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말의 문법 레포트

 1  옛말의 문법 레포트-1
 2  옛말의 문법 레포트-2
 3  옛말의 문법 레포트-3
 4  옛말의 문법 레포트-4
 5  옛말의 문법 레포트-5
 6  옛말의 문법 레포트-6
 7  옛말의 문법 레포트-7
 8  옛말의 문법 레포트-8
 9  옛말의 문법 레포트-9
 10  옛말의 문법 레포트-10
 11  옛말의 문법 레포트-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옛말의 문법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과 배경, 제자원리

2. 훈민정음의 판본

3. 훈민정음의 짜임
4. 훈민정음의 제자원리를 밝히시오.

5. 훈민정음의 발음법


본문내용
현대 국어에서는 ‘만들-이-다’라는 사동사는 쓰이지 아니하고, 오직 ‘만들게 하다’로 사동을 표현한다.

또한 의문문이 물음말의 존재 여부에 따라 ‘-아’ 계통의 어미와 ‘-오’ 계통의 어미로 달리 표현되는 것이 중세 국어의 특징이다. ‘-아’는 물음말이 없는 의문문에 사용되었고, ‘-오’는 물음말이 있는 의문문에 사용되었다. 그리고 의문형 어미 중에서 ‘-ㄴ가’, ‘-ㄴ고’, ‘-ㄹ가’, ‘-ㄹ고’ 등은 주어가 1인칭이나 3인칭일 때 사용되었고, ‘-ㄴ다’는 주어가 2인칭일 때 사용되었다. 그러나 현대 국어에서는 의문문에 물음말이 있든 없든, 주어의 인칭이 어떠하든, 의문형 어미를 구분하지 않게 되었다.

중세 국어의 선어말 어미 가운데 ‘-오-’는 독특한 기능을 가졌다. 첫째, 문장의 주어가 1인칭(말하는 이 )임을 표현하는 기능이었다. ⑷의 첫째문장은 주어(‘내’)가 1인칭이기 때문에 ‘-오-’가 나타나 있지만, 둘째 문장은 주어(‘아비’)가 3인칭이기 때문에 ‘-오-’가 나타나 있지 않았다. 둘째, 관형절을 구성할 때에 꾸밈을 받는 명사가 목적어나 부사어인 경우에는 ‘-오-’가 나타나지만, 꾸밈을 받는 명사가 주어인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면 “겨집히 子息을 낳다.”가 주어인 경우 ‘子息 나(←낳-) 겨집’,로 쓰이지 않았으나, 목적어인 경우 ‘겨집히 나혼(←낳-오-) 子息’으로 쓰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오-’에 의한 문법 대립 현상은 근대 국어에서 거의 소멸하였다.
문법 현상은 소멸과 쇠퇴 현상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새로이 생겨나거나 용법이 확대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주격 조사는 중세 국어에서 원래 ‘-이’만 쓰였으나, 16세기말에 이르러 ‘가’가 사용되기 시작하여 17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중세 국어에서 현대 국어로 오면서 시간 표현의 선어말 어미 ‘-었-’이 확립되고, 아울러 ‘-겠-’이 형성된 것도 새로운 문법 현상이 생겨난 예이다. ‘-었-’은 원래 중세 국어의 보조적 연결 어미 ‘-어’와 보조 용언 ‘있다’가 이어진 ‘-어 잇-’이 축약되어 생겨났다. 즉, 현대 국어의 ‘-었-’은, ‘-어잇-〉-엣-〉-엇-〉-었-’과 같은 과정을 거쳐 완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