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이문구 연구

 1  [현대문학] 이문구 연구-1
 2  [현대문학] 이문구 연구-2
 3  [현대문학] 이문구 연구-3
 4  [현대문학] 이문구 연구-4
 5  [현대문학] 이문구 연구-5
 6  [현대문학] 이문구 연구-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 이문구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가소개 - 이문구
2. 1970년대의 현실
3. 『우리 동네
4. 근대화 속의 농촌
5. 이문구의 문체
6. 문학사적 의의
본문내용
1. 작가소개 - 이문구

산업화로 해체되어가는 농촌의 실상과 전통적인 삶에 대한 애착을 해학과 풍자를 곁들인 개성적 문체로 그려내 농민소설의 전범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소설가이다. 충청남도 보령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자랐으며, 6․25전쟁으로 아버지와 형들을 잃고, 이어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 15세때 가장이 되었다. 1959년 중학교 졸업 후 상경해 막노동과 행상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1961년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에 입학해 김동리(金東里), 서정주(徐廷柱) 등에게 수학했다. 단편소설 《다갈라 불망비》(1963)와 《백결》(1966)이 김동리에 의해 《현대문학》에 추천되어 등단했다. 등단작품의 독특한 문장과 문체에 주목한 김동리는 추천사에서 ‘한국 문단은 가장 이채로운 스타일리스트’를 얻게 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2. 1970년대의 현실

50년대 소설 앞엔 6․25가, 60년대 소설 앞에는 4․19와 5․16이 있었다. 50년대 소설은 6․25로부터 상처받고 뿌리뽑히고 다시 일어나려 한 한국인들의 실상과 정신적 기제를 담은 것이라 할 수 있고, 60년대 소설은 4․19와 5․16이 영향원이 된 한국인의 삶의 모습과 의식의 저층을 파헤친 것잉라 할 수 있다면, 70년대를 살았던 이들, 그 중에서도 의식이 깨어있는 자들을 더욱 고통과 긴장 속으로 몰아갔던 배경사로는 72년 10월에 있었던 유신선포가 상징적으로 알려주는 암흑과 공포의 정치가 바로 70년대 한국인의 삶의 기조, 의식의 방향, 정신사적 추이등을 근복적으로 조절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어둠과 얼음의 이미지로 착색된 당시의 정치적 상황이 가장 근본적인 것임엔 틀림없지만, 70년대의 한국인들 대부분은 갈등과 절망감, 패배의식과 소외감 등으로 얼룩져버린 정치적 무의식을 곱씹는 수준에서 머문 것은 아니었다. 당시의 한국인들은 어둠의 정치 이외의 또 하나의 거대하고도 분명한 현실을 만나고 있었는데, 흔히들 사회과학자들이 닫힌 정치의 부산물이라고 지적하곤 하는 고속 경제성장, 근대화와 산업화의 열기, 대중문화의 급팽창 등의 발전 논리가 예상보다 훨씬 급격하게 열려오게 된 것이다. 뒷걸음치는 정치와 앞으로 뛰어가고 있는 경제, 이는 70년대 우리 사회가 만나야 했고 감당해야 했고, 또 극복의지를 가져야 했던 엄연한 두 겹의 현실이었다.

참고문헌
이문구, 『우리동네』, 민음사, 2000
김윤식․김우종 外,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1994
김만수, 「전래적 농촌에 대한 회고적 시각-이문구론」, 『문학의 존재영역』-김만수 평론집, 세계사, 1994
김우창, 「근대화 속의 농촌-이문구의 농촌소식」, 『세계문학』 1981 겨울
최동호, 『남북한 현대문학사』, 나남출판, 1995
문학사와 비평연구회, 『1970년대 문학연구』, 예하출판, 199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