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문학사]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거울의 이미지-이상과 윤동주 중심으로

 1  [한국현대문학사]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거울의 이미지-이상과 윤동주 중심으로-1
 2  [한국현대문학사]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거울의 이미지-이상과 윤동주 중심으로-2
 3  [한국현대문학사]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거울의 이미지-이상과 윤동주 중심으로-3
 4  [한국현대문학사]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거울의 이미지-이상과 윤동주 중심으로-4
 5  [한국현대문학사]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거울의 이미지-이상과 윤동주 중심으로-5
 6  [한국현대문학사]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거울의 이미지-이상과 윤동주 중심으로-6
 7  [한국현대문학사]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거울의 이미지-이상과 윤동주 중심으로-7
 8  [한국현대문학사]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거울의 이미지-이상과 윤동주 중심으로-8
 9  [한국현대문학사]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거울의 이미지-이상과 윤동주 중심으로-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현대문학사]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거울의 이미지-이상과 윤동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본격적으로
(1) 거울과 물의 상상력
(2)거울이미지를 사용한 대표적 작품 분석(이상, 윤동주)
(3) 지각의 사물성- ‘거울’과 ‘우물’의 표상
(4) 시간 공간의 의미 비교
(5)거울 모티프 수용 원인
3. 끝맺으며
본문내용
1.들어가며
한국 현대 시문학사에서 거울 이미지는 작품의 중요한 모티브로 수용되어 시인에 따라 새로운 차원에서 탐구 되고 발전해왔다. 본 레포트에서는 이상과 윤동주 시에 나타난 ‘거울’의 이미지를 살펴보고 ,아울러 둘의 공통점과 차이점, 소재 사용의 원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 시문학 속에서 ‘거울’이미지가 얼마나 독특한 양상을 띠고 발전해 왔으며 그 시인들의 정신세계는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2. 본격적으로
(1) 거울과 물의 상상력
1-1 거울의 의미
인간은 자기 존재의 발견에 대한 욕망과 자기애의 욕망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그 연원은 그리스 신화에서 찾을 수 있다. 나르시소스는 사냥으로 지친 피로와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우물을 찾게 된다. 그때 나르시소스는 우물 속에서 우연히 아름다운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호기심을 저버릴 수가 없게 된다. 이것은 ‘존재탐구의 시작’에 해당되는 현상이다. 프로이드, 이용호 역 백조출판사(1963) p.183~221
여기에서 비롯된 질문이 바로 ‘나란 무엇이고 어떠한 존재인가’란 것이다. 자기 존재에 대한 발견과 관심은 현재 뿐만 아니라 지나간 과거를 거슬러 올라가 다가올 미래로까지 이어지게 된다. 이런 질문에 답하기 위해 가장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도구가 바로 거울이며 이런 점에서 거울은 욕구를 해결해 주는 도구이자 매체인 것이다.
1-2 액체화한 거울과 고체화한 우물
거울이란 그대로 반사시켜 주는 것, 있는 그대로를 냉혹히 보여주는 것, 두개의 나를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 동일시를 알게 하는 것이다. 문영석, 서강대 석사 논문(2001,8), p.10~12
그런 거울의 변형체가 우물이며 고체화된 물인 유리의 발명품으로서의 거울 또한 들여다보는 행위의 유인이 되는 우물의 변형체이다. 프랑스 철학자 루이라벨은 라는 책 서문에서 유리의 거울과 샘물의 거울에 관한 언급을 하고 있다. 즉, 거울 앞의 나르시스에게 거울은 유리로 된 장벽이다. 거기에 그가 이마와 주 먹을 부딪치며 그 주위를 한바퀴 돌아본다 해도 아무것도 발견 할 수 없을 것이다. 거울은 볼 수는 있어도 붙잡을 수는 없고 좁힐 수는 있어도 뛰어넘을 수는 없는 가짜 거리에 의해서 오히려 그로부 터 떨어져 있는 세계이다. 그와 반대로 샘물은 열려진 길이라는 것이다. 유리의 거울은 문명화되고 너무나 손쉽다는 그것의 특성으로 인해 너무나 명증한 도구가 된다. 유리의 거울은 방의 강한 빛 속에서 지나치게 안정된 이미지를 준다. 그러나 약간 어슴푸레하고 약간 창백한 반영을 담고 있는 샘물의 거울은 열려진 상상력의 기회가 된다. 자신의 이미지를 비추는 물 앞에서 나르시스는 자신 의 아름다움의 현존과 그 아름다움을 계속해 완성시켜 나아가야 함을 느낀다.(G.바슐라르, 이가림 옮김, , 문예출판사(1980) p.37)
여기서 바슐라르의 「물과 꿈」의 일부분을 인용하기로 한다. 이어지는 장들에서 계속 고찰하게 되는 두 시인의 거울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설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금속성 거울 - 자연의 거울과 비교할 때, 금속성의 유리거울
참고문헌
❁기초자료❁
◦ , 1933.10.
이 상,
◦ http://www.mbmworld.com/main.htm
❁참고문헌❁
◦ 프로이드, 이용호 역 백조출판사(1963)
◦ 문영석, 서 강대 석사논문(2001,8)
◦ G.바슐라르, 이가림 옮김, ,문예출판사(1980)
◦ 김승희, , 서강대 박사논문, 1991
-이상 시에 나타난 거울 이미지 연구, 석사학위논문(서강 대), 1980
◦ 문덕수, “이상의 ”,1982
◦ 김열규, “現代의 言語旳 구제와 李箱文學”,2 , 1973
◦ 이성혁, 한국외대석사논문,1987
◦ 신오현, ,⌜현상과 인식⌟,1982년 가을호
◦ 송지영,-자아의식 변화과정 중심으로, 서울여대 석사논문,2002
◦ 김재홍, 윤동주 전집2, (주)문학사상사
◦ 이종대, , ⌜작가연구3⌟, 새미, 1997
◦ 김은자, 의 동굴 모티브,⌜문학과 비평⌟,1987년 가을호
◦ 마단 사럽,op, cit,
◦ 자끄 라깡, 권택영 편역, ,문예출판사, 1993
◦ 이남호, ,고려대학교 박사논문,198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