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

 1  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1
 2  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2
 3  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3
 4  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4
 5  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5
 6  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6
 7  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7
 8  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8
 9  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9
 10  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10
 11  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11
 12  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12
 13  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13
 14  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14
 15  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15
 16  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16
 17  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17
 18  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18
 19  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19
 20  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 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지역유형구분에 관한 이론적 배경
Ⅲ. 지역유형구분에 관한 실증적 분석Ⅳ. 지역유형구분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
Ⅴ. 결 론
본문내용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960년대이후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지역개발정책의 개발논리는 집적경제이론에 바탕을 둔 불균형개발론으로서의 성장거점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져 오고 있다. 그러나 지난 30여년간의 이러한 경제성장위주의 지역개발정책의 결과로서 오늘날 나타나고 있는 두드러진 공간지리상의 현상은 지역간 불균형 정도의 심화를 가져왔다는 것이다. 즉, 성장거점전략에 따른 도시 및 공업중심의 불균형성장 정책의 추진은 도⋅농간의 성장격차를 심화시키고 농촌지역의 침체화를 가속화시켜 오고 있다.

이처럼 1960년대 이후 지금까지 우리나라 개발정책의 기조는 규모의 경제(ecomomy of scale)와 집적이익(agglomeration economy) 등의 경제적 효율성원리에 바탕을 둔 대도시 위주의 지역개발전략이었으며, 이에 따라 농촌지역은 상대적인 투자의 저조현상을 가져와 국토공간구조상 낙후⋅침체지역으로 전락하게 됨으로써 불균형성장이 심화된 국토공간구조를 형성해 오고 있다. 최근에 들어서는 이러한 개발정책상의 반성과 함께 향후의 지역개발정책의 기조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이 모색되고 있는데, 이는 집중된 하향식의 거점개발에서 분산된 상향식의 균형개발로의 전략적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오늘날 농촌개발은 국토의 균형개발을 위한 공간개발의 대안적 접근방법으로서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정책대안 마련에 필요한 농촌지역에 관한 연구는 사실상 미흡한 실정에 있으며 체계적인 접근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즉, 농촌지역개발을 위해서 우선적으로 제기되는 문제는 농촌지역개발계획수립을 위해서 구체적으로 어느지역을 어떠한 방식으로 개발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농촌지역의 공간적 특성에 대한 실증적분석이 요구되지 않을 수 없다. 지역적인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고 이에 따른 지역유형별로 그 지역의 개발과제가 선정되어야 할 것이며 개발방향이 제시되어야 효율적인 농촌지역개발을 이룩할 수 있을 것이다. UN은 국토내의 지리적 단위에 대한 공간적분류 혹은 지역구분(regionalization)은 모든 개발계획의 첫단계라고 말하고 있다
참고문헌
[숨은설명:시작]

[숨은설명:끝]
국토개발연구원,『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추진실적평가』, 1990.
국토개발연구원,『지역간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격차분석』, 1985.
국토개발연구원,『특정지역지정기준설정 및 낙후지역 개발정책연구』, 1991.
김경량⋅김용열, “농촌지역의 산업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농업정책연구」, 한국농업정책학회, 1995.
김기영⋅전명식, 『SAS 군집분석』, 자유아카데미, 1994.
박정근⋅소순열, 「전북지역농업사례-지역농업구조의 특성과 발전전략」, 한국농촌경제연구원1988, 12.
신영철, “면단위 중산간촌지역의 토지이용특성과 유형화에 관한 연구”, 「진양농립전문대학 논문집」, 1990.
안재학, 『실전지역분석기법』, 명보문화사, 1995.
유병서 외, 「농외소득 증대를 위한 종합대책」, 한국개발연구원, 1982.
이정기, 「한국농촌지역의 유형구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이정환, 「한국농촌지역의 유형구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정안성, 「농촌개발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주준원, 「도농통합시의 유형화와 정주생활권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최명규, 「농촌지역시설의 적정규모 및 배치기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최병익, 「농촌지역간의 복지수준측정에 대한 사회생태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최양부⋅이정환, 「산업사회의 농촌발전전략」,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지역 성장전략수립을 위한 거시적 연구』, 1989.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소도읍 특성별 개발모형에 관한 연구』, 1989. 2.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오지낙후지역의 개발모형설정 및 추진방안』, 1991. 2.
한표한, 『도시지표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95.
······················································UN/ESCAP, 『농촌중심권개발의 이론과 지침』,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역, 198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