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제국대학연구

 1  경성제국대학연구-1
 2  경성제국대학연구-2
 3  경성제국대학연구-3
 4  경성제국대학연구-4
 5  경성제국대학연구-5
 6  경성제국대학연구-6
 7  경성제국대학연구-7
 8  경성제국대학연구-8
 9  경성제국대학연구-9
 10  경성제국대학연구-10
 11  경성제국대학연구-11
 12  경성제국대학연구-12
 13  경성제국대학연구-13
 14  경성제국대학연구-14
 15  경성제국대학연구-15
 16  경성제국대학연구-16
 17  경성제국대학연구-17
 18  경성제국대학연구-18
 19  경성제국대학연구-19
 20  경성제국대학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성제국대학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경성제국대학 설립
1. 설립배경
1) 제 1차 조선교육령과 고등교육
2) 1920년대의 사회, 정치적 배경과 제 2차 조선교육령의 실시
2. 설립경위와 제국대학 모형의 도입
1) 설립경위
(1) 제 2차 조선교육령 제정과 대학예과 설립
(2) 경성제국대학 관제안과 대학설립
(3) 경성제국대학 설립과정과 조선인들의 대학요구
2) ‘제국대학’ 모형의 도입배경
(1) 제국대학 모형의 도입
(2) 일본 제국대학의 성립 및 특성
3. 교육진흥운동을 통해 본 조선인들의 대학교육인식과 요구
Ⅲ. 경성제국대학 예과
1. 예과의 설치배경
2. 경성제국대학 예과의 특성
1)일본 고등학교의 특성
2)경성제국대학 예과의 특성
(1) 예과 2년제
(2) 예과의 교육과정
(3) 기숙사 제도
3. 입학시험제도
1) 시험과목의 언어 및 내용
2) 사상 입학고사
3) 입학시험의 도구적 특성 및 조선인 교육 기회
Ⅳ. 경성제국대학 학부
1. 학부의 구성
1) 학부의 구성과 학과
2) 강좌제
2. 경성제국대학의 학문연구 활동
1) 연구의 특색
2) 조선 현실분석 - 지식․이론 생산과 보급 구조
(1) 법문학부와 의학부의 연구 활동 및 성과
(2) 조선사편수회 참여
(3) 만몽문화연구회와 대륙문화연구회
(4) 연구소 활동
V. 경성제국대학 조선인 학생 공동체
1. 조선인 학생문화
2. 졸업생의 사회진출
1) 지식계급의 취직난 - 고등유민(高等遊民)의 범람
2) 경성제국대학 졸업생들의 전반적인 취업현황
3) 고등문관시험을 통한 고등관 진출상황
3. 졸업생의 해방 후 사회진출
Ⅵ. 결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2. 설립경위와 제국대학 모형의 도입
1) 설립경위
(1) 제 2차 조선교육령 제정과 대학예과 설립
제 2차 조선교육령에서 제시된 학제 개정 의도는 1919년에 이미 조선학제개정안요령이라는 문건에서 나타나고 있다. 여기서의 학제개정 기본방침에서 이미 학제개정은 조선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선재류 일본인 자녀들의 고등교육 기회 확보도 중요한 한 요인이 되고 있다.
학제 개정은 조선의 학제와 일본의 학제를 동일하게 한 내지준거주의의 기본 방침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보통학교와 고등보통학교의 수업연한을 각각 6년과 5년으로 연장하고 대학의 진학체제를 일본 본국과 동일하게 하였다.
이 후 추밀원의 심의를 거쳐 1922년 2월 6일에 제 2차 조선교육령을 공포하고 조선에 대학설립의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당시 계획안에 따르면 1923년에 대학예과, 1925년 개교하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당시에서의 대학은 ‘대학령’에 의한다는 것뿐이었고 어떠한 형태와 명칭을 갖는 대학이 될 것인가에 대한 최종 결정은 내려지지 않은 상태였기에 당시 ‘조선대학 예과’ 혹은 ‘조선예과대학’이라고 불리워지고 있었다.

(2) 경성제국대학 관제안과 대학설립
1923년 11월 27일 총독부는 ‘조선제국대학창설위원회’를 설치하고 조선의 대학을 제국대학령에 의할 것인가, 별도의 특수한 대학령을 공포할 것인가를 논의하였는데 결국 제국대학령에 의한 종합대학으로 결정하였다. 이 후 총독부와 내각 법제국 사이에 조선제국대학이라는 명칭문제로 마찰이 일어났지만 조선제국대학이라는 이름이 ‘조선제국의 대학’으로 오해될 수 있다는 것이 문제였다. 이 문제로 원래 개교하기로 한 1925년이 아닌 1926년 경성제국대학이 개교하게 되었다.
결국 경성제국대학으로 수정하는 것으로 관제안을 결정했다.

(3) 경성제국대학 설립과정과 조선인들의 대학요구
총독부가 학제 개정을 논의할 당시 조선인 민가 유지, 조선교육가들은 학제개정안에 대해 적극적 관심을 가지고 이에 동참하였다. 이들은 새로운 학제 개혁에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더 나아가 조선 각지 유지들은 ‘敎育改善會’를 조직하여 총독부의 학제 개정에 참여하려고 노력했다. 이들의 건의한 고등교육 개선안의 기본 골자는 일본의 대학제도와 같은 형태로 하라는 것이었으며 더불어 학습 용어를 조선어로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학습 용어의 문제에 관해서는 총독부에서 전혀 논의되지 않는 것이었다. 이는 일본어 사용이 조선인 동화의 제 1전략이었기 때문이었다.
결국 총독부의 개정안은 거의 수정없이 통과되었으며 ‘전문대학, 대학예과 및 대학은 내지의 제도에 준거’하여 대학 및 대학예과 설립이 결정되었다. 그러나 단과대학 및 종합대학 제도의 병용 등 다양한 대학 형태의 설립요구는 식민지기 내내 실현되지 못했다.

2) ‘제국대학’ 모형의 도입배경
(1) 제국대학 모형의 도입
경성제국대학은 본국의 대학 법령에 의해 설립되고 제도와 시설, 학과목이나 학문적 수준 등이 본국의 제국대학과 같은 것이었다. 총독부가 식민지 조선에 제국대학을 설립한 이유는 ‘일시동인’ 이념에 따른 내지준거주의였다.
그러나 일제는 일시동인이라는 이념과 더불어 식민지 동화주의에 의거해 제국대학을 설립하였다. 비록 식민지 조선에 제국대학을 설립하긴 했지만 일본과 조선의 대학 숫자를 비교해 보면 일본의 경우 1940년 현재까지 제국대학 7개, 관립대학 15개, 공립대학 2개, 사립대학 25개, 총 49개의 대학이 존재하였지만 조선은 식민지 시기 내내 경성제국대학이 유일한 대학이었다. 게다가 경성제국대학의 조선인 입학정원인 3분의 1 수준을 해방 직전까지 유지하였다. 이를 통해 경성제국대학설립이 결코 식민지의 고등교육억제 완화 또는 철회를 뜻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경성제국대학의 성격을 식민지에 대학이라는 고등교육기관을 설립하였다는 의미로써 파악하기 보다는 제국대학의 특성과 역할을 통해 이해하는 것이 적절하다 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1. 논문

김활란, 1934,「사회기간의 출현을 요구-취직문제에 대한 학교당국자의 의견」,『中央』
제1권 제3호,
장신, 2007,「일제하 조선인 고등관료의 형성과 정체성-고등문관시험 행정과 합격자를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제 63호, 한국역사연구회
한용진, 1996,「일제식민 고등교육정책과 경성제국대학의 위상」,『교육문제연구』제 8집,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 단행본
정선이, 2002, 『경성제국대학 연구』, 문음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