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 친환경 낚시추 개발

 1  [설계] 친환경 낚시추 개발-1
 2  [설계] 친환경 낚시추 개발-2
 3  [설계] 친환경 낚시추 개발-3
 4  [설계] 친환경 낚시추 개발-4
 5  [설계] 친환경 낚시추 개발-5
 6  [설계] 친환경 낚시추 개발-6
 7  [설계] 친환경 낚시추 개발-7
 8  [설계] 친환경 낚시추 개발-8
 9  [설계] 친환경 낚시추 개발-9
 10  [설계] 친환경 낚시추 개발-10
 11  [설계] 친환경 낚시추 개발-11
 12  [설계] 친환경 낚시추 개발-12
 13  [설계] 친환경 낚시추 개발-13
 14  [설계] 친환경 낚시추 개발-14
 15  [설계] 친환경 낚시추 개발-15
 16  [설계] 친환경 낚시추 개발-16
 17  [설계] 친환경 낚시추 개발-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설계] 친환경 낚시추 개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2. 본 론 2. 1. 친환경 낚시추 개발 배경
2. 1. 1. 세계 각국의 납추 사용 규제 현황
2. 1. 2. 우리나라 납 규제 현황과 미래
2. 2. 친환경 낚시 추의 개발 계획
2. 2. 1. Action plan
2. 2. 2. AON Network diagram
2. 2. 3. Gantt chart
2. 2. 4. Scheduling
2. 3. 친환경 낚시추의 원리
2. 4. 친환경 낚시추의 물성 비교
2. 5. 친환경 낚시추와 기존 납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2. 5. 1 납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2. 6. 친환경 낚시추의 내부 물질의 제조 공정
2. 6. 1. 재료가공공정
2. 7. 친환경 낚시추의 외부 코팅 물질
2. 7. 1 수용성 필름(시트) 특징
2. 8. 외부 코팅막 성형 및 내부 물질과 외부 물질 결합 공정
2. 9. 친환경 낚시 추

3. 분석 및 고찰
3. 1. 친환경 낚시 추의 제조 비용
3. 2. 경제성 분석
3. 2. 1. 경제적 투자 가치
3. 2. 2. 환경적 투자 가치
3. 3. 다른 제품과의 시장성 비교

4. 결론

5.참고문헌

본문내용
2. 본 론 - 친환경 낚시추의 개발 방향
2. 1. 친환경 낚시추 개발 배경

2. 1. 1. 세계 각국의 납추 사용 규제 현황

덴마크는 이미 1996년부터 낚시 도구 및 어업용 어구 포함하여 납이 함유된 모든 물질의 판매 및 생산을 원초적으로 금지시키고 있다.
2000년 11월부터 캘리포니아에서는 Proposition 65가 발효되어 낚시도구로 납이 포함된 도구는 경고표지를 붙이지 않고는 전혀 판매하거나 사용할 수 없게 되었고, 2002~2003 시즌부터 미국 미네소타에서는 납이 들어 있는 낚시도구의 사용과 판매를 금지하였다.
뉴 햄프셔는 1온스보다 가볍거나 1인치 보다 작은 납이 포함된 추의 판매와 사용을 금지하고, 마인과 뉴욕은 2002년 1/2온스보다 작은 납 추의 판매를 금지하였다.
U.S. Fish and Wildlife Service는 이미 두 개의 야생보호구역과 yellowstone 공원에서 납이 포함된 물질의 사용을 금지하며, 현재는 사용의 금지뿐만 아니라 판매의 금지 또한 협의 중에 있다.
영국의 경우 1온스보다 작은 납추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캐나다의 국립공원과 국립 야생 생태지구에서는 금지 조항이 1997년에 발효되어 50g보다 작은 납추나 납 지그의 이용은 불법이다.
2002년 캐나다의 Canadian House of Commons은 전국적으로 이 법을 확대하고, 2004년 캐나다 연방사무소인 Environment Canada는 납으로 된 추나 지그의 수입과 생산, 그리고 판매를 금지하였다.
EU의 경우 자국의 법이 모두 있지만 연합국이 동시에 규제하는 지침은 몇 가지가 있다.
최근에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는 RoHS, WEEE, ELV, EuP등이 있다. 여기에 유해물질 규제하는 지침이 RoHS와 ELV이다.
그리고 규제물질은 RoHS는 Pb, Cd, Cr6+, Hg, PBB, PBDE가 있고 ELV는 Pb, Cd, Hg, Cr6+를 규제한다.
RoHS 지침의 주요내용을 보면, 제품 내 유해물질 포함 금지에 관한 지침으로 2003년 2월 13일 공표하였다. 페전기전자제품의 친환경적 재생과 처리를 목적으로 WEEE 지침 대상에서 의료 기기 및 검시/통제 장비 제외한 유럽에서 판매되는 전기전자제품, 대,소형 전자제품, 정보통신장비, 소비자 가전, 조명기기, 전동공구(대형, 고정 산업장비 제외),완구 및 레저스포츠 장비, 자동판매기등이 주요 범위다. 대상으로는 자기 고유 브랜드로 제품을 제조판매 하는 자, 타 제조자의 제품을 재판매 하는 자(제조자의 브랜드로 판매시 포함하지 않음), 전문적으로 제품을 회원국으로 수출입 하는 자 등이며, 주요내용으로는 납(Pb),수은(Hg),카드뮴(Cd),6가크롬(Cr6+),PBB, PBDE를 전기전자제품에 포함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유럽연합(EU)은 또한 신화학물질관리제도(REACH : Registration, Evaluation and Authorization of Chemicals)를 2007년 상반기에 도입하였다. 국가나 업체는 유럽지역으로 수출하는 화학물질과 완제품에 대해 하나하나 등록을 해야 하고 EU정부로부터 승인을 받아야 하는 까다로운 규제다.
화학물질에 대한 규제지만 해당되지 않는 품목이 없다. 특히 우리나라 수출의 주종목인 가전제품과 자동차가 주요 타깃이다. 국내 수출업체들에 주는 타격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정부와 업계는 판단하고 있다.
유럽이 최근 내년부터 도입할 예정인 REACH는 유럽지역으로 유입되는 화학물질과 완제품에 포함된 화학물질의 등록 및 승인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미 시행 중인 전기전자제품 유해물질제한지침(RoHS, 로스)이나 폐전기전자제품처리지침(WEEE)보다 더 강력하고 포괄적인 환경규제다.
국내 기업의 친환경제품을 처음으로 국제사회 시험대에 올린 RoHS는 지난 7월부터 시행됐다. ‘Restriction of the use of Hazardous Substances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를 뜻하는 말로 납, 카드뮴, 수은, 6가크로뮴, 브롬계 난연재(PBB, PBDE)가 함유된 전자나 전기제품의 유럽시장 판매를 금지하는 환경규제다.
WEEE는 ‘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의 약자로 2007년부터 시행되었다. 이는 생산자에게 폐전자제품의 회수 및 재활용을 의무화한 지침으로 유럽수출용 전자, 자동차 부품에 대한 원부자재 재활용 비율(15%이상)을 고시하고 있다. RoHS와 2007년 8월부터 시행되었던 친환경설계화지침(EuP)과 더불어 ‘유럽의 3대 환경규제’로 불린다. 여기에다 REACH까지 가세한 것이다.

2. 1. 2. 우리나라 납 규제 현황과 미래

참고문헌
5. 1. 낚시용 추 및 미끼 등의 환경유해성 조사분석 연구, 조영봉, 2005. 12.
5. 2. 현대재무관리, 다산출판사, 박정식, 2006. 08. (경제석 분석)
5. 3. 해양환경공학, 동화기술, 한국해양환경공학회, 2008. 05. (해양 오염 및 대처)
5. 4. 중금속과 수질오염, 화학세계, 대한화학회, 1992. 10. (수질에 미치는 납의 영향)
5. 5. www.mke.go.kr (지식경제부 - 납 규제 현황 및 대처)
5. 6. www.mltm.go.kr (국토해양부 - 법령 자료)
5. 7. www.tex-tech.co.kr (수용성 필름 제조회사)
5. 8. www.kipris.or.kr (세라믹 추 제조 방법)
5. 9. http://cafe.naver.com/ksm60111 (낚시 카페 - 설문조사)
5. 10. http://mc.daara.co.kr/ (기계장비 가격 조사)
5. 11. http://www.me.go.kr/ (환경부 - 수질오염 및 정화 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