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

 1  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1
 2  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2
 3  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3
 4  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4
 5  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5
 6  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6
 7  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7
 8  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8
 9  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9
 10  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10
 11  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11
 12  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12
 13  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13
 14  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14
 15  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15
 16  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16
 17  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17
 18  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18
 19  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19
 20  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tun동사의 변칙적인 어간 형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직설법 현재 어간형의 형성

3. 직설법 과거 어간형의 형성

4. 과거분사 어간형의 형성

5. 결 론

본문내용

Lühr뿐만 아니라 Krämer 등도 이러한 접속법적인 swá 문장에서 등장한 dyde형이 직설법 문장에서도 쓰이게 되어 dȏn동사의 과거 단수형으로 일반화된 것으로 보았으며 Bech 등이 주장한 *ƀuðiz형에 대한 유추관계를 전면 부정했다.
본 논문에서는 문제의 핵심인 서게르만어 ðȏn동사의 과거 단수 어근형이 제1 혹은 제2표준단계형인 가에 관해 다음과 같이 조사하고자 한다.
① as. dedos `tatest'
제1음절 de-는 인구어 *dhé-로 소급 가능하며 Lühr가 주장한 바와 같이 반복음절에 강세가 있으므로 게르만어 개별어에서 보존된 것이며 제2음절의 -dos는 제2표준단계형 *dhȏ-과 제2차인칭어미 *-s와의 결합형인 Inj.Präs. 단수 2인칭형의 계승형으로 볼 수 있다 (idg.*dhé-dhȏ-s > urg. *ðéðȏs> as. dedos). 후기에 등장한 dâdi형에 관해서는 과거 복수형 항목에서 관찰하기로 한다.
② ðȏn동사의 기본 어근형 *dhȇ-과 같은 유형인 인구어 *sȇ-`säen'의 과거형 *sai-sȏ는 어근모음이 -ȏ-이다. Kieckers (1960) S. 256에서도 제시한 시칭형은 상이하나 ðȏn의 과거형의 어근모음으로 인구어 *-ȏ-를 설정했다. 증거로써 원시아리안어 *dhadhâ로부터 고대베다어 단수 3인칭형 da-ða `er hat geschaffen'가 계승되었음을 밝혔다.
③ 고대고지독어에서 약변화 과거 단수 2인칭의 활용형태소 -tȏs와 고대알레만어및 남부라인프랑켄어에서 등장한 전 인칭의 -tȏm 등의 활용형태소 계열체는 서게르만어 ðȏn동사의 과거 단수 어간형과 약변화 과거형의 활용형태소가 혼효된 구조이며 ðȏn동사의 과거 단수 어간형이 제2표준단계형임을 증명해준다(ahd. Ind. Prt. Sg. 2. neritȏs `rettetest', alem. südrheinfrk. Ind. Prt. Sg. 2. mahtȏs Pl. 1. mahtȏm 2. mahtȏt 3. mahtȏn `mochten').
결론적으로 서게르만어 ðȏn동사의 직설법 과거 단수형의 어근형은 인구어 제2표준단계형 *dhȏ-으로 소급될 수 있다. 고대인도어의 전거들 예를 들어 da- dhâ-m 또는 a-da-dhã-m에서 볼 수 있듯이 접두모음 *e-는 임의적 성분이기 때문에 ðȏn의 과거 단수형이 소급되는 원초적인 시칭형은 기본어 단계에서 *e-가 접속되면 미완료형, *e-가 없으면 Injunktiv Präs.형이 가능하다
참고문헌
Bammesberger, A. (1986) : Der Aufbau des germanischen Verbalsystems, C. Winter, Heidelberg.
Bech, Gunnar (1963) : Die Entstehung des schwachen Präteritums, Munksgaard, København.
Begemann, Wilhelm (1873) : Das schwache Präteritum der germanischen Sprachen, Weidmann, Berlin.
Birkhan, Helmut (1779) : Das`Zipfsche Gesetz': Das schwache Präteritum und die germ. Lautverschiebung, ÖAW. Wien.
Braune. W/Mitzka, W (1963) : Althochdeutsche Grammatik, M. Niemeyer, Tübingen.
Dieter, F. (1900) : Laut-und Formenlehre des altgermanischen Dialekte, Leipzig.
Drosdowski, Günther (1963) : Herkunftswörterbuch der deutschen Sprache, Bd 7. Dudenverlag.
Feist, Sigmund (1923) : Etymologisches Wörterbuch der Gotischen Sprache; Mit Einfluß des Krimgotichen und sonstiger Gotischer Sprachreste, M. Niemeyer, Halle (Saale).
Gallée, J.H. (1891) : Altsächische Grammatik, M. Niemeyer, Halle.
Grein, C.W.M. (1862) : Ablaut, Reduplication und secundäre Wurzeln der starken Verba im Deutschen nebst einem Excurs über die Verba Dȏn und Iddja, Georg H.Wigand, Cassel & Göttingen.
Herrlitz, Wolfgang (1970) : Historische Phonologie des Deutschen Teil 1. Vokalismus, M. Niemeyer,Tübingen.
Hoffmann, Otto (1903) : Das Präteritum der sog. reduplizierenden Verba im Nordischen und Westgermanischen, Festschrift für August Fick 33-62 Göttingen.
Holthausen, F (1895) : Altsächsisches Elementarbuch, E. Felber, Weimar.
Holthausen, F (1934) : Altenglisches Etymologisches Wörterbuch, Carl Winter.
Holthausen, F (1948) : Wörterbuch des Altwestnordischen, Carl Winter.
Kieckers, E. (1960) : Handbuch der vergleichenden gotischen Grammatik, 2. Afl. M. Hueber, München.
Kienle, R. (1969) : Historische Laut- und Formenlehre des Deutschen, 2. Aufl., M. Niemeyer, Tübingen.
Kluge F. (1975) : Etymologisches Wörterbuch der deutschen Sprache, W. de Gruyter.
Krause, Wolfgang (1953) : Handbuch des Gotischen, C. H. Beck, München
Lorentz, Friedrich (1894) : Über das schwache Präteritum des Germanischen und verwandte Bildungen der Schwestersprachen, Breitkopf & Härtel, Leipzig.
Lühr, Rosemarie (1984) : Reste der athematischen Konjugation in den germanischen Sprachen, J.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Amsterdam/ Philadelphia.
Meid, Wolfgang (1971) : Das germanische Präteritum ; Indogermanische Grund- lagen und Ausbreitung im Germanischen, Innsbruck.
Mettke, Heinz (1978) : Mittelhochdeutsche Grammatik, 4. Aufl. VEB, Leipzig. Paul, Hermann (1981) : Deutsches Wörterbuch, 8. Afl., M. Niemeyer.
Paul, H. / Stolte, H. (1962) : Kurze deutsche Grammatik, M. Niemeyer,
Tübingen.
Paul / Moser / Schröbler (1975) : Mittelhochdeutsche Grammatik, M. Niemeyer, Tübingen.
Paul / Wiehl / Grosse (1989) : Mittelhochdeutsche Grammatik, M. Niemeyer, Tübingen.
Penzl, H. (1969) : Geschichtliche deutsche Lautlehre, M. Hueber, München.
Pokorny, J.(1959) : Indogermanisches Etymologisches Wörterbuch, 2. Francke, Bern / München.
Seebold, Elmar (1966): Vergleichendes und Etymologisches Wörterbuch der germanischen starken Verben, Mouton, Hague / Paris.
Sievers, E. (1951) : Altenglische Grammatik nach der angelsächsischen Grammatik, 2. Aufl. M. Niemeyer Verlag, Halle (Salle).
Stedje, Astrid (1989) : Deutsche Sprache gestern und heute, W. Fink. München
Streitberg, W. (1974) : Urgermanische Grammatik, 4. Aufl., C. Winter. Unversitätsverlag, Heidelberg.
Szulc, A. (1987) : Historische Phonologie des Deutschen, M. Niemeyer.
Wilmanns, W. (1906) : Deutsche Grammatik Bd. Ⅲ., K. J. Trübner, Strassburg.
서 영석 (1989) : 독일어 약변화 과거형의 치음후철의 유래에 관한 고찰, 성균 관대학교
서 영석 (1997) : 형용사 eigen의 유래에 관한 고찰,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15집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