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화사 등장의 배경과 수용

 1  신문화사 등장의 배경과 수용-1
 2  신문화사 등장의 배경과 수용-2
 3  신문화사 등장의 배경과 수용-3
 4  신문화사 등장의 배경과 수용-4
 5  신문화사 등장의 배경과 수용-5
 6  신문화사 등장의 배경과 수용-6
 7  신문화사 등장의 배경과 수용-7
 8  신문화사 등장의 배경과 수용-8
 9  신문화사 등장의 배경과 수용-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문화사 등장의 배경과 수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들어가며

Ⅱ. 신문화사 등장의 배경

1. 포스트 구조주의 - 구조사의 한계점에 대한 지적

2. 문화개념의 확장 - 역사 서술 대상의 확대

3. 구조사 내부로부터의 변화 움직임 - 신문화사의 맹아

4. 문화 인류학적 방법의 도입

Ⅲ. 마치며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역사의 본질’은 무엇이며, 이에 따라 ‘역사를 어떻게 관찰할 것인가’의 문제는 역사가 하나의 학문으로서 등장한 시점부터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던 의문이다. 이러한 의문에 대해 많은 역사가들은 자신들의 대답들을 제시해왔고, 이에 따라 현재에 이르기까지 정치사, 사회ㆍ경제사(구조사), 문화사와 같은 다양한 연구 방식들이 제기되어 왔다. 이상의 움직임 속에서 1970년을 전후로 한 시점에 등장한 신문화사적 방법은 하나의 신선한 충격으로 작용했다. 신문화사적 방법은 기존의 ‘과거의 문화를 보는’ (구)문화사적 방법을 수용하고, 보완해 ‘과거의 문화를 통해 역사를 보는’ 새로운 역사 서술 경향으로서 자리 잡게 되었으며,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역사 연구방법의 새로운 장을 제시하게 된 것이다.
이 글은 이처럼 1970년을 전후로 한 시점부터 제시된 새로운 역사 서술 경향인 신문화사적 방법에 대해 그 등장배경을 추적하고, 이를 통해 신문화사적 서술방식이 가지고 있는 특징들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신문화사가 등장하게 된 지성사적 배경을 확인한 후, 1970년을 전후한 시점에 제기되었던 다양한 담론들을 어떻게 수용하게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글을 진행할 것이다.

참고문헌
1. 단행본

ㆍ 안병직 외,『오늘의 역사학』, 한겨례 신문사, 1998
ㆍ 조한욱,『문화로 보면 역사가 달라진다』,책세상, 2000
ㆍ 윤호병 외, 『후기구조주의』, 고려원 비평신서 6
ㆍ 양해림,『구조의 독해』-딜타이와 푸코의 연속과 불연속의 역사성-, 철학연구
ㆍ 케이트 크리언. 김우영 옮김.,『그람시,문화,인류학』,도서출판 길
ㆍ 클리퍼드 기어츠. 문옥표 옮김. 『문화의 해석』,까치글방
ㆍ 로버트 단턴, 『고양이 대학살』,조한옥,문학과 지성사, 2004

2. 논문

ㆍ 김종엽,「문화 개념의 역사적 변동과 지형-문화 연구의 지향점 재검토를 위하여」,『동향과 전망(72호)』,한국사회과학연구소, 2008
ㆍ 전경갑,「푸코의 역사적 구조주의와 지식이론」,『교육사회학연구』,교육사회학회 1997
ㆍ 최해진, 「E.P 톰슨의 사회사 방법론」,『한성사학』,한성사학회, 2003
ㆍ 차용구, 「서양 중세사 학계의 최근 연구 동향」.『한국중세사학』, 한국중세사학회
ㆍ 최호근,「신문화사의 도전과 사회사의 응전」, 『한국사학사학보 4』,한국사학회 2001
하고 싶은 말
신문화사 등장의 배경과 수용에 대해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많은 도움 되실겁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