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축성사업과 관문성

 1  신라의 축성사업과 관문성-1
 2  신라의 축성사업과 관문성-2
 3  신라의 축성사업과 관문성-3
 4  신라의 축성사업과 관문성-4
 5  신라의 축성사업과 관문성-5
 6  신라의 축성사업과 관문성-6
 7  신라의 축성사업과 관문성-7
 8  신라의 축성사업과 관문성-8
 9  신라의 축성사업과 관문성-9
 10  신라의 축성사업과 관문성-10
 11  신라의 축성사업과 관문성-11
 12  신라의 축성사업과 관문성-12
 13  신라의 축성사업과 관문성-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라의 축성사업과 관문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1. 신라의 축성사업
1) 축성사업의 목적
2) 시기별 성곽과 특징과 변화
3) 신라축성사업의 특징과 영향
가) 신궁(神宮)의 영향
나) 종교의 영향
3. 신라 관문성
1) 신라 관문성 축성 목적(배경)
2) 관문성의 특징과 입지조건
가) 관문성의 특징
나) 관문성의 입지조건
3) 관문성의 축성 방식
4.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축성 목적에 의한 분류로는 행정성, 군사용으로 나누어진다.
행정성에 도성(都城)이나 읍성(邑城)이 속하며, 군사용에 대피성(待避城)과 상주성(常駐城), 장성(長城)이 포함된다.


또한 거주하는 사람이 누구인가에 따라 도성, 왕성(王城), 재성(在城), 행재성(行在城), 읍성(邑城) 등으로 구분된다. 도성은 내성인 궁성, 외성인 나성 등으로 구성되며 왕궁이나 종묘사직을 지키기 위한 성이다. 왕성과 재성은 궁성과 같은 의미이며, 행재성은 이궁(離宮)이나 마찬가지로 국왕이 행차할 때 일시적으로 머물기 위한 성이다. 읍성은 지방 군·현의 주민 보호와 군사적·행정적·경제적인 목적이 함께 하는 성이다. 고려 말 왜구에 대비하여 해안가에 읍성을 축조한 것이 시초이다. 읍성은 평지에 쌓는 일은 드물고(해미 읍성, 낙안 읍성은 평지에 있음) 배후의 산등성이를 포용하여 산기슭을 감싸면서 축조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것은 산성과 평지성의 절충식으로 평산성(平山城) 이라 부른다.


장성(長城)은 산줄기와 평지를 서로 연결하여 길게 성벽을 축조한 형태이다. 이는 지리적 요충지 즉, 대체적으로 국경지역 등에 하나의 선으로 길게 성벽을 축조하여 외적을 방어하기 위한 시설물이다. 그 밖에 국경과 요새지에 쌓은 행성이 있다.


1) 시기별 성곽과 특징과 변화
신라의 축성은 총 4시기로 나눌 수 있다.
1시기는 건국기의 축성(기원 전후)으로 신라가 수도인 경주에 도성을 쌓고 주변지역에 성곽을 축조하여 초기적 방어태세를 하고 있다.
2시기는 성립﹘발전기의 축성(AD 1∼5세기중반)으로 고대 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제세력을 흡수, 통합하는 과정상의 축성이며, 3세기는 북진기(통일전쟁기)의 축성(5세기 후반∼7세기 중반)으로 주변 제세력을 복속하고 북방지역으로 진출 후 경기,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남으로 백제와 북으로 고구려의 병합 후 당과의 갈등으로 전쟁이 발발하여 당군을 축출하는 시기이며, 4기는 통일기의 축성(7세기 후반∼10세기)으로 통일이 후 지방제도의 재편성 과정에서 주와 소경에 성곽을 축성하고, 북으로 이동한 국경선 주변의 발해와 말갈에 대비해 장성을 축조하며, 북경과 서해안 일대의 요충지에 군진을 설치하였다. 한편 이시기에 가장 주목되는 것은 성곽 축조시의 역역동원체계를 알 수 있는 것인데, 성곽 축조 시에 축성집단과 축성과 관련된 인물, 직명, 출신지명, 인명, 관등과 등급, 축성거리 등이 비교적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신라의 특징적인 요소로 볼 수 있겠다.


유적의 분포는 한강이남 지역과 충청지역은 산맥보다 하천과 평야가 발달해 성곽은 거점 성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분포하고 있다. 한강이북지역의 성곽은 동서로 발달된 하천과 남북으로 발달된 산맥으로 인한 지형상의 이유로 주요 교통로를 통제할 수 있는 요지에 중심 성으로 성곽이 분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지역은 수도에서 멀리 떨어진 변방지역이고 백제와 고구려와 당을 동시에 상대해야 했던 역사적 상황에 기인 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강종훈, 2004 ,「7세기 삼국통일전쟁과 신라의 군사활동」,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재연구소
경주시사편찬위원회, 2006, 『경주시사 III』, 세종인쇄출판사
김기흥, 2000, 『천년의 왕국 신라』, 창작과 비평사
박영조, 1999, 『신라의 기와 혼을 찾아서』, 한국문원
반영환, 1997, 『한국의 성곽』, 대원사
서영일, 1999, 『신라 육상 교통로 연구』, 학연문화사
이종욱, 2002, 『신라의 역사1』, 김영사
경상일보 http://www.ksilbo.co.kr/
문화재청 http://www.cha.go.kr/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이 분야 신규자료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