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

 1  [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1
 2  [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2
 3  [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3
 4  [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4
 5  [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5
 6  [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6
 7  [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7
 8  [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8
 9  [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9
 10  [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10
 11  [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11
 12  [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12
 13  [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13
 14  [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14
 15  [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15
 16  [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16
 17  [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17
 18  [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18
 19  [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19
 20  [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도서관사]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집현전의 설치과정
2. 집현전의 배경
3. 집현전의 조직
4. 집현전의 기능
5. 집현전에 대한 세종의 애정
6. 집현전을 통해 본 세종의 정치이념
7. 집현전의 학사
8. 집현전의 업적
9. 집현전의 폐지
10. 집현전 영향
11. 홍문관의 배경
12. 홍문관의 언론활동
13. 홍문관의 조직
14.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
15. 홍문관의 역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집현전 설치 과정
집현전은 국가의 모양새를 완비하기 위한 전문 기관의 필요성에 대한 군신 간의 의견 일치 속에서 탄생했다. 1420년(세종 2)에서 1456(세조 2)까지 37년간 운영되었으며 그 사이 집현전에 근무했던 학사와 관원의 숫자는 100명이 넘었다. 이러한 집현전의 설치와 운용에 대한 관심은 신료들 쪽에서 먼저 나타났다.
정종대까지 집현전이라는 명칭과 기구는 존재하고 있었지만 특별한 기능을 하거나 담당 관원은 없었던 듯하다. 그런데 1399년(정종 1) 대사헌 조박이 집현전에 서적을 비치하고 예문관 교서가 업무를 담당하게 하며 4품 이상 관각의 직책을 가진 자들이 번갈아 모여 경적을 강론하고 고문에 대비하게 하자는 상언을 올렸다. 정종은 이 제의를 흔쾌히 수용하고 조준․ 권중화․ 조박․ 권근․ 이첨을 제조관(提調官)으로 삼고 5품 이하 문신을 교리로, 7품 이하 문신으로 설서(說書)․정자(正字 )를 선발하도록 조치했다. 그러다가 1400년(정종 2; 태종 원년)명칭이 보문각(寶文閣)으로 바뀌었다.
태종대에는 1410년(태종 10)․1417년(태종 17) 두 차례에 걸쳐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집현전 설치 건의를 올렸다. 그 건의의 요지는 ‘치도(治道)의 하나로서 인재를 양육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집현전을 설치하여 재능이 있는 젊은 문사들을 모아서 강경과 제술을 하고 문풍을 진작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강력한 왕권을 지향했던 탓인지, 태종은 젊은 무사를 집단으로 모아 양육하는 일에 적극적이지 않았고, 건의는 실행되지 못하였다.
그리고 1419년(세종 1) 젊은 왕 세종이 즉위하자 좌의정 박은은 당장 집현전을 개설하여 문풍 문풍(文風) : 글을 숭상하는 풍습. 문장의 풍류. 글을 짓는 데 지켜야 할 수법이나 태도.
을 진작 진작(振作) : 떨쳐 일으킴. 또는 떨쳐 일어남.
시켜야 한다는 건의를 왕에게 아뢰었고 세종 또한 그에 동의하였다.

“좌의정 박은이 계하기를, ‘문신을 선발하여 집현전에 모아 문풍을 진흥시키는 동시에, 문과는 어렵고 무과는 쉬운 때문으로 양반 자체들이 많이 무과로 가니 지금부터는 사서를 통달한 뒤에라야 무과에 응시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시옵소서’하니, 임금이 아름답게 여기고 받아들였다.” -『세종실록』1년 2월 16일.

좌의정 박은은 세자 시절 세종의 스승이기도 했다. 이 점은 대단히 중요하다. 집현전 설립을 통한 문풍 진작과 경사 강론의 확산에 대해서는 박은도 확고한 신념을 갖고 있었고 세종 또한 같은 생각을 물려받았을 것이다.
신하들의 건의도 있고 해서 잔뜩 기대를 품고 있던 세종은 막상 집현전 설립과 관련한 구체적인 움직임이 없자 같은 해 12월 12일 사간원 상소를 듣던 중 “일찍이 집현전을 설치하려는 의논이 있었는데 어찌하여 다시 아뢰지 않는가. 유사 10여 인을 뽑아 날마다 모여서 강론하게 하라”고 화를 내며 엄명을 내린다.
그리고부터 1년 뒤인 1420년(세종 2) 마침내 궁궐 안에 집현전에 관직을 마련하고 관원을 임명하게 되었다. 당시 실록기사는 집현전의 설치와 관원 구성에 대하여 ‘문관 중 재행(才行)이 있고, 나이가 젊은 사람을 선발하여 오직 역사와 경전 강론만을 하고 군주의 자문에 대비하도록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비로소 ‘젊은 문사들이 모여 독서와 토론에 전념하면서 군주의 자문에 대비하는 기관’, 집현전이 그 안팎의 내용을 갖추게 되었던 것이다.

♤세종의 꿈, 문치(文治) 문치(文治) : 학문과 법령으로 세상을 다스림. 또는 그런 정치
- 배경, 목적
태종이 세종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으로 물러앉으면서 자기 사람은 쓰지 말고 새롭게
참고문헌
☞ 『세종대왕과 집현전』 손보기 지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책으로 보는 TV 조선왕조 실록 -사치하는 자는 장 100대에 처하라』
kbs 제작팀 지음. 신국판
☞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이한우 지음. 해냄출판사
☞ 『조선 왕실의 자녀교육법』신명호 지음. 시공사
☞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박영규 지음. 들녘
☞ 『집현전 학사의 삶과 문학 세계』 김남이 지금. 태학사
☞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 한국역사연구회 17세기 정치사 연구반 지음. 아카넷
☞ 네이버 지식 검색
☞ 엠파스 지식 검색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