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문화] 남녀 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성별 이미지

 1  [영상문화] 남녀 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성별 이미지-1
 2  [영상문화] 남녀 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성별 이미지-2
 3  [영상문화] 남녀 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성별 이미지-3
 4  [영상문화] 남녀 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성별 이미지-4
 5  [영상문화] 남녀 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성별 이미지-5
 6  [영상문화] 남녀 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성별 이미지-6
 7  [영상문화] 남녀 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성별 이미지-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상문화] 남녀 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성별 이미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문제제기 & 연구목표

2. 본론 : 시선에 관한 이론 - 미셸 푸코 & 존 버거

3. 본론 : 남녀 화장품 광고의 특징

4. 본론 : 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문제적 이미지

5. 본론 : 성화 된 화장품 광고의 영향

6. 결론 : 화장품 광고 분석 & 광고를 소비하는 소비자의 자세

본문내용
2. 본론 : 시선에 관한 이론 - 미셸 푸코 & 존 버거
이러한 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성별 이미지는 시선이론을 통해 연구되어 질 수 있다. 시선이론 주로 정신분석학적인 측면에서 영화의 관객연구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어 왔다. 이성을 ‘보는’ 것의 본능적인 쾌락과, 이러한 방식을 말하는 이론들은 주로 남녀의 성차에 의해 응시의 방식이 구조화되고 있음을 알려 준다. 이러한 시선에 대한 이론을 검토하면, 화장품 광고를 구성하는 여성과 남성의 시선을 함께 연구할 수 있다. 이러한 시선이론은 존 버거의 ‘시선의 구성에 대한 논의’와 푸코의 ‘패놉티콘의 양식 - 감시와 시선’이 대표적이다.
존 버거는 재현을 통한 여성의 대상화와 억압에 대한 논의로 페미니즘에 강한 영향력을 미쳐 왔다. 그는 ‘우리가 사물을 보는 방식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 혹은 우리가 믿고 있는 것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말로 논의를 시작한다. 존 버거에 따르면 ‘본다’는 행위는 ‘사물에 시선을 준다’는 말이며, ‘시선을 준다’는 것은 ‘선택하는 행위’이다. 이미지는 한 대상을 어떻게 보았는가 혹은 한 대상이 관찰자에 의해 어떻게 보여줬는가를 드러내 주는 것이다. 예술 작품이나 포스터, 사진 등은 이미지를 만든 사람의 특정한 시선이 하나의 기록으로 드러나게 된 것이며, 그러한 시선은 ‘보는 방식’에 의해서 문화적으로 구성되었다는 것이다. 존 버거는 관찰자(the surveyor)와 피관찰자(the surveyed)라는 용어를 도입함으로써 유화가 그것을 바라보는 사람들을 능동적으로 위치 짓는 방식을 설명하고, 여성이 어떻게 재현에서 대상화 되는가를 논의한다. 그에 의하면 남성들은 행동(act)하고 여성들은 나타난다(appear). 남성들은 여성들을 본다. 여성들은 보여지는 자신들을 주시한다. 이것은 남성들과 여성들 간의 대부분의 관계들뿐만 아니라 여성들 자신들과의 관계 또한 결정한다. 여성자신 내의 여성의 조사자 혹은 관찰자는 남성이며, 피조사자 혹은 피관찰자는 여성이다. 이와 같이 여성은 자신을 대상으로 그리고 가장 특별하게 시각의 대상 즉, 광경으로 변화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