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

 1  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1
 2  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2
 3  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3
 4  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4
 5  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5
 6  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6
 7  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7
 8  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8
 9  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9
 10  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10
 11  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11
 12  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12
 13  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13
 14  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14
 15  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15
 16  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16
 17  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17
 18  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18
 19  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19
 20  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글로벌 유동성과 자산 시장 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그림목차

표목차

1. 서 언

2. 글로벌 유동성의 정의
2.1 글로벌 유동성의 측정방법
2.2 주요 경제국의 통화량 변동 추이

3. 글로벌 유동성 배경
3.1 현재의 글로벌 유동성 진단
3.2 각국의 유동성 증가 원인

4. 유동성과 자산 시장 간의 관계
4.1 통화량 증가 국면에서 자산 시장 움직임 고찰
4.2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현황/국내 자산시장 파급 효과
4.3 엔 캐리 트레이드의 금융 시장 영향력 확대

5. 향후 글로벌 유동성 전망
5.1 유동성 전망
5.2 글로벌 유동성 쇼크의 잠재요인들

6.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2절 주요 경제국의 통화량 변동 추이

결제성예금에 시장, 실적 배당형 금융상품, 금융채 등을 더한 M3(또는 LF) 금융기관 유동성 지표를 이용하여 주요국의 통화량 상태를 조사해보았다. 2000년 100을 기준으로 2006년까지의 변동추이를 살펴보면 중국의 유동성이 가장 급격하게 늘어났고 그 뒤로 한국, 영국, 미국 순이다.



주요국 통화량 M3 변동추이

년도/M3
미국
영국
한국
일본
중국
2000
100
100
100
100
100
2001
108
108
109.3
102.5
115.2
2002
116.8
114.3
123.1
103
134.5
2003
124.9
122.1
134.3
103.6
161.3
2004
130.8
132.8
142.5
106.8
187.8
2005
136.5
146.8
152.4
109.8
217.8
2005
142.9
165.7
164.3
112.5
254.3

(출처 : OECD statistics)

명목GDP대비 통화량 비율로 유동성의 갭을 알 수 있는데, 실물부분의 크기에 비교해 시중에 돈이 얼마나 풍부한지를 알 수 있다. 보통 경제규모가 커지고 금융이 발달 할수록 유동성이 풍부해져 실물부분보다 더 빠르게 늘어나기 때문이다. 국제통화기금과 OECD등에 따르면, 미국·유로권·영국·일본·등 선진국만을 추려 GDP와 유동성(M2기준)의 변화를 살펴봤더니 둘 사이의 비율은 83년을 100으로 잡을 때 지난해 말엔 144에 이르러 시중에 돌아다니는 돈의 양이 실물부문보다 1.5배 가까이 더 빠르게 늘어났다고 말했다. 한겨레 경제 2007.06.06.

게다가 그림 1-2를 참고할 때 아시아는 더욱 유동성정도가 심해 평균 250-300으로 선진국 평균보다 2배 가까이 됨을 알 수 있다. 중국이 가장 높은 초과유동성을 보이고 있고 그 다음으로 우리나라가 높은 유동성을 보이고 있다. 이는 25년간 꾸준히 유동성이 증가한 선진국에 비해 아시아 시장은 2005년 이후 급속히 성장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명목GDP/통화량 M2 비율
(출처: 한겨레-각국중앙은행, IMF, OECD)

























제3장
글로벌 유동성 배경


제1절 현재의 글로벌 유동성 진단

1.1 세계 경제의 단일화와 외환
‘현재 세계경제는 세계경제시장으로 단일화 되어가고 이에 따라 각국의 통화에 대한 긴밀함과 외환 관리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그 예로 1998년 동아시아 환율사태를 예로 들 수 있다. 1997년 동아시아의 태국에서부터 전개 된 직접적 외환위기의 원인은 국제적 헷지머니의 투기적 공격과 이러한 공격에 취약한 경직적인 환율제도로 인하여 발생했고, 경제적으로 밀접한 이웃 인도네시아, 필리핀과 말레이시아에 파급되어 외환위기가 전염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은 취약한 금융구조에 무리한 외환개입으로 인한 외환유동성의 부족으로 외환위기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외환위기 경험으로 거시경제정책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할 경우 급격한 자본의 유출과 함께 금융 및 외환시장의 불안이 초래되어 경제위기로 발전한다는 점과 국제투기자본이 국제금융시장에서 세계경제를 교란할 수 있다는 점, 금융통합과 국제자본이동의 자유화로 인하여 위험이 노출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미루어 볼때 세계 경제의 외환시장의 연계성이 높아짐에 따라 세계 경제의 유동성의 관리가 중요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 각국의 유동성 증가
미국과 일본 유로권 지역의 경우 2006년 1/4분기 기준으로 추세적 수준을 21.5%상회
참고문헌
1. 김갑식 외 1명,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시장 불안과 향후 전망", 해외조사실 구미경제,
한국은행 해외경제정보 제2007-60호

2. 권순우 수석연구원 외 3명, "글로벌 유동성 축소의 파급효과",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 제564호

3. 곽영훈 연구위원 외 2명, "글로벌 유동성 붐과 서브프라임 사태의 함의", 하나금융경영연구소, hana fiancé info. 7월 기자 간담회

4. 한국은행, "알기쉬운 경제지표 해설 – 통화지표", 한국은행, 2006

5. 오승구 수석연구원 외 3명, "2007년 해외 10대 트렌드", ceo info. 제586

6. 송정석, "미국 경상수지 적자 지속 여부와 향후 전망", 한국경제연구원 정책연구 2006-05

7. 구본관 수석연구원, "일본의 금리와 엔 캐리 트레이드", 삼성경제연구소 seri 경제포커스 제141호

8. 최공석, "글로벌 과잉 유동성의 현황과 전망", 주간 금융브리프 금융포커스

9. 문정희 이코노미스트, "엔 캐리 트레이드의 국내 금융 시장 영향력 확대", 경제뉴스 경제연구소 경제조사실, 2007.8.13

10. 하상주 칼럼니스트, "글로벌 유동성 쇼크 현실화 되나", 금융재무 경제 연구그룹 주간경제 944호

11. http://blog.naver.com/pokara61?Redirect=Log&logNo=150021088938, "신용경색-유동성 과잉에서 자란 독버섯", 2007.8.11

12. http://www.imf.org, 국제통화기금

13. 여중만,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부실 현황 및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평가",
주간 금융브리프 금융포커스

14. http://www.oecd.org, 경제협력기구

15. http://www.stlouisfed.org, the federal reserve bank

16. 오승렬 한국외대 교수, "중국의 유동성 과잉과 긴축정책: 금리 인상의 함의와 영향", 중국경제

17. http://blog.naver.com/kbsplus?Redirect=Log&logNo=130014378592, "금리와 앤캐리버블"

18. http://ecos.bok.or.kr,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19. http://www.petroleum.or.kr, 대한석유협회

20. 심경섭 외 12명, “국제금융론”, 법문사, 2006

21. 팀 하포드, “경제학 콘서트”, 웅진씽크빅,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