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세문학] 수호전 비평

 1  [근세문학] 수호전 비평-1
 2  [근세문학] 수호전 비평-2
 3  [근세문학] 수호전 비평-3
 4  [근세문학] 수호전 비평-4
 5  [근세문학] 수호전 비평-5
 6  [근세문학] 수호전 비평-6
 7  [근세문학] 수호전 비평-7
 8  [근세문학] 수호전 비평-8
 9  [근세문학] 수호전 비평-9
 10  [근세문학] 수호전 비평-10
 11  [근세문학] 수호전 비평-11
 12  [근세문학] 수호전 비평-12
 13  [근세문학] 수호전 비평-13
 14  [근세문학] 수호전 비평-14
 15  [근세문학] 수호전 비평-15
 16  [근세문학] 수호전 비평-16
 17  [근세문학] 수호전 비평-17
 18  [근세문학] 수호전 비평-18
 19  [근세문학] 수호전 비평-19
 20  [근세문학] 수호전 비평-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근세문학] 수호전 비평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시대적특징)
1.명대의특징
2장회소설

본론(수호전 개별적 내용)
1. 형성과정과 작가
2. 판본
3. 인물성격 묘사방법
4. 주요인물
5. 구성(줄거리)
6. 주제
7. 예술적 가치
8. 영향

비평



본문내용
3. 사회적 특징

(1) 명대 초기
명나라가 통일된 후, 전국에서 안정된 사회환경에 있어서 명나라의 사회경제가 회복하고 발전했다. 명나라는 경제발전을 위하여 황무지를 개간하여 둔전(屯田)을 실시하였다. 부역황책(賦役黃冊), 어린도책(魚鱗圖冊)을 만들어 시행하고 수리사업을 하고, 수공업을 발전시켰다. 이러한 정책으로 명대는 다른 시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사회적 발전이 이루어졌다.

(2) 명대 중기
명나라 중엽에는 사회모순이 격화되기 시작했다. 서몽고(西蒙古)의 오이라트가 침입했고, 토목의 변(變)에 의해 명영종(明英宗)은 포로로 잡혀 조정의 위기가 시작되었다. 명나라 사회내부는 토지겸병(土地兼兵), 부역불균(負役不均), 농민봉기가 일어났다. 이러한 정황 하에 내각수보(內閣首輔) 장거정(張居正)은 명왕조의 내정개혁을 단행하였다. 관리의 기능을 바로잡고 변방(邊防) 강화, 재정 정돈, 수리사업 전개, 부역(負役)제도 개혁 등 일조편법(一條鞭法)을 추진하였다. 개혁은 성공하였지만,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려웠다.

(3) 명대 말기
명나라 말엽에 와서 자본주의 생산관계가 이미 강남에서 견직업(絹織業)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새로운 생산관계가 봉건사회에 도전하는 것이다. 하지만 중국 봉건사회의 특유한 특징은 아편전쟁 후에 외국 자본주의에 영향을 주었고, 중국에서는 자본주의의 독립적인 발전단계가 없었다.

4. 사상적 특징

(1) 자유주의적 경향
중국문학은 역대로 엄격한 유가사상의 지배를 받아 인간의 감정을 소박하고 정직하게 표현한 시가(詩歌), 사곡(詞曲), 소설(小說)등은 경시되어 왔다. 그러던 것이 명대에 이르러 이지(李贄), 원굉도(袁宏道) 등 문학 혁명가들의 영향을 받아 그와 같은 모순된 구(舊) 시대적 관념이 쇄신됨으로써 소설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사서오경(四書五經)’을 능가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로 인해 유가(儒家)의 예교(禮敎)와 윤리가 부정되고, 전도된 수많은 인간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작가는 기존의 모든 정통적인 것들을 비판하고, 이전까지 금지해 왔던 인간의 내재적 욕망, 물질적 이익을 과감하게 긍정하고 추구했다. 이러한 자유주의적 경향은 명대 출현했던 양명학(陽明學) 중국 명나라 중기에 태어난 양명(陽明) 왕수인(王守仁)이 이룩한 신유가철학(新儒家哲學)으로 맹자의 선천적인 도덕심과 마음의 발양을 통해 타인을, 나아가 인간세계와 우주를 성실하고 바르게 하자는 이상을 형이상화한 것이다.
좌파의 자유주의적이고, 유물론 물질을 제1차적․근본적인 실재로 생각하고, 마음이나 정신을 부차적․파생적인 것으로 보는 철학설이다.
적인 사상경향과도 관련이 있다.

(2) 사상의 통제
명나라에서도 사상적 통제를 엄격히 하여 ‘문자옥(文字獄)’을 일으켜 문인들에 대한 감시와 통제를 풀지 않았으며, 과거시험에 있어서는 형식적인 팔고(八股)를 실행하여 벼슬에 채용하고, 지식인들로 하여금 ‘사서오경’에 몰두하게 하여 사람들의 사상과 감정을 얽매어 놓았다. 명대의 대표적인 금서(禁書)로는 《수호전(水滸傳)》과 《금병매(金甁梅)》를 들 수 있다. 《수호전》은 ‘관이 압박하면 민이 반항한다’는 민중의 의지와 희망이 반영되고 도둑질을 가르치는 저술이라 하여 오랫동안 금서로 묶여왔으며, 《금병매》는 노골적으로 성을 묘사한 외설문학의 대표서로 꼽히면서 금서가 되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