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론] 프로이트와 라캉의 욕망을 중심으로 영화분석

 1  [영화론] 프로이트와 라캉의 욕망을 중심으로 영화분석-1
 2  [영화론] 프로이트와 라캉의 욕망을 중심으로 영화분석-2
 3  [영화론] 프로이트와 라캉의 욕망을 중심으로 영화분석-3
 4  [영화론] 프로이트와 라캉의 욕망을 중심으로 영화분석-4
 5  [영화론] 프로이트와 라캉의 욕망을 중심으로 영화분석-5
 6  [영화론] 프로이트와 라캉의 욕망을 중심으로 영화분석-6
 7  [영화론] 프로이트와 라캉의 욕망을 중심으로 영화분석-7
 8  [영화론] 프로이트와 라캉의 욕망을 중심으로 영화분석-8
 9  [영화론] 프로이트와 라캉의 욕망을 중심으로 영화분석-9
 10  [영화론] 프로이트와 라캉의 욕망을 중심으로 영화분석-10
 11  [영화론] 프로이트와 라캉의 욕망을 중심으로 영화분석-11
 12  [영화론] 프로이트와 라캉의 욕망을 중심으로 영화분석-12
 13  [영화론] 프로이트와 라캉의 욕망을 중심으로 영화분석-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화론] 프로이트와 라캉의 욕망을 중심으로 영화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본론
1. 프로이드와 라깡의 욕망
1)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
2) 라깡과 그의 언어론
2. 프로이드와 라깡으로 본 영화
1) 영화 (2003)
- 기억의 몽타주
- 반어적 언술
- 합리성의 이면 : 누구에게나 존재하는 모습
2) 영화 (2003)
- 환상?!
- 상상계/상징계/실재계로 ‘병구’ 파헤치기
- 상상계
- 상징계
- 실재계
- 환상과 욕망, 욕망과 환상
3) 영화 (2004)
- 기억에 관한 영화.
- 소년은 보지 말아야 할 것을 봤다.
- 영화는 꿈이다.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프로이드와 라깡의 욕망
1)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
프로이드는 정신분석학의 창시자로써 무의식의 존재를 주장하였다. 프로이드에게 있어서 이 무의식은 인간 행위 뒤에 숨어 있는 근본적인 욕망구조이며, 인간 행동이나 심리상태를 설명해주는 핵심적인 이론이다. 비록 성적욕망과 무의식을 일치시킨 그의 주장이 모든 것을 아동기의 성적 억압에서 출발하고는 있지만 이후, 많은 정신분석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고, 뒤에 다루게 될 라깡도 그 한명이라 하겠다. 프로이드의 무의식의 욕망구조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로 설명이 되며, 그 내용은 “아이가 자신의 부모에게 사랑과 미움의 욕망을 경험하게 되는데 같은 성의 부모에게는 라이벌 의식으로 인한 죽음을 소망하는 반면 반대성의 부모에게는 성적 욕망을 품는다” 서인숙, 위의 논문, p.123.
로 압축될 수 있다. 즉, 유아에게도 성적인 욕망이 있으며 반대 성의 부모를 욕망하지만 거세의 위협 속에서 근친상간적 욕망을 억제시키면서 금기와 명령으로 원초적 억압을 경험하게 된다. 이 억압은 사회와 법질서의 의식과 함께 이루어 지는 것이며, 이러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극복과정은 사회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자신의 성적 정체성과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인 것이다.
프로이드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거친 인간의 정신을 세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이드(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의 이 세 가지 분류에서 이드는 본능적 충동에 해당하고, 자아는 이드의 충동을 억제하면서 이드와 초자아 사이를 중재하는 역할을 하며, 초자아는 이드에 반해서 양심과 이상으로 나아가려는 기능을 갖는다. 이드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시기 억눌린 성적 욕망을 그 동력으로 하고 있으며, 초자아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극복되어가는 과정에서 형성된 내면화된 사회적 통제 기능이다. 이드와 초자아는 일반적인 경우, 표면적으로 드러나거나 갈등하지 않으며 자아의 조정 속에서 한명의 주체를 유지시켜 나간다. 여기서 프로이드의 핵심은 자아가 말하는 의식의 단계가 아니라, 금기된 욕망과 억압의 결과로 생성된 무의식이 의식과는 전혀 다른 체계를 지닌 독립된 영역이라는 사실이다.
프로이드에 의하면 이렇게 억압된 이드의 쾌락원칙은 현실원칙의 자아-초자아의 통제를 피해, 그 갈등과 분열을 피해 변형되어 나타난다. 비록 무의식이 의식을 거치지 않고는 표현될 수 없지만 이드를 직접적으로 직면하게 되어 자아로 표현되면 주체의 분열이 극심하기 때문에 꿈이나 말실수, 농담 같은 것으로 왜곡되어 나타난다. 이 욕망의 왜곡과정은 이후 언급될 라깡에서도 언어라는 수단을 빌려 유사하게 드러난다. 프로이드에게 그 욕망의 왜곡중에 가장 큰 방법은 ‘꿈’을 통한 것이며, 자아가 잠자는 상태에서 느슨해져 있는 것을 틈타 드러나는 것이다. 즉, 꿈은 최근의 경험과 유아의 성적 소망을 포함해 옛날의 기억 등 모든 것들로부터 그것을 혼합하고 수정하여, 욕망 그 자체를 변형시켜 드러낸다. 꿈의 표현 방식은 여러 가지 욕망이 하나로 압축되어 이상한 형태로 드러나기도 하고, 아니면 직접적 욕망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의미를 바꾸거나 형태를 다르게 해서 드러내기도 한다. 즉,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다만 연상이 가능한 방식으로 생각을 바꾸는 것이다. 프로이드의 무의식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극복과정, 그리고 욕망의 변형 과정은 라깡에서 그 계속적인 연장선을 찾을 수 있다.

2) 라깡과 그의 언어론
라깡은 초기 프로이드론에 충실하려고 하였지만, 프로이드에 한정되지 않고, 심리학, 철학, 논리학, 수학, 언어학 등 다양한 학문과 정신분석학을 접목시켰다. 그 중에서 특히 라깡은 프로이드론을 언어적 차원에서 재해석 하였으며, 프로이드의 생물적 욕망과는 달리 인류학․ 사회학에 강조점을 두고 자연 결정력 보다는 문화적인 결정력에 비중을 둔다. 마단 시럽, 김해수 옮김,『알기 쉬운 자끄 라깡』, (서울:백의, 1994) p.33.
라깡은 프로이드의 영향으로 인간의 심리에 끼치는 무의식의 역할을 크게 봤지만, 라깡은 프로이드와는 달리 언어가 무의식의 본질이라고 보고 있다. 즉, 프로이드는 언어는 의식적 관념에 속한다고 생각한 반면에 라깡은 언어자체를 무의식적 관념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지훈. 「판타지와 대항 - 기억으로서의 브리콜라주: 영화 "지구를 지켜라"의 양가적 상상력」.『문학과 사회』. 2003년 8월 16일 수록.
자크 라깡. 여인석 역. [라캉과 정신분석 혁명] 서울: 민음사. 1995.
로버트 랩슬리 ․ 마이클 웨스틀레이크 지음, 이영재 ․ 이소영 옮김. 『현대 영화이론의 이해』. 서울: 시각과 언어.1999.
마르트 로베르. 이재형 역. [정신분석 혁명: 프로이드의 삶과 저작]. 서울:문예출판사. 2000.
서인숙. "영화와 정신분석학적 기호학에 대한 연구". [영화연구]. 1997.
마단 시럽. 김해수 옮김.『알기 쉬운 자끄 라깡』.서울: 백의. 1994.
조영환. "상징적 질서의 거부-영화 『레아』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읽기-".[STEM Journal] 제2권 2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