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간호여대생과 비간호여대생의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비교

 1  [간호학] 간호여대생과 비간호여대생의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비교-1
 2  [간호학] 간호여대생과 비간호여대생의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비교-2
 3  [간호학] 간호여대생과 비간호여대생의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비교-3
 4  [간호학] 간호여대생과 비간호여대생의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비교-4
 5  [간호학] 간호여대생과 비간호여대생의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비교-5
 6  [간호학] 간호여대생과 비간호여대생의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비교-6
 7  [간호학] 간호여대생과 비간호여대생의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비교-7
 8  [간호학] 간호여대생과 비간호여대생의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비교-8
 9  [간호학] 간호여대생과 비간호여대생의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비교-9
 10  [간호학] 간호여대생과 비간호여대생의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비교-10
 11  [간호학] 간호여대생과 비간호여대생의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비교-11
 12  [간호학] 간호여대생과 비간호여대생의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비교-12
 13  [간호학] 간호여대생과 비간호여대생의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비교-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간호학] 간호여대생과 비간호여대생의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비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용어정리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자

3. 자료수집방법

4. 연구도구

5. 자료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건강상태 및 행위, 성격 특성 비교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비교

3. 건강상태 및 건강행위에 따른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비교

4. 성격 특성에 따른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비교

5. 전공에 따른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비교

6.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의 상관관계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계열 여대생과 비간호계열 여대생의 일반적 특성,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과 같은 구체적 목적을 갖는다.
1) 간호계열 여대생과 비간호계열 여대생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한다.
2) 간호계열 여대생과 비간호계열 여대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의 정도를 비교한다.
3) 간호계열 여대생과 비간호계열 여대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의 차이를 알아본다.
4)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의 관계를 확인한다.

3. 용어정리

1) 자존감(self-esteem)
자존감이란 자아개념의 평가적 요소로서 자신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가치 있는 인간으로 인지하는 것을 말한다(Taft, 1985).
본 연구에서는 Rosenberg(1965-전병재, 1974에서 인용)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측정도구를 전병재(1974)가 번안한 도구로 측정한 값이다.

2) 자기효능감 (self-efficacy)
자기효능감이란 어떤 과제를 특정 수준까지 해낼 수 있다는 개인의 판단이며 결과를 얻고자하는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 해낼 수 있다는 개인의 신념으로 상황적 ․ 구체적 자신감의 강도를 의미한다(bandura, 1986).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는 Sherer와 Maddux(1982)가 Bandura의 자기효능감 이론의 개념에 입각하여 제작한 자기효능감 척도(Self-Efficacy Scale; SES)를 홍혜영(1995)이 번역한 도구로 측정한 값이다.

3) 건강증진행위
더 높은 수준의 건강상태에 도달하기 위하여 안녕상태를 이루고 자아실현 및 자기성취를 증진시키기 위한 행위로 (Pender, 1996), 본 연구에서는 Walker, Sechrist와 ender(2002)가 개발한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Ⅱ를 박은하(2003)가 번안하고 수정한 도구로 측정한 값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계열 여대생과 비간호계열 여대생의 자존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자

연구 대상자는 제천시 여대생 394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 들은 후 참여에 동의한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간호계열 여대생 194명, 비간호계열 여대생은 인문계 163명, 자연계 5명, 보건계 32명으로 총 200명이었다.

3. 자료수집방법

자료수집은 2009년 9월 1일부터 3일까지 하였으며 수집 방법은 제천시 여대생 400명에게 연구의 목적과 설문지 기입방식을 설명한 후 배포하고, 작성 후 바로 수거하였다. 총 설문 부수 중 불성실한 설문지 6부를 제외한 394부가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4. 연구도구

1) 자아존중감 측정 도구
Rosenberg(1965-전병재, 1974에서 인용)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측정도구를 전병재(1974)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10개 문항의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거의 그렇지 않다 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 2점, 대체로 그렇다 3점, 매우 그렇다 4점을 주고, 부정적인 문항은 역산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 당시 Cronbach's Alpha=.85 이었고,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819이었다.

2)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
Sherer와 Maddux(1982)가 Bandura의 자기효능감 이론의 개념에 입각하여 제작한 자기효능감 척도(Self-Efficacy Scale; SES)를 홍혜영(1995)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일반적 자기효능감 17문항, 사회적 자기효능감 6문항으로 총 23문항의 5점 척도이다. 점수는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부
참고문헌
강말순, 김정남 (2000). 일부 여대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관련요인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1(1). 184-198.
김란, 박인순 (2006). 간호대학생의 건강통제위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2(2). 162-169.
김명희 (1995).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와 건강상태와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9. 92-103.
김주현, 김성재, 박연환 (2001). 여대생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13(3). 431-440.
박미화 (1999). 일부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부지런한 사람이 게으른 사람보다 자존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1(1). 96-106.
박인순, 김란, 박명희 (2007).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2). 203-211.
박현숙 (1999).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6(1). 91-103
변영순, 옥지원 (2008). 여대생의 지각된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4). 715-723.
백경신 (2003).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4(2). 232-241.
백경신, 최연희 (2003). 여대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 건강증진 학회지, 20(2). ISSN 1229-4128.
성미혜 (2001).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7(3). 317-330.
성미혜 (2004). 여대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관련요인.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7(2). 97-105.
이미라, 소희영 (1997). 건강교육 교과목 학습이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9(1). 70-85.
조순영, 이인숙, 함영림, 김주형 (2006). 일부 간호 대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2(1). 78-85.
전은영 (1999). 1개 간호대학생의 체질별 자기효능 및 건강증진 생활방식. 성인간호학회지, 11(2). 308-317.
전정자, 김영희 (1996). 성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자아존중감, 지각된 건강상태와의 비교연구. 성인간호학회지, 8(1). 41-54.
정경숙 (2006). 유방절제술 환자의 신체상, 자아존중감과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문희, 조유향, 김명순, 김현리 (2002). 간호대학생의 건강행위에 대한 태도 조사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3(4). 826-835.
조현숙(2006). 간호대학생의 건강관련생활양식과 건강상태와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13(3). 493-500.
최은영 (1999).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5(2), 347-358.
최정미 (2004). 일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희정 (2000). 간호학생의 건강증진 행위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4(1), 161-171.
한금선, 김근면 (2007). 간호대학생과 일반 여자대학생의 자존감, 건강증진 행위, 가족적응도 및 스트레스 증상 비교. 정신간호학회지, 16(1), 78-84.