건강한 생활을 위하여 골고루 먹어라. → 건강한 생활을 위하여 골고루 먹으라고 하였다.
ㄴ. 길이 막히니 서두르십시오. → 길이 막히니 서두르라고 하였다.
※ 특수한 명령문 : '허락‘의 의미를 표시하는 명령문
‘경계’를 나타내는 명령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