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정지용시에 나타난 `바다`와 `산`의 상징성

 1  [현대문학] 정지용시에 나타난 `바다`와 `산`의 상징성-1
 2  [현대문학] 정지용시에 나타난 `바다`와 `산`의 상징성-2
 3  [현대문학] 정지용시에 나타난 `바다`와 `산`의 상징성-3
 4  [현대문학] 정지용시에 나타난 `바다`와 `산`의 상징성-4
 5  [현대문학] 정지용시에 나타난 `바다`와 `산`의 상징성-5
 6  [현대문학] 정지용시에 나타난 `바다`와 `산`의 상징성-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 정지용시에 나타난 `바다`와 `산`의 상징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바다의 상징성
2. 산의 상징성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자연에 대해 개념을 가지고 다시 한번 들여다보는 우리가 몇 명이나 있을까. 우리가 가지고 있는 수천 수백 가지의 생각들을 무언가에서 발견하고 투영시키는 것은, 더구나 그것이 익숙한 것들이라면 작업은 더욱 뜸해질 것이다.
우리는 여기서 정지용 시에 나타난 자연물들의 의미와 상징성에 알아보려고 한다. 정지용 하면 모더니즘과 이미지즘이라는 말이 자주 따라 붙지만 이글에서는 시의 형식이나 내용보다는 시속에 나타난 ‘바다’와 ‘산’이 주는 의미에 대해서 몇 편의 시를 통해 고찰해 보기로 한다.


Ⅱ. 본론
1. 바다의 상징성
바다는 정지용의 초기 시에서 많이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정지용이 한때 기독교 적인 작품세계를 펼친 적이 있었지만 초기의 ‘바다’시는 결코 종교적인 것은 아니다. 김은자, 『정지용』새미사, 1996년

정지용의‘바다’는 해석의 범위가 광범위 하고 다각도에서 분석이 가능하다.

부엉이 울든 밤
누나의 이야기

파랑병을 깨치면
금시 파랑바다.

빨강병을 깨치면
금시 빨강바다.

뻐꾸기 울든 날
누나 시집 갔네.

파랑병을 깨드려
하늘 혼자 보고.

빨강병을 깨드려
하늘 혼자 보고.
전문

이 시에서 ‘바다'는 모성원리를 지닌 원형심상에 접근한다. 위 시는 누나가 시집가기전의 전반부와 누나가 시집을 가고 난후 후반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질 수 있다. 전반부에서 누나가 시집을 가기 전. 즉 순결한 처녀성을 지니고 있었을 때에 누나의 이야기는 소년에게 한가득 파란 바다를 안겨주기도 또 어떤 때에는 빨강 바다를 안겨 주기
참고문헌
이승원, 『정지용』, 문학세계사, 1996
김은자, 『정지용』, 새미, 1996
최동호, 맹문재 외, 『다시 읽는 정지용 시』, 월인, 2003
오세영, 『한국현대시 분석적 읽기』,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