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구조] 한국어의 다중주어 구문의 특성화 속성

 1  [문장구조] 한국어의 다중주어 구문의 특성화 속성-1
 2  [문장구조] 한국어의 다중주어 구문의 특성화 속성-2
 3  [문장구조] 한국어의 다중주어 구문의 특성화 속성-3
 4  [문장구조] 한국어의 다중주어 구문의 특성화 속성-4
 5  [문장구조] 한국어의 다중주어 구문의 특성화 속성-5
 6  [문장구조] 한국어의 다중주어 구문의 특성화 속성-6
 7  [문장구조] 한국어의 다중주어 구문의 특성화 속성-7
 8  [문장구조] 한국어의 다중주어 구문의 특성화 속성-8
 9  [문장구조] 한국어의 다중주어 구문의 특성화 속성-9
 10  [문장구조] 한국어의 다중주어 구문의 특성화 속성-10
 11  [문장구조] 한국어의 다중주어 구문의 특성화 속성-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장구조] 한국어의 다중주어 구문의 특성화 속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 다중주어 구문의 특성화 속성

1. 신체의 일부

2. 가족 구성원의 다중주어 구문

3. 분리 가능한 소유 다중주어 구문

4. 숙어 표현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한국어에는 한 문장에 주어가 둘인 것처럼 보이는 문장이 있다. 이렇게 한 문장에 주격의 표지를 둘 이상 가지고 있을 경우에 이런 문장을 ‘다중주격 문장’ 이라고 하나 보통 편의상 ‘다중주어 구문 다중이라고는 하나 보통 한 문장에 두개 이상의 주격이 등장하기는 어려우므로 거의 ‘이중 주어 구문’이라고 생각해도 될 듯하다. ‘다중주어 구문’을 다룬 책의 예들도 보통 거의 다가 두개의 주어가 등장하는 '이중 주어구문‘이다.
’ 이라고 한다. 이 다중주어 구문을 바라보는 시각은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기계주의적 접근이며, 또 하나는 기능주의적 접근이다.
기계주의적 접근이란 하나의 해석원리를 적용하여 기본문 전체를 포괄하려는 입장이며, 이와 달리 ‘다중주어 문’을 몇 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그 각 유형에 합당한 해결방법을 모색하려는 입장이 기능주의적 접근방법이라 하겠다. 국어 이중주어구문설에 대하여, 김은희, 동국대학교 대학원, 1982.

장영준의 논문 「한국어의 다중주어와 특성화」은 이러한 기능주의적 접근에 기초하여, 다중주어 구문이 다중 주어들 중 첫 번째 주어가 나머지 절에 의해 특성화(characterized)될 때 가능하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이 이론에 기초하여 이런 다중주어 구문이 특성화 되는 속성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아보면서, 이 설명에 의한 다중주어 구문의 특성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 다르게 생각할 부분은 없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Ⅱ. 본론 : 다중 주어 구문의 특성화 속성


1. 신체의 일부

두 주격 명사들 사이의 관계가 ‘신체-신체의 일부’일 경우 왼쪽의 주격 명사가 절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특성화 되고 있다고 본다.

(2) a. 철수가 다리가 짧다.
b. 영수가 머리가 크다.

(2a)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주격명사인 ‘철수’에 대한 속성이나 특성이 오른쪽의 ‘다리가 짧다’에 의해 규정된다. 즉 ‘철수’는 ‘다리가 짧은 사람’으로 ‘영수’는 ‘머리가 큰 사람’으로 각각 특성화 된다. (2)의 문장은 다음과 같이 바꾸어 쓸 수 있다.

참고문헌
장영준 (2000). 한국어 통사구조 새로 보기. 박이정
김은희 (1982). 국어 이중구문설에 대하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서정수 (1971). 국어의 이중주어 문제 - 변형 생성 문법적 분석. 국어국문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